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푸터로 건너뛰기
  • 2025. 6. 17.


트럼프 조기귀국에 한미정상회담 무산
국가안보실장 "트럼프 귀국, 미국 측서 양해 구해"
트럼프 "일찍 복귀하는 명백한 이유 있어"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미국의 트럼프 대통령이 오늘 갑자기 귀국을 하게 되었기 때문에
00:27내일로 예정되었던 한미 정상회담은 어렵게 되었습니다.
00:32원래 다자 계기에 이런 일들이 간간 있긴 한데
00:36아마 이스라엘 이란 군사적 충돌 문제와 관련이 있어 보입니다.
00:42미측으로부터는 그런 상황이 생긴 언저리에 저희한테 양해를 구하는 연락이 왔었습니다.
00:48일단 어떤 이유에서든지 알 수 없지만 정확히는
00:54트럼프 대통령이 G7 정상회의 참석차 캐나다를 방문했다가 조기 귀국을 했습니다.
01:00우리한테 제일 중요한 건 10여 분이라도 트럼프 대통령과 이재명 대통령의 첫 번째 면담이었는데
01:08일단 그게 무산이 됐어요?
01:09그렇습니다. 내일 오후쯤에 아마 이재명 대통령이 처음으로 트럼프 대통령하고
01:16짧은 시간에 약식 회담이 가능하다.
01:20그래가지고 만나는 것으로 예정이 되었는데
01:23갑자기 트럼프 대통령이 본국으로 귀국하는 상황이 생기면서
01:27이 부분이 불발되는 상황으로 이어졌습니다.
01:30그런데 미국 측에서 우리 측의 미성나 실장에게 내일 부분에 대해서 좀 어렵게 됐다.
01:39지금 트럼프 대통령께서 바로 좀 돌아가야 되는 그런 상황이 되어서
01:43좀 미안하게 생각한다. 이런 양해를 구했다는 것이에요.
01:47그러니까 미국으로부터 일방적으로 거부를 당하는 이런 상황이 아니기 때문에
01:51아쉬움은 좀 큰 상황입니다만
01:54지금 이번에 G7에 참여하는 7개의 국가 또 참가국으로 참가한 7개의 국가 모두가
02:05트럼프 대통령과의 만남을 통해서 자국의 국익에 관련된 부분들을 논의하고 싶었던 그런 상황이었는데
02:13그런 부분들이 갑자기 이렇게 취소가 되면서 다들 좀 안타까운 부분들이 아쉬운 부분들을 갖고 있는데
02:19아마도 지금 우리 정부 입장에서는 트럼프 대통령과의 약식 회담은 불발이 됐지만
02:26가장 빠른 이른 시간 내에 다시 트럼프 대통령과의 회담을 신속하게 추진하겠다.
02:33이런 의지를 밝히는 것으로 봤을 때 조만간에 미국 대통령과의 이런 정상적인 회담은
02:41다시 한 번 잡힐 가능성이 높다. 이렇게 보고 있습니다.
02:44글쎄요. 첫 대면도 트럼프 대통령과 이재명 대통령이 했으면 좋았을 것 같고
02:48관세 협상 뭐 이런 것 때문이라도 뭔가 여러 분기점을 좀 잡고 싶었는데
02:53이렇게 되면 아마 나토 정상회의에 만약에 이재명 대통령이 간다면
02:57거기서 이뤄질 수도 있어요. 이현정 의원님.
02:59그런데 이게 트럼프 대통령의 캐릭터답게 뭔가
03:03이거 이란과 이스라엘 추전 때문이 아니고 더 큰 것 때문에 귀국한다.
03:08이거 이유를 미국 현지에서도 잘 모르더라고요.
03:11그러니까요. 지금 지난번 G7 회담도 G6와 미국이 대립점에 있었어요.
03:16지금 트럼프 대통령은 왜 G7에 지금 중국, 러시아를 왜 이렇게 안 넣느냐
03:22이거에 대한 강력한 반발을 하고 있어요.
03:25그러다 보니 지금 아마 이번 회담에서도 별로 성과가 없을 것으로 예상이 됐습니다.
03:30보통 이제 합의문이나 이렇게 발표문이 발표되는데
03:33이번에도 그냥 의장, 죄송합니다. 설명문 정도만 나오는 것으로 기대가 됐습니다.
03:39그러다 보니 트럼프 대통령이 지금 뭔가 급박한 일이 있다고 하지만
03:43아직까지 뭔지는 모르겠어요. 뭔가 하여튼 G7에 대한 불만감을 표출하기 위해서
03:47갑작스러웠던 이유를 대면 떠난 게 아니냐는 추측과
03:50진짜 뭔가 지금 전쟁 상황이 급박하게 돌아가는 그런 일이 있지 않느냐 라든지
03:56지금 또 마크롱 대통령이 중동의 휴전 목표를 하니까
03:59넌 잘 모르고 하는 이야기야 라는 식으로 지금 이렇게 또 서로 디스한다든지
04:04뭐 이런 일이 있었는데 모르겠습니다.
