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의료위기 단계 '심각' 상향…의료현장 혼란 가중

  • 4개월 전
보건의료위기 단계 '심각' 상향…의료현장 혼란 가중

[앵커]

전공의들이 정부 의대생 증원 정책에 반발해 나흘째 집단 사직과 진료 거부를 이어오고 있는데요.

정부가 오늘(23일) 오전 8시부터 보건의료위기 단계를 기존 '경계'에서 최상위인 '심각'으로 올리기로 했습니다.

서울대병원에 나가 있는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김유아 기자.

[기자1]

네, 혜화동 서울대병원에 나와 있습니다.

지난 20일부터 전공의들이 집단으로 사직서를 내고 병원을 떠난 지 나흘째에 접어들었는데요.

이곳 서울대병원에 일찍부터 찾아오는 환자와 가족들도 적지 않은데, 응급실 병상도 빈자리를 찾기 어려운 상황입니다.

병원은 일단 급하지 않은 수술은 연기하고, 과별로 현황을 확인해 진료 예약을 줄이는 식으로 대응하고 있습니다.

다른 대형 병원도 마찬가집니다.

서울성모병원과 아산병원도 전체 수술 중 30% 정도 연기하고, 암이나 응급 상황에 대해서만 의료 인력을 먼저 배정하고 있습니다.

서울삼성병원에서 연기된 수술 비중도 45%를 넘어서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각 병원 응급실에선 특정 부상이나 질환 환자 수용이 불가능하다는 안내도 속속 나오고 있습니다.

서울 '빅5' 병원들의 수술과 입원 일정이 줄줄이 연기 내지 취소되자

환자들이 중형 병원으로 몰리면서 진료과 수술 차질이 확산하는 모습입니다.

각 병원은 전공의 빈자리를 전임의와 교수 등을 동원해 채우고 있지만, 인력이 부족한 상황에서 교대 근무까지 소화해야 하는 남은 의료진들 체력도 곧 한계에 달할 것으로 보입니다.

의대 증원에 반대하며 집단 사직한 전공의들을 상대로 정부가 연일 강경 대응 방침을 강조하고 있지만, 단체행동에 참여하는 전공의들의 규모가 커지고 있습니다.

정부가 주요 100개 수련병원을 점검한 결과 그제 밤까지 전공의 9,275명이 사직서를 제출했습니다.

전날보다도 400명가량 늘어난 것인데, 실제로 근무지를 이탈한 전공의는 8,024명으로 조사됐습니다.

전문의들의 집단행동으로 의료 공백이 심각해지다 보니 정부도 잠시 전인 오늘 오전 8시부터 보건의료위기 단계를 기존 '경계'에서 최상위인 '심각'으로 올리기로 했습니다.

보건의료위기 심각 단계가 발령되는 것은 사상 처음입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를 열고 여러 부처와 지방자치단체와 협력해 대응해간다는 방침입니다.

지금까지 서울대병원에서 전해드렸습니다. (kua@yna.co.kr)

[영상취재기자 : 송철홍]

#전공의 #집단사직 #진료연기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