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중증 환자 최다…병상 확보 고육책 실효성은?

  • 3년 전
위중증 환자 최다…병상 확보 고육책 실효성은?

[앵커]

코로나19 위중증 환자가 연일 최다치를 경신하면서 정부의 병상 확보에도 비상이 걸렸습니다.

여러 대책을 강구하고 있는데 실효성이 있을지, 김종력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기자]

현재 전국에서 가동 중인 코로나19 중환자 병상은 약 1,300개.

전국은 약 81%, 서울은 86%에 가까운 병상이 사용 중입니다.

한 달 전 병상 가동률도 전국 64%, 서울 80%였습니다.

입ㆍ퇴원과 수속과 여유 병상 등을 고려하면 사실상 포화 상태인 중환자 병상 가동률 80%가 한 달 넘게 지속되고 있는 겁니다.

정부는 여러 차례 병상확보 행정명령을 내렸지만, 이행률은 목표의 절반을 조금 넘는 수준에 불과합니다.

앞선 5차례의 행정명령으로 확보한 중증ㆍ준중증 병상은 630개, 목표치 1,014개의 62.1%입니다.

더 큰 문제는 앞으로도 병상 확보에 속도를 내기는 어렵다는 점입니다.

"사실 아무리 빨라야 한 달 정도의 시간적 텀을 두고 그런 게 확보가 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앞으로도 늘어날 가능성은 있고요. 그런데 그 과정이 그렇게 쉬운 건 아니라고 말씀을 드릴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정부는 병상 회전율을 높이기 위해 중환자 입원 일수에 따라 손실보상금에 차등을 두는 제도를 시행하기로 했습니다.

20일이 넘어가면 일반 중환자 병상으로 옮긴다는 건데, 면역력이 떨어진 중환자의 경우 더 길게 바이러스가 몸에 남을 가능성도 있다는 지적입니다.

또 일반 중환자실 환자와 보호자들이 이같은 조치를 받아들일지도 미지수입니다.

방역당국은 유행이 지속할 경우 이달 위중증 환자 1,800명, 악화 시 1,900명까지 발생할 수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연합뉴스TV 김종력입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