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지수의 글로벌브리핑] 바이든, 백악관 후속인선 발표…최측근 줄 입성 外

  • 4년 전
[김지수의 글로벌브리핑] 바이든, 백악관 후속인선 발표…최측근 줄 입성 外


[앵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비서실장에 이어 백악관 참모진 9명의 인선을 발표했습니다. 이번에도 대선 승리에 공을 세운 측근들이 기용됐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퇴임 전 아프간과 이라크에 주둔 중인 미군 병력을 일부 철수하라고 지시했습니다. 그러자 여당인 공화당 안에서도 비판적인 목소리가 나옵니다. 밤사이 들어온 글로벌 뉴스, 김지수 기자와 살펴보겠습니다. 어서 오세요.

[기자]

안녕하세요.

[앵커]

조 바이든 대통령 당선인이 백악관의 요직을 맡을 핵심 참모 9명의 명단을 발표했습니다. 자세히 전해주시죠.

[기자]

이번 인선은 론 클레인 백악관 비서실장 지명에 이은 후속 인선입니다. 이번에도 대선 승리에 공을 세운 최측근 참모들이 줄지어 기용됐습니다. 선거 캠프에서 수석 전략가로 활동해온 바이든의 오랜 측근 마이크 도닐런이 선임고문에 낙점됐습니다. 마이크 도닐런은 80년대부터 바이든과 인연을 이어왔으며, 오바마 행정부 시절 국가안보보좌관을 지낸 톰 도닐런과 형제 사이입니다. 캠프 선대 위원장을 지낸 스티브 리체티도 선임고문을 맡게 됐습니다. 바이든의 부통령 시절 비서실장을 역임한 측근으로 도닐런과 함께 바이든의 메시지 관리에 핵심적 역할을 해왔습니다. 캠프 선대본부장을 지낸 젠 오맬리 딜런은 부비서실장으로 일하게 됐습니다. 오맬리 딜런은 민주당에서 대선을 승리로 이끈 첫 여성 선대본부장이었습니다. 바이든 당선인은 인선 명단을 발표하면서 "미국은 엄청난 도전에 직면했고, 이들은 이런 도전과 더 강하고 단합된 국가의 등장에 다양한 관점과 헌신을 가져올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번 인선에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이나 대변인은 포함되지 않았습니다.

[앵커]

바이든 당선인은 이처럼 정권 인수작업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불복 행보에도 불구하고 말이죠. 그런데 트럼프 대통령이 자신의 퇴임 전까지 아프간과 이라크 주둔 미군의 일부를 철수하라고 지시했습니다. 큰 논란을 부를 것 같아요.

[기자]

트럼프 대통령과 좀처럼 각을 세우지 않는 현재 여당인 공화당 측근들도 비판적 입장을 내놓고 있는 상황인데요. 미국 국방부는 아프가니스탄과 이라크 주둔 미군을 각각 2천500명 수준으로 감축하겠다는 방침을 밝혔습니다. 현재 아프간에는 약 4천500명, 이라크에는 약 3천 명의 미군이 주둔해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 퇴임 전까지 아프간에서는 2천 명, 이라크에서는 500명을 줄이겠다는 겁니다. 공화당 상원 원내대표인 미치 매코널은 이와 관련해, 앞으로 몇 달간 이라크와 아프간에서의 철군을 포함한 국방과 외교정책에서 주요 변화가 있어서는 안 된다고 경고했습니다. 일각에서는 아프간 철군이 안보를 해치고, 현재 진행 중인 아프간 정부와 탈레반과의 평화협정에 타격을 줄 것이라고 지적도 나옵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대선 패배 이틀 만인 지난 9일 아프간 등에 대한 미군 조기 철군을 반대해온 마크 에스퍼 전 국방부 장관을 경질했습니다. 이어 정책담당 차관 대행, 정보담당 차관, 장관 비서실장이 줄줄이 사임했고, 그 자리에는 미군 철수를 주장하는 인사들로 채워졌습니다. 미국 언론들은 트럼프 대통령의 아프간 철군이 실행될 경우 바이든 당선인과 국가안보팀에도 큰 어려움을 안길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앵커]

트럼프 대통령은 여러모로 좋지 않은 상황에 놓여있는데요. 선거 결과에 불복하는 소송에서도 어려움을 겪고 있죠.

[기자]

트럼프 대통령의 불복 소송이 잇따라 기각되거나 철회되고 있습니다. 트럼프 캠프는 펜실베이니아주에서 낸 소송과 관련해, 광범위한 '유권자 사기'가 있었다는 핵심 주장을 포기했습니다. 캠프 측은 대신 '일부 투표용지가 참관인 없이 집계됐다'면서 개표 과정의 결함을 주장하는 쪽으로 쟁점을 좁혔습니다. '유권자 사기가 만연했다'면서 트럼프 지지자와 보수단체가 펜실베이니아와 미시간, 조지아, 위스콘신주에서 제기한 소송, 네 건은 취하했습니다. 소송을 통해 선거 결과를 뒤집으려는 시도가 난항을 겪고 있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어려움은 이뿐만이 아닙니다. 소송을 대리하는 로펌과 변호사가 줄줄이 발을 빼는 것도 난제로 떠올랐습니다. 트럼프 캠프의 소송은 '2000년 대선처럼 현재 보수 우위인 대법원이 선거 결과를 정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를 낳았지만, 계속된 패배로 가능성은 작아지고 있다고 현지 언론은 분석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재검표를 요구하겠다'고 공언해온 트럼프 대통령이 위스콘신주 대선 재검표에 대한 신청서를 낼지 관심이 쏠립니다. 위스콘신주 대선 재검표에는 790만 달러, 우리 돈 87억 원이 드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위스콘신주법에 따르면 1%포인트 이하의 차이로 질 경우 패배한 쪽이 재검표를 요구할 수 있습니다. 요구 시한은 현지시간 18일 오후 5시까지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2만500표 정도인 0.6%포인트 차이로 졌기 때문에 재검표를 신청할 자격이 있고, 실제로도 재검표를 요구하겠다고 말해왔습니다. 문제는 비용입니다. 위스콘신주법은 0.25%포인트 이하로 패배했을 때는 주에서 비용을 대지만, 그보다 격차가 클 때는 신청한 쪽에서 선불로 비용을 부담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재검표로 2만 표 차이를 뒤집기는 어렵다는 관측도 나옵니다.

[앵커]

이번에는 코로나19 상황 살펴보겠습니다. 현재 가장 심각한 미국의 상황은 어떻습니까.

[기자]

매일 발표되는 통계 수치만 보더라도 재확산이 심각해지고 있다는 걸 알 수 있는데요. 미국에서 2주일째 하루에 10만 명 이상씩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존스홉킨스대 통계에 따르면 16일 하루 미국에서 16만6천 명의 신규 확진자가 새로 나왔습니다. 사태 후 최고치인 지난 13일의 17만7천 명에 근접한 겁니다. CNN은 또 16일 하루 코로나19 입원환자가 7만3천 명으로 집계돼 사상 최다를 기록했다고 보도했습니다. 따라서 병원이 환자를 감당하지 못하는 사태가 닥칠 수 있다는 우려가 매우 큰 상황입니다. 해안가 도시와 달리 유타·몬태나·다코타 주처럼 중환자실 병상과 의...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