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메이커] '강제동원 조선인 추도비' 철거 나선 일본 군마현

  • 4개월 전
[뉴스메이커] '강제동원 조선인 추도비' 철거 나선 일본 군마현

뉴스 속 주인공을 만나 보는 '뉴스메이커'입니다.

일본 혼슈 중부 군마현 당국이 시민단체의 반대에도 '조선인 추도비' 철거 작업에 들어갔습니다.

일부 일본 언론들도 우려의 반응을 보이고 있는데 무슨 이유에서인지, 오늘의 뉴스메이커에서 짚어보겠습니다.

일본 군마의 숲 공원에 설치됐던 조선인 추도비의 모습입니다.

이 추도비는 2004년 일본 시민단체가 조선인 강제 징용 희생자를 추모하고 일본의 과오를 반성하는 의미로 직접 세운 건데요.

비석 앞면엔 "기억 반성 그리고 우호"라는 문구가 일본어와 한국어, 그리고 영어로 적혀 있습니다.

하지만 군마현이 이 조선인 추도비 설치 허가를 갱신하지 않기로 결정하면서 강제로 철거될 위기에 놓였습니다.

분쟁이 시작된 건 2012년입니다.

시민단체는 해마다 기념비 앞에서 추도제를 열었는데요.

2012년 행사 참가자가 '강제 연행'을 언급했다는 점을 빌미로 군마현은 2014년 설치 허가 갱신을 거부했습니다.

시민단체가 이에 불복해 소송을 제기했지만 일본 최고 재판소가 2022년 지자체의 처분이 적법하다는 판결을 확정 지으면서 최종 철거가 결정된 겁니다.

그리고 현재 공원 모습입니다.

평소라면 산책을 즐기는 사람들이 자유롭게 드나들었을 공원이지만 지금은 모든 입구를 울타리가 가로막고 있는데요.

거리 곳곳엔 '공원 폐쇄' 안내판까지 붙었습니다.

군마현은 어제부터 조선인 추도비 철거 작업에 들어갔다면서도 구체적인 방법과 일정은 말할 수 없다고 밝혔는데요.

군마현청 앞에는 '철거 강행'에 항의하는 집회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시민단체는 "조선인 추도비 철거 모습을 감추기 위해 이례적으로 공원까지 장기 폐쇄했다"며 이는 "일제강점기 강제 동원 역사를 숨기려는 의도"라고 비판했습니다.

이 같은 철거 강행 움직임에 일본의 일부 언론들도 우려를 표했는데요.

아사히신문은 "철거는 역사 왜곡을 돕는 것일 수도 있다"며 "매우 위험한 사태"라고 지적했습니다.

일본 전역에 설치된 조선인 추모비는 150여 개, 이 중 지방정부가 철거에 나선 건 처음 있는 일입니다.

때문에 다른 지자체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데요.

하지만 왜, 일본 내에서조차 "철거 중지" 요구가 쏟아지고 있는지, 일본 정부가 다시 한번 귀를 기울여야 할 때입니다.

지금까지 '뉴스메이커'였습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