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시다, 사과 대신 "과거 인식 계승"…기존 입장 머물러

  • 작년
기시다, 사과 대신 "과거 인식 계승"…기존 입장 머물러

[앵커]

이번 정상회담에서 일본 측은 강제징용 문제와 관련해 직접 사과 대신 과거 역사인식을 계승한다는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습니다.

양국 정상은 수출 규제 해제와 지소미아 정상화 등 안보와 경제 분야 갈등 현안을 푸는 데 주력했습니다.

방준혁 기자입니다.

[기자]

기시다 총리는 일본 피고 기업 참여가 빠진 우리 정부의 강제징용 배상 해법을 평가한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최대 관심이었던 기시다 총리의 사죄와 배상 관련 직접 언급은 없었고, 역대 내각의 인식을 계승한다고 확인하는 선에 머물렀습니다.

징용 해법이 윤 대통령의 결단이라며 일본의 적극적 호응을 주문한 우리 정부의 기대에는 못 미치는 것일 수 있습니다.

윤 대통령은 일본 피고 기업에 대한 구상권 청구를 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구상권이 행사된다면 다시 모든 문제를 원위치로 돌려놓는 것이기 때문에 우리 정부는 구상권 행사는 상정하고 있지 않습니다."

대통령실은 일본의 사과를 한 번 더 받는게 어떤 의미가 있느냐고 반문했습니다.

역대 일본 정부가 50여 차례나 사과를 한 바 있다며, 역대 내각 인식에 대한 담화를 계승한다는 데 사죄의 의미가 들어있다고 평가했습니다.

대신 이번 정상회담은 우리 대법원의 강제징용 판결에서 파생된 양국의 경제, 안보상 갈등은 매듭을 짓는 계기가 됐습니다.

양국은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 지소미아를 완전 정상화하고 경제 안보 분야 협의체를 출범키로 했습니다.

일본은 3개 품목에 대한 수출 규제는 풀었고, 화이트리스트 배제 조치는 뚜렷한 결론을 내진 않았지만 긴밀한 대화를 이어가자고 했습니다.

12년 만에 이뤄진 우리 대통령의 방일 정상회담.

84분 간 이어진 회담에서 두 정상은 과거는 묻고 미래를 향해 나아가자고 뜻을 모았습니다.

"양국 간 불행한 역사를 극복하고 한일 간 협력의 새 시대를 여는 첫걸음이 되었습니다."

야당은 직접 사과와 일본 기업의 배상 참여가 없는 해법이 굴욕이라고 공격하는 상황, 대통령실은 한일 관계를 새로운 문법과 공식으로 풀어가고자 하는 윤 대통령의 강력한 의지가 표명된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연합뉴스TV 방준혁입니다.

bang@yna.co.k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