04:05오늘 지켜보면 과연 트럼프 대통령이 왜 회담을 하지 않고 다뤄왔는지
04:10물론 이제 앞으로 이번 달 말에 나토 회담이 또 있습니다.
04:14그런데 사실 트럼프 대통령이 이 모든 것과 대척점에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04:19글쎄 그 회담도 순조롭게 진행되기는 어렵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듭니다.
04:23사실 트럼프 대통령이 이번 G7 정상회의에 나서는 모습
04:27그리고 캐나다와 먼저 양장회담을 한 뒤에 목소리
04:31이런 것들을 보면 뭔가 기분이 썩 좋지는 않았던 것 같아요.
04:35그 영상도 저희가 준비를 해봤습니다.
04:37러시아에 대한 비판.
04:58다만 또 푸틴 대통령은 본인과만 얘기한다.
05:02러시아 제외는 큰 실수다라고 얘기했고
05:05러시아는 중재역을 할 수 없다는 얘기
05:09또 마크론과 또 이런 크고 작은 설전 비슷한 것도 있었는데
05:12일단 우리 정부로서도 우리 정부로서 미국의 어떤 양해 메시지는 받았지만
05:19이번이 어쨌든 취임 12일 만인가요?
05:22이재명 대통령의 첫 번째 순방이었기 때문에
05:25그래서 미국 트럼프 대통령과의 면담 혹은 회동이 더 주목을 받았을 수도 있습니다.
05:33이재명 대통령이 예정에 없던 공군 1호기에서 기자 간담회를 열기도 했는데요.
05:38그 목소리도 듣고 오겠습니다.
05:55트럼프 대통령이 조기 귀국하면서 한미 회담은 무산이 됐고
06:00트럼프 대통령이 조기 귀국하면서 한미 회담은 무산이 됐고
06:25내일 한일 정상끼리는 만날 것 같습니다.
06:30대통령실 얘기는 미국의 양해 구했고 가장 빠른 계기를 찾아서
06:35아마 만약에 유럽에서 열리는 나토 정상회의 이재명 대통령이 참석을 한다면 그 부분이 될 텐데
06:40아까 예정에 없던 전용기 안에서 공군 1호기에서 기자 간담회를 열고
06:45김혜경 연사도 함께 했는데 김혜경 선수는 캐나다에 도착해서 한복 외교를 펼쳤다면서요.
06:51그렇습니다. 만찬이 있었는데요. 리셉션이 있었는데
06:53이거는 캐나다 엘버타주의 주지사가 주제를 했고요.
06:57주체를 했고요.
06:58그래서 캐나다 내각들, 캐나다 내각들이 참석을 했고
07:02정상들이 참석을 했는데 지금 화면에 나오는 것처럼
07:04우리나라의 전통 의상인 한복을 입고 참석을 했었습니다.
07:08이날 드레스코드가 정장 또는 전통 의상이었거든요.
07:11그래서 우리나라의 전통 의상인 한복을 입고 참석을 하셔서
07:14다른 정상들의 영부인들이나 이런들보다 훨씬 눈에 띄고 한복이 아름답지 않습니까?
07:22그래서 많은 분들이 함께 사진을 찍자고 하는 요청이 있었다고 합니다.
07:25그래서 김혜경 여사 입장에서는 조용한 내조를 하지만
07:28우리나라가 갖고 있는 문화의 확산이라든지
07:31아니면 이재명 대통령도 후보실을 권역했습니다만
07:34K-문화 강국을 만들겠다고 했습니다.
07:36단순히 콘텐츠뿐만 아니라 우리가 갖고 있는 좋은 문화적인 유산들을
07:41적극적으로 알리는 역할을 김혜경 여사 하지 않을까
07:44그게 오늘 저 리셉션에서 첫 발을 뗐고요.
07:48앞으로 외국의 정상회담이나 아니면 외국 순방을 할 때
07:51우리나라의 좋은 문화유산을 알리는 그런 역할을
07:54톡톡히 하는 역할을 하지 않을까 그렇게 전망이 됩니다.
07:56알겠습니다.
07:57이번 G7 정상회의의 주최국은 캐나다인데
08:02마치 트럼프 대통령이 빠지면서 주인 없는 것처럼 비춰지는 느낌도 있지만
08:06워낙 지금 각국이 관세, 미국발 관세 전쟁의 골머리를 앓고 있기 때문에
08:12일단 한미, 이재명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이 만나는 건 무산이 됐다는 얘기까지
08:16저희가 준비한 오늘 뉴스탑10이 뽑은 1위였습니다.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