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솟는 물가 잡겠다"…외식비·배달료 공개 나선 정부

  • 2년 전
"치솟는 물가 잡겠다"…외식비·배달료 공개 나선 정부

[앵커]

정부가 물가 안정 대책의 일환으로 오늘(23일)부터 주요 외식 프랜차이즈의 대표메뉴 가격을 조사해 매주 공개합니다.

업체들 간 가격 경쟁을 유도해 뛰는 물가를 잡겠다는 건데, 현실성 없는 대책이라는 비판도 나옵니다.

왜 그런지 한지이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물가 안정을 목표로 외식업체들의 대표 메뉴 가격 변동 사항을 처음으로 공개한 정부.

외식 12개 품목 62개 프랜차이즈 업체 중 16곳이 전달보다 제품 가격을 올린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정부는 매주 음식 가격을 공개해 가격 인상을 감시하겠다는 입장이지만, 최근 원재룟값과 인건비가 크게 상승한 상황에 일부 음식값을 공개한다고 해서 물가 안정에 효과가 있을지 의문이 제기됩니다.

"제가 음식값을 올리고 싶어서 올린 게 아니거든요. 물가가 올라서 겨우 할 수 없이 올렸어요. 경기침체하고 인플레가 동시에 일어나고 있다니깐요. 일방적으로 통제하겠다는 사고방식은 아니라는 것이죠."

외식 가격 공개와 더불어 정부는 이달 말 소비자단체를 통해 대표 배달음식인 치킨과 떡볶이의 서울 지역의 배달 플랫폼 별 배달비를 공시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다만 배달비 인하 효과를 발휘할지에 대해선 부정적 시각이 많습니다.

전반적인 배달비 급등의 원인은 배달 수요 대비 배달 기사의 수가 부족하기 때문이고, 배달비에 영향을 주는 각종 변수를 모두 반영하지 못한 대책이라는 겁니다.

"배달 플랫폼이 배달료를 결정하는 구조가 아니고…이번 배달료 공개가 어느 정도 효과가 있을지 의문이거든요. 배달료가 시간이나 날씨에 변수가 많은데 변동 사항을 실시간으로 반영을 못 할 것 같다는…"

정부가 물가를 안정시키겠다고 내놓은 대책들이 시작부터 실효성 논란에 휩싸이면서 보다 실질적인 대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연합뉴스TV 한지이입니다. (hanji@yna.co.kr)

#물가대책 #외식가격공개 #배달비공시제 #실효성논란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