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포커스] 바이든, 정권인수 준비 속도…인수위 본격 가동

  • 4년 전
[뉴스포커스] 바이든, 정권인수 준비 속도…인수위 본격 가동


미국 대선에서 승리한 조 바이든 대통령 당선인은 분열이 아닌 통합을 강조하며 미국이 다시 세계로부터 존경받게 하겠다고 당선 소감을 밝혔습니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선거 결과에 대한 불복 입장을 고수하면서, 극심한 대선 후유증이 예상되고 있는데요.

관련 내용들, 김영준 국방대학교 안전보장대학원 교수, 최순미 아주대 아주통일연구소 교수와 함께 짚어보겠습니다.

결국 바이든으로 결정됐습니다. 미 대선 이렇게까지 오래, 그리고 박빙이었던 적이 있었습니까?

바이든 당선인이 승리 연설에서 "민주당 아닌 미국의 대통령이 될 것이다" "미국이 다시 세계로부터 존경받게 하겠다"는 등 통합과 치유의 메시지를 내놓았습니다. 그동안의 트럼프 행정부와 차별화가 예상되는데요. 존 바이든 당선인의 당선 소감, 어떻게 들으셨나요?

그렇다면 대역전 드라마를 이끌어낸 바이든 당선인은 미 역사상 최고령이자 삼수 도전 끝에 대권을 거머쥐었는데요. 바이든 당선인의 당선 비결은 뭐라고 보십니까?

바이든 행정부를 이끌 인물 면면들에 대한 관심도 높습니다. 특히, '여성 오바마'라 불리는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에 대한 관심이 뜨거운데요. 미국 첫 흑인 부통령이자, 최초의 여성 부통령, 어쩌면 미국의 첫 여성 대통령이 될 수도 있는 인물인데요. 카멀라 해리스는 어떤 인물인가요?

우리에겐 그 무엇보다 외교 참모가 누가 될 것 인지가 가장 중요한데요. 국무장관 후보에 오바마 정부에서 국가안보보좌관을 지낸 수전 라이스도 거론이 되던데, 일본과 가까운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현재 어떤 사람들이 거론이 되고 있나요?

트럼프 대통령은 근소하게 패배한 경합주들을 대상으로 재검표 요구하고 있습니다. 많은 미국 선거법 전문가들이 트럼프 대통령이 소송에서 이기기 어려울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는데요. 트럼프 대통령은 결과를 뒤집을 수 있을 거라 생각하고 있을까요? 연일 골프를 치는 등 겉으론 여유로운 모습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소송전의 진짜 의도는 뭐라고 보시나요?

오늘 미국 내에서 가장 뜨거운 관심은 트럼프 대통령이 4년 후에 다시 나온다라고 발표한 것인데요. 공화당 내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의 이런 행동에 대해서 비판적인 시각도 있고 승복을 해야 한다라는 이야기도 있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소송을 얘기하고 있습니다. 4년후 출마한다면 공화당 내에서 경선을 거쳐야 되는데 다시 재기가 가능하겠습니까?

문대통령도 바이든 당선인의 승리를 축하하는 메시지를 전했습니다. 아직 바이든 당선인이 공식적인 당선인 신분이 아니기 때문에 트위터를 이용했는데요. 공식 취임까지는 약 두 달 정도가 남았습니다만 두 정상의 만남은 언제쯤 볼 수 있을까요?

문 대통령도 당선 축하인사에서 밝혔지만 우리 정부는 한미동맹과 관련해 바이든 정부에 기대하는 바가 큽니다. 트럼프 정부와 해결하지 못한 방위비 분담금 문제 등 확실히 트럼프 행정부 시절과는 한미 관계에도 변화가 있을 것 같은데요. 앞으로의 한미 관계, 어떻게 예상하시나요?

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폼페이오 미 국무부 장관의 초청으로 미국을 방문합니다. 바이든 당선이 확정이 된 상황에서의 방미 일정이다 보니 바이든 측과의 접촉도 주목이 되는데요. 현재 우리 정부는 바이든 행정부 외교안보 요직을 맡을 것으로 예상되는 인사들과의 친분은 어느 정도가 되나요?

북한은 그동안 미국의 정권 교체 시기 때마다 전략적 도발을 감행해 왔는데요. 지난 당 창건일 열병식에서도 대규모 신무기들을 선보이며 자신들의 메시지를 전하기도 했습니다. 이번에도 무력 도발이 있을 거라 보십니까? 만일 있다면 그 시기는 언제쯤이라고 예상하시나요?

미국과 북한 사이에서 한국 정부의 역할도 중요한데요. 바이든 캠프 외교안보 참모들 중에선 대북 강경파가 적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하지만 문재인 정부와 정책 '궁합'을 고려하면 전망이 크게 나쁘지 않다는 의견도 있는데, 이 부분은 어떻게 보십니까?

북한은 미 대선 결과에 대해 지금까지 아무런 반응을 내놓지 않고 있습니다. 북한 언론 매체들도 미국 대선 결과에 대해 일체 아무런 보도를 하지 않고 있는데요. 언제쯤 북한이 목소리를 낼 거라 보시나요? 만일 목소리를 낸다면 어떤 내용이 될까요?

문 대통령도 당선 축하인사에서 밝혔지만 우리 정부는 한미동맹과 관련해 바이든 정부에 기대하는 바가 큽니다. 트럼프 정부와 해결하지 못한 방위비 분담금 문제 등 확실히 트럼프 행정부 시절과는 한미 관계에도 변화가 있을 것 같은데요. 앞으로의 한미 관계, 어떻게 예상하시나요?

전시작전권 이양 문제도 숙제로 남아 있는데요. 전작권 문제에 대해선 바이든 정부는 어떤 입장을 보일 거라 예상하십니까?

과거 오바마 정부 시절 미국이 한일 위안부 합의를 적극적으로 독려했는데요. 바이든 정부는 어떨까요? 한일 갈등 문제 해결에 적극적으로 나설거라 보세요?

특히 북한을 협상 테이블로 끌어내려면 한국의 역할도 중요하지만 중국의 역할도 중요합니다. 바이든 정부가 출범을 해도 미중 갈등 문제는 계속해서 유지가 될 텐데요. 미중 갈등 문제가 한반도 프로세스에 어떤 영향을 주게 될까요? 바이든 정부는 어떤 방식으로 풀어나가야 한다고 보십니까?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