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탐사보도 뉴스프리즘] 방지책·규제 조롱…진화하는 '매크로 암표' 기법

  • 지난달
[탐사보도 뉴스프리즘] 방지책·규제 조롱…진화하는 '매크로 암표' 기법

[오프닝: 이광빈 기자]

안녕하십니까? 이광빈입니다. 우리 사회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지속가능한 사회를 모색하는 뉴스프리즘 시작합니다.

[영상구성]

[이광빈 기자]

K-컬처가 전 세계적인 사랑을 받고 있지만 비싼 값에 티켓을 재판매하는 '암표' 문제는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습니다. 대중가수의 공연은 물론 순수 공연에서도 암표가 횡행하고 있는데요. 여러 대응책이 나오고 있지만, 이를 우회하는 '꼼수'들로 효과를 내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처벌은 강화되고 있지만 여전히 처벌 범위와 수준이 효력을 내기 어렵다는 지적이 이어집니다. 먼저 매크로 프로그램을 이용한 입장권 구매와 암표 판매의 실태, 그리고 가수와 소속사들의 고충은 뭔지, 오주현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임영웅 티켓이 500만원?…가수·팬 울리는 '암표 거래' / 오주현 기자]

[기자]

직장인 김승현 씨는 2년 전 가수 임영웅의 팬인 할머니를 위해 친척들과 함께 콘서트 티켓팅을 시도했지만 실패했습니다.

결국 원래 가격보다 두 배 이상 비싼 가격을 주고 중고 거래 플랫폼에서 암표를 구했는데, 그마저도 경쟁이 치열했습니다.

"(티켓) 가격은 원래 15만 원대였는데 저는 두 배 정도 가격이어서 2장에 60만원대 중반에 구매를 했어요. 가격 자체는 비싼 게 맞는데 워낙 구하기 어려우니까 비싸다는 생각보다 빨리 이 티켓을 구매해야겠다는 생각이 더 컸던 것 같아요."

아이돌 그룹 팬들 사이에서도 암표 거래는 일상적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티켓 예매는 매번 하늘의 별 따기인데, SNS나 온라인을 통해서는 쉽게 암표를 거래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아무래도 팬들 사이에서는 (암표로) 공연 티켓을 구하는 게 너무 당연시되어서 티켓을 못 구하면 다들 양도부터 생각을 하고, 그게 취소가 되면 '왜 내가 돈 내고 산 건데 취소를 하냐'라고 생각을 하지…"

모바일과 PC 이용이 활발한 젊은 층일수록 암표의 유혹을 크게 받았습니다.

공연 티켓 예매 경험이 있는 전국의 남녀 57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20대의 32.8%가 암표를 구매한 적이 있다고 답했습니다.

암표의 가격은 공연의 인기와 좌석 위치에 따라 수십만 원에서 수백만 원을 호가합니다.

최근 가요계 은퇴를 예고한 '가황' 나훈아의 라스트 콘서트 티켓팅이 진행된 이후에도 이 티켓을 90만원에 팔겠다는 글이 올라왔습니다.

지난해 가수 임영웅의 콘서트 티켓은 온라인에서 500만 원대에 팔려 국정감사에서 도마 위에 오르기도 했습니다.

임영웅의 소속사 물고기 뮤직은 "예매처인 인터파크와 함께 정상적이지 않은 방식으로 예매된 티켓을 일일이 확인해 강제 취소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암표는 팬들의 불필요한 지출을 유도하고, 가수와 소속사는 단속에 막대한 시간과 인력을 쏟아붓도록 하는 악순환을 낳고 있습니다.

대중가수 공연뿐 아니라 순수공연에서도 암표가 횡행하고 있습니다.

최근 개막한 뮤지컬 '헤드윅'의 경우 배우 조정석이 출연하는 회차는 전석 매진돼 티켓 예매사이트에서 구매할 수 없지만 중고 거래 사이트에는 버젓이 '조정석 회차' 티켓 판매 글이 올라왔습니다.

지난 1월 피아니스트 임윤찬과 서울시향 협연 당시에도 암표 거래로 의심되는 티켓들이 발견됐습니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팬들의 공연 수요가 회복했지만 공연장의 수는 감소하며 티켓이 더욱 귀해지자, 외부에서 유입된 업자도 늘었습니다.

"신발 리셀이나 다양한 한정품을 구매하시던 매크로 사용 업자들이 공연 시장으로까지 진출해서, 그들이 전문적으로 매크로 프로그램을 동원하고 티켓을 미리 사재기해서 암표로 팔다 보니까 사실 단속하기도 더 까다로워졌고, 암표 거래도 굉장히 많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라고 볼 수 있죠."

가요계는 본인 확인 절차를 강화하고, NFT 티켓을 내놓는 등 시도를 하고 있지만 아직 명쾌한 해법은 나오지 않았습니다.

연합뉴스TV 오주현입니다.

#암표 #임영웅 #매크로

[이광빈 기자]

K팝 공연시장을 어지럽히는 암표를 잡겠다며 정부가 지난달 말부터 개정된 공연법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암표 거래와 사기 피해는 끊이지 않고 있는데요. 개정 공연법의 한계를 짚어보겠습니다. 최진경 기자입니다.

[적발 쉽지 않은 암표사기…개정 공연법 효과 있을지 / 최진경 기자]

[기자]

유명 K팝 아이돌 그룹의 팬인 A씨는 웃돈을 주고 팬미팅 티켓을 구하려다 25만 원 상당의 사기 피해를 봤습니다.

A씨는 팬클럽 가입자만 예매 가능한 티켓을 갖고 있다는 인증 사진을 확인하고 돈을 보냈습니다.

하지만 사기범은 서버 문제를 핑계로 티켓을 계속 넘겨주지 않았습니다.

행사 시작 2시간 전까지 연락하며 만나서 주겠다고 안심시키더니 결국 자취를 감췄습니다.

암표 문제가 심각해지자 이를 규제하는 개정 공연법이 지난달 22일부터 시행됐습니다.

개정법에 따르면 매크로를 이용해 티켓을 산 뒤 웃돈을 받고 다시 파는 행위는 금지됩니다. 위반하면 1년 이하의 징역이나 1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할 수 있는데요. 현실을 담아내지 못했다는 비판이 나옵니다.

하지만 시행 이후에도 각종 공연 티켓 암표 거래 글이 잇따라 올라오면서 업계는 개정법의 실효성을 지적합니다.

최근 암표상의 구조를 반영하지 못한 데다 매크로 사용 여부를 파악할 방법도 마땅치 않다는 겁니다.

인터파크 관계자는 "데이터 분석을 통해 매크로 공격에 대한 모니터링 및 차단을 하고 있다"면서도, "창과 방패의 싸움이라고 할 정도로 매크로 공격이 다변화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구매자와 판매상이 달라요. 매크로를 이용해서 구매된 티켓을 아르바이트들이 온라인에서 판매하거든요. 가장 큰 문제는 매크로를 이용해서 구매했는지 적발하기가 어렵다는 부분…"

암표를 구체적으로 정의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옵니다.

"해외 사례처럼 '정가 이상으로 판매하는 거는 모두 다 암표'다, 불법 행위라는 게 ...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