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위비 압박 완화할까…일본, 동맹 중시 노선 기대

  • 4년 전
방위비 압박 완화할까…일본, 동맹 중시 노선 기대

[앵커]

일본 정부는 미국의 새 행정부가 동맹국을 중시하는 노선으로 돌아설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주일미군 방위비 증액 압박도 완화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일고 있습니다.

도쿄에서 김호준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기자]

일본 언론들은 바이든 당선인의 동맹국 중시 노선으로 미국의 방위비 증액 압박이 약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미국과 일본 사이의 주일미군 주둔 관련 방위비 분담 협상은 지난달 중순부터 시작됐습니다.

주일미군 주둔비 분담의 근거가 되는 미일 방위비 특별협정은 내년 3월에 만료됩니다.

이와 관련, 존 볼턴 전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은 지난 6월 자신의 회고록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주일미군 주둔 경비로 연간 80억 달러, 우리 돈으로 약 9조 원을 요구했다고 밝혔습니다.

80억 달러는 현재 일본 정부가 부담하는 연간 주일미군 주둔 경비 분담금의 4배 이상입니다.

이처럼 미국 제일주의를 앞세우며 동맹국에 부담을 늘리라고 강하게 요구해온 트럼프 행정부와 달리 새 행정부는 대폭적인 방위비 분담금 증액을 요구하지는 않을 것으로 일본 언론은 전망하고 있습니다.

일본 언론은 또한 바이든 당선자가 지구온난화 대책을 담은 국제 합의인 '파리협정'에 복귀한다고 밝힌 바 있어 일본 정부도 이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주문하고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2017년 6월 협약 탈퇴를 선언한 후 지난해 11월 4일 탈퇴 절차를 시작했습니다. 협약 규정에 따라 절차 개시 후 1년이 지난 4일 미국의 탈퇴가 공식 발효됐습니다.

파리협정 복귀를 천명한 바이든 당선인의 승리로 기후변화 문제와 관련 미국의 정책이 바뀔 것으로 일본 언론들은 전망하고 있습니다.

한편, 스가 요시히데 일본 총리는 내년 1월 이후, 바이든 당선자가 공식 취임한 이후에 미국을 방문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도쿄에서 연합뉴스 김호준입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