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푸터로 건너뛰기
  • 2025. 6. 23.


[앵커]
아는기자 시작합니다.

외교안보국제부 김민곤 기자 나와 있습니다.

[질문 1] 미국이 연일 이란을 압박하면서 호르무즈 해협에서 긴장이 높아지고 있다는데, 이곳에서 도대체 지금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 거예요?

사진 한 장을 먼저 보여드리면서 당장 한 시간 전의 호르무즈 해협 상황은 어땠는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선박 위치 추적사이트를 통해 본 해협 모습인데요,

하늘색 바다 위에 있는 여러 색의 화살표와 원들이 모두 함선들입니다.

그렇다면 왜 이렇게 많은 배들이 있느냐, 바로 이곳이 페르시아만에 인접한 중동 국가들의 사실상 유일한 수출입 해상 통로이기 때문입니다. 

즉, 사우디아라비아, 이란, 이라크, 쿠웨이트, 아랍에미리트 등 주요 산유국들이 이곳 해협을 통해 원유를 수출한다는 뜻입니다.

그렇다 보니 세계 원유 소비량의 25%가 이곳 해협을 지납니다.

'글로벌 에너지 동맥'으로 불릴 만큼 지정학적으로 가장 중요한 곳 중 하나입니다.

[질문 2-1] 동맥이라기엔 해협이 살짝 좁은 것처럼 느껴지긴 합니다. 배들도 빽빽하게 보이고요.

네 방금 말씀하신 것처럼 호르무즈 해협은 좁습니다.

그리고 그만큼 수심도 얕은 게 특징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대형 유조선들은 해협을 들어갈 때나 나올 때 모두 각각 3㎞ 정도에 불과한 좁은 해로만을 통해야 합니다.

전체 해협 폭은 최소 50㎞가 넘을지라도 실제 큰 선박들이 다닐 수 있는 구역은 매우 제한적인 겁니다.

[질문 2-2] 그렇다면 그 해로들이 이란 쪽 바다를 지나니까 문제가 되는 건가요?

맞습니다.

주요 구역들이 이란에 가까운 바다에 포함돼있기 때문인데요,

지금 보시는 것처럼 맞은 편에 있는 남쪽의 오만이나 아랍에미리트 쪽 바다로는 지나갈 수 없는 구역들이 있습니다.

국제적으로 호르무즈 해협 자체는 모두에게 항행의 자유가 보장되는 곳이긴 하지만, 실질적으로는 다닐 수 있는 곳이 제한적인데다가 이란 입장에선 자신들의 영해라며 통행을 제한하겠다고 주장할 수 있는 겁니다.

[질문 3] 호르무즈 해협이 중요한 건 알겠는데, 이란이 이곳을 막으려는 이유는 뭐예요?

바로 세계를 대상으로 충격을 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당장 이란에서 봉쇄 움직임이 일자 국제유가가 4% 급등했습니다.

기름 가격이 오르면 자연스레 경제 인플레이션 등으로 이어지는 만큼 미국에도 악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이 때문에 마코 루비오 국무장관도 우방국으로 여겨지는 중국을 향해 "해협 봉쇄를 막아야 한다"고 촉구하기도 했습니다.

[질문 4] 그렇다면 실제로 이란이 해협을 봉쇄할 수는 있는 거예요?

물리적으로 불가능하진 않습니다.

이란이 해협을 지나는 선박들을 무차별 공격하겠다고 경고하면 자연스레 항해가 이뤄지지 않을 거란 관측인 건데요,

봉쇄 수단 역시 '바다의 지뢰'로 불리는 기뢰부터 이란 영토에서 발사하는 미사일 등 다양하게 거론됩니다.

주요 거점들에 해군 함정들을 배치하는 선택지도 있습니다.

제가 한 군 관계자에게 물어보니 "전체 해협은 아닐지라도 3㎞ 폭 정도의 해로는 바다에선 짧은 거리인 만큼 막는 데 문제는 없다"고 설명하기도 했습니다.

문제는 해협 봉쇄가 이란에도 족쇄가 된단 점입니다. 

이란 스스로부터 원유를 수출할 수 없게 되고, 우방국인 중국 역시 이란산 원유를 연간 10%가량 수입하는 만큼 국가 경제에 차질을 빚게 됩니다.

이 때문에 해협의 전면 봉쇄는 전례가 없던 일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한 중동 관계자는 "이번 사안은 이란 본토가 공격받은 것"이라며 "실리가 아닌 이데올로기의 관점에서 해협 봉쇄부터 미군기지 타격 가능성 모두 열려있다"고 예측하기도 했습니다.

지금까지 아는 기자였습니다.


