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방위비 압박 거세지나…"트럼프, 정상회담서 계속 거론해와"

  • 4년 전
美, 방위비 압박 거세지나…"트럼프, 정상회담서 계속 거론해와"

[앵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주독 미군 감축 계획을 또 언급하며 한국에 대해 우회적으로 방위비분담증액 압박을 이어갔는데요.

트럼프 대통령은 그동안 한미정상회담과 같은 자리에서 누차 주한미군 문제를 거론하며 방위비 증액을 압박해왔다고 존 볼턴 전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이 주장했습니다.

김영만 기자 입니다.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주독 미군 감축을 재차 거론하고 나섰습니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3개월만에 처음으로 재개한 대선 유세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여러 나라에서 미군 병력을 빼는 건 적절하게 대우하지 않기 때문"이라며 독일을 사례로 꼽았습니다.

독일이 약속한 방위비 규모를 지출하지 않는다며 주독 미군을 현재 3만4천여명에서 2만5천명으로 줄이겠다는 겁니다.

한국은 직접적으로 언급하진 않았습니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은 우회적으로 한국에 대해서도 방위비 증액을 압박한 것이라는 관측이 설득력을 얻고 있습니다.

한미 방위비 협상이 절충점을 찾지 못하고 장기간 표류하자 독일 사례를 빌어 주한미군 감축 가능성을 넌지시 상기시키며 압박을 가하는 것이라는 분석입니다.

이런 가운데 존 볼턴 전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은 트럼프 대통령이 한미정상회담 등에서 주한미군 문제를 언급하며 계속해서 방위비 증액을 압박해왔다고 폭로했습니다.

볼턴 전 보좌관은 회고록에서 지난해 6월 청와대 정상회담 때 트럼프 대통령이 상황이 평화로워지면이란 조건을 달긴 했지만, 주한 미군 철수 가능성까지 내비치며 방위비 증액을 압박했다고 밝혔습니다.

작년 8월엔 트럼프 대통령이 당시 진행중이던 한미연합지휘소사건을 거론하면서 미국이 한국에 요구하는 50억 달러 합의를 얻어내지 못한다면 한국에서 미군이 나오라고 말했다고도 주장했습니다.

또 이보다 한 달 앞선 작년 7월 자신이 한일 순방을 마치고 귀국했을 때는 "일본과 한국으로부터 80억달러와 50억달러를 얻어내는 방식은 모든 미군을 철수한다고 위협하는 것"이라고 말했다고 폭로했습니다.

연합뉴스 김영만 입니다. (ymkim@yna.co.k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