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리원전 사용후핵연료 '건식저장시설' 건설 추진 반발

  • 작년
고리원전 사용후핵연료 '건식저장시설' 건설 추진 반발
[생생 네트워크]

[앵커]

한국수력원자력이 최근 고리 원자력발전소에 건식 저장시설을 설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사용후핵연료를 보관할 저장시설이 포화 상태에 이르렀기 때문인데요.

일단 임시저장시설로 추진 중인데, 지역민들은 영구저장시설이 되지 않을지 우려하고 있습니다.

부산 취재 기자 연결해 내용 짚어보겠습니다.

고휘훈 기자, 전해주시죠?

[기자]

네, 저는 고리원전이 보이는 부산 기장군 임랑해수욕장에 나와 있습니다.

제 뒤로 원전의 모습이 보일 텐데요.

말씀하신 대로 한수원은 지난 7일 이사회를 열고 '고리 사용후핵연료 건식저장시설' 건설 기본계획을 의결했습니다.

고리 원전 부지 내 건물을 지어 사용후핵연료가 저장된 금속 용기를 보관하겠다는 겁니다.

국내 원전 부지에 경수로 건식저장시설이 건설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기존 고리원전은 사용후핵연료를 수조에 저장해 물로 식히는 습식저장조에 보관하는 방법을 사용해왔는데요.

한수원은 고리 원전의 습식저장시설이 곧 포화상태에 이르기 때문에 이러한 결정을 내린 겁니다.

예상 포화시점은 2031년입니다.

포화시점 전까지는 어떻게든 추가 공간을 마련해야 하는데, 대안으로 건식저장시설을 추진하는 겁니다.

한수원은 설계, 인허가, 건설 등 총 7년 정도 소요될 것으로 예상하는데요.

예정대로 된다면 포화시점 전인 2030년쯤 완공될 것으로 보입니다.

[앵커]

지역민 반발은 어떤 상황인가요?

[기자]

한수원의 건식저장시설 설치 계획 발표 이틀 뒤인 지난 9일, 부산환경운동연합이 부산시청 앞에서 규탄 기자회견을 열었습니다.

현장 내용 들어보시겠습니다.

"이번 결정은 독단적이고 일방적인 결정으로 이 결정 과정은 무효이며 부산시민은 인정하거나 받아드릴 수 없다."

고리원전이 있는 기장군의 경우 적극적으로 반대 의사를 표명하고 있는데요.

일단 건식저장시설이 임시저장시설로 추진되고 있지만, 우리나라에 아직 영구처분시설이 없기 때문에 혹시나 고리원전이 영구처분시설이 될지 모른다는 우려가 깔려 있습니다.

지역주민들은 사전에 제대로 된 설명이나 논의도 거치지 않았고, 특별법 제정이 먼저라고 지적하고 있는데요.

기장군수의 얘기 들어보시겠습니다.

"우리 기장군은 투명한 정보공개와 주민동의 절차 없는 건식저장시설 건설을 절대 반대하고 있음을 다시 한번 밝히는 바입니다. 아울러 명확한 법적 근거로서 고준위 특별법 제정이 반드시 선행되어야 합니다."

고리원전 건식저장시설 철회를 촉구하는 시민단체의 대규모 집회도 예고돼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부산 임랑해수욕장에서 연합뉴스TV 고휘훈입니다.

#고리원전 #건식저장시설 #사용후핵연료 #기장군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