김민곤 기자 imgone@ichannela.com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아는 기자, 외교안보국제부 김민공 기자 나와 있습니다.
00:05전 세계가 이곳을 지금 주시하고 있습니다.
00:07바로 호르무주 해업인데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죠?
00:11지금 사진 한 장을 먼저 보여드리면서 당장 1시간 전에 호르무주 해업 상황은 어땠는지 한번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00:20선박 위치 추적 사이트를 통해 본 해업 모습인데요.
00:23하늘색 바다 위에 있는 여러 색의 화살표와 원들이 모두 함선들입니다.
00:28그렇다면 왜 이렇게 많은 배들이 있느냐.
00:31바로 이곳이 페르시아만에 인접한 중동 국가들의 사실상 유일한 수출입 해상 통로이기 때문입니다.
00:39즉, 사우디아라비아, 이란, 이라크, 쿠웨이트, 아랍에미리트 등 주요 산유국들이 이곳 해업을 통해서 원유를 수출한다는 뜻입니다.
00:49그렇다 보니 세계 원유 소비량의 25%가 이곳 해업을 지납니다.
00:53글로벌 에너지 동맥으로 불릴 만큼 지정학적으로도 가장 중요한 곳 중 하나로 꼽히는 이유입니다.
01:00그런데 이곳을 이란이 봉사할 수도 있다고 하니까 다들 관심을 갖고 보고 있는 건데 아까 보니까 상당히 좁아 보이네요.
01:09네, 맞습니다.
01:09보신 것처럼 호르무주 해업은 좁습니다.
01:13그리고 그 좁은 만큼 수심도 얕은 게 특징입니다.
01:16그렇기 때문에 대형 유조선들은 해업을 들어갈 때나 나올 때 모두 각각 3km 정도에 불과한 좁은 해로만을 통해야 합니다.
01:26전체 해업폭은 최소 50km가 넘을지라도 실제 큰 선박들이 다닐 수 있는 구역은 매우 제한적인 겁니다.
01:34그런 곳에 지금 세계 원유 소비량 25%가 지나가요.
01:38그런데 거기가 지금 이란 쪽 바다라는 게 지금 문제라는 거죠?
01:40네, 맞습니다.
01:41주요 구역들이 이란에 가까운 바다들에 포함돼 있기 때문인데요.
01:46지금 보시는 것처럼 맞은편에 있는 남쪽의 오만이나 아랍에미리티 쪽 바다로는 지나갈 수 없는 구역들이 있습니다.
01:54국제적으로 호르무주 해업 자체는 모두에게 항행의 자유가 보장되는 곳이긴 하지만 실질적으로는 다닐 수 있는 곳이 제한적인 데다가
02:02이란 입장에서는 자신들의 영해라며 통행을 제한하겠다고 주장할 수 있는 겁니다.
02:08그런데 이란이 이걸 막으려고 한다. 그러면 그걸 통해서 뭘 얻을까요? 왜 막으려고 하는 거예요?
02:13바로 세계를 대상으로 충격을 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02:16당장 이란에서 봉쇄 움직임이 일자 국제 유가 4% 급등했습니다.
02:22기름 가격이 오르면 자연스레 경제 인플레이션 등으로 이어지는 만큼 미국에도 악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02:28이 때문에 마코로비오 국무장관도 우방국으로 여겨지는 중국을 향해 해업 봉쇄를 막아야 한다고 촉구하기도 했습니다.
02:36아까 보니까 미국에서는 막으면 자행이다 이런 얘기도 나오던데 실제로 이란이 봉쇄할 수도 있어 보입니까?
02:42물리적으로 불가능하지는 않습니다.
02:45이란이 해업을 지나는 선박들을 무차별 공격하겠다고 경고하면 자연스레 항해가 이뤄지지 않을 거란 관측인데요.
02:53봉쇄 수단 역시 바다의 지뢰로 불리는 기뢰부터 이란 영토에서 발사하는 미사일 등 다양하게 거론됩니다.
03:01주요 거점들의 해군 함정들을 배치하는 선택지도 있습니다.
03:05제가 한 군 관계자에게 물어보니 전체 해업은 아닐지라도 3km 폭 정도의 해로는 바다에선 짧은 거리인 만큼 막는 데 문제는 없다고 설명하기도 했습니다.
03:17문제는 해업 봉쇄가 이란에도 족쇄가 된다는 점입니다.
03:22이란 스스로부터 원유를 수출할 수 없게 되고 우방국인 중국 역시 이란산 원유를 연간 10%가량 수입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03:30중국 국가 경제에도 차질을 빚게 되는 겁니다.
03:34이 때문에 해업의 전면 봉쇄는 전례가 없던 일이기도 합니다.
03:38하지만 한 중동 전문가는 이번 사안은 이란 본토가 공격받은 것이라며
03:44실리가 아닌 이데올로기의 관점에서 해업 봉쇄부터 미군 기지 타격 가능성까지 모두 열려있다고 예측하기도 했습니다.
03:52잘 들었습니다. 안희 기자 김민군 기자였습니다.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