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
본문으로 건너뛰기
푸터로 건너뛰기
검색
로그인
전체 화면으로 보기
좋아요
댓글
북마크
공유
재생 목록에 추가
신고
美 “中 선박에 입항료”…관세 이어 ‘해운전쟁’
채널A News
팔로우
2025. 4. 19.
미중 이번엔 해운전쟁?… "中 선박 돈 내라"
美 "180일 뒤부터 입항 수수료 단계적으로 부과"
美 "중국 해운사, 중국산 선박 운영 해운사 대상"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동영상 트랜스크립트 전체 보기
00:00
한국국토정보공사
00:30
한국국토정보공사
00:32
우리나라며 한국국토정보공사
00:34
우리나라며 모든 사람들이
00:36
如何 많은 시간
00:38
我想到下三至四星期
00:40
以推高的全球的行為成本
00:43
扰亂了全球成立的穩定
00:46
我们敦促美方尊重事实和多边规则
00:50
立即停止
00:52
作为作用
00:53
中方将采取必要的措施
00:55
捍卫自身的合法权益
01:00
미국과 중국의 무역전쟁, 관세를 넘어서 해운 전쟁까지 번지는 분위기입니다.
01:10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과의 관세 협상이 3, 4주 내에 마무리될 거라고 밝혔지만요.
01:16
미국이 중국 해운사의 선박이 미국 항구에 입항을 할 때 입항 수수료를 받겠다라고 한 겁니다.
01:22
그래서 중국이 즉각 반발을 한 상황을 지금 영상에서 보셨고요.
01:27
미국 무역대표부가 발표한 내용을 보면 180일 뒤부터 미국 입항 수수료를 단계적으로 부과한다는 거예요.
01:35
그 부과 대상에는 중국 해운사뿐만 아니라 중국산 선박을 운영하는 해운사,
01:41
그러니까 다른 국가의 해운사더라도 중국산 선박을 운영을 하면 이곳들에도 입항 수수료를 단계적으로 부과하겠다는 겁니다.
01:50
10월부터 톤당 50달러를 부과하고 2028년에는 140달러로 인상을 하겠다, 이런 계획을 밝힌 겁니다.
02:00
허준 변호사님, 지금 좀 관세 압박을 거세게 하고 있는 와중에 중국은 나름대로 의연한 태도를 보였단 말이죠.
02:09
그런데 앞서 영상을 보셨다시피 해운 관련한 전쟁에 나서려고 하니까 상당히 날 서 있는 반응이었거든요.
02:17
그렇습니다. 중국에서도 아무래도 이때까지는 무대응으로 일관을 하면서 전면전까지는 아니었지만 나름대로 어떤 저항을 했었죠.
02:26
고가세를 부과한다든가 아니면 홍콩발 수포 관련해서 면세를 폐지를 한다고 하니까 그 부분에 대해서 아예 접수를 하지 않는다든가
02:35
히토르 수출을 금지한다든가 이런 어떤 정책을 표기에는 했었지만
02:39
지금 이 입항률을 부과한다는 것이 어마어마한 무역 분쟁으로 이어질 수가 있고
02:46
특히 중국에서는 이런 대미 수출이라든가 이런 부분에 있어서 수출에 대한 어떤 부담 자체가 엄청나게 커질 수밖에 없습니다.
02:53
특히 이게 유예 기간이 어느 정도 있다라고는 하지만 장기적으로 봤을 때도 무역 분쟁을 심화할 수 있는 요소인데다가
03:00
중국 입장에서도 이런 부분은 큰 경제적인 타격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기 때문에 대응 조치를 강구하겠다라고 즉각 반박하는 입장을 내놨거든요.
03:11
어떤 대응 조치를 취할지는 아직 구체적으로 나오지는 않은 상황이긴 합니다만
03:16
일단 지금 트럼프 대통령이 그래도 약간의 유화적인 제스쳐도 취하고 있단 말이죠.
03:21
그래서 이게 만약에 미국과 중국의 계속적인 어떤 무역 분쟁으로 이어지게 된다고 하면
03:27
미국과 중국만 영향이 있는 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도 영향을 미칠 수가 이렇게 번져나갈 수가 있습니다.
03:33
물론 우리나라 같은 경우에는 이 틈새 시장을 이용해서 어느 정도 반사 이익을 볼 수 있다 이런 전망도 나오고 있기는 하지만
03:39
어떻게 될지는 좀 지켜봐야 되는 상황입니다.
03:42
손석우 평론가님, 해온 전쟁이라는 이야기까지 나오고 있는 건데
03:47
미국 측에서 이렇게 한 조치가 어떤 영향을 미칠지 어떤 의미인 건지 궁금하고요.
03:54
또 중국 측이 내놓을 수 있는 대응은 뭐가 있습니까?
03:57
이게 비관세 조치잖아요.
03:59
하지만 이게 사실 중산 배로 들여오는 수입품에 대해서는 또 사실상 관세를 부과하는 것으로도 봐야 되겠거든요.
04:07
그러니까 관세 장벽을 더 공고히 세웠다고도 볼 수 있겠고
04:11
얼마 전에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 조선업 부하를 행정명령에 서명했지 않습니까?
04:16
미국 조선업 부하를 위해서는 자국의 선박 건조 능력을 키워야 되고
04:20
이를 위한 시장을 만들어야 되는데 그러려면 누군가의 자리를 밀어내야 되겠죠.
04:25
그래서 그 첫 걸음을 지금 중국 조선 해운업을 타겟으로 압박을 가고 있다고 볼 수 있는 거고
04:31
중국이 이제 가격 경쟁력이나 꽤 괜찮은 선박 건조 능력을 갖고 있어서
04:36
지금 세계 조선 시장의 절반 이상을 중국이 차지를 하고 있거든요.
04:40
그래서 중국 선박에 직접 세금을 부과하는 것은 아무래도 한계가 있기 때문에
04:45
또 우회 경로가 만들어지기도 하고요.
04:47
그래서 입항 수수료를 부과함으로써 중국 선박을 이용한 해운사들까지도
04:53
압박하는 효과가 있겠다라고 보여지고
04:55
따라서 이거는 트럼프 특유의 저인망식 압박 전략이다 이렇게도 해석이 되고요.
05:00
또 하나 중요한 건 트럼프의 해양 패권에 대한 야심입니다.
05:04
이 압박의 최종 목적은 무엇일까라고 봤을 때
05:07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에 처음 했던 조치가 뭐였냐면
05:12
파나마 운하를 거론을 했었거든요.
05:15
그러니까 파나마 운하에 대한 운하 통제권을 가져와야 된다라고 주장을 했었고
05:19
그때 트럼프 대통령이 주장했던 게 파나마 운하를 드나드는 미국 선박이라든지
05:23
미국 해군 함정에 대한 정보를 중국이 가져간다라는 식으로 이야기를 했단 말이에요.
05:28
결국 파나마 운하에 대한 운영권을 가진
05:32
CK 허지슨이라는 회사가 미국 자산운용사 블랙록의 지분을 매각하기로 했고
05:37
거기에 대해서 지금 중국이 팔지 말라고 압박을 가하고 있는 이런 상황이거든요.
05:41
그러니까 지금 중국 조선 해운업에 대한 입항 수술을 부과하는 것은
05:47
결국에는 트럼프가 해양 패권을 가져가기 위한 조치가 시작됐다.
05:52
이렇게 해석이 됩니다.
05:53
중국을 좀 압박을 하고 있는 건데
05:55
이런 와중에 좀 우리나라가 반사 이익 볼 수 있는 겁니까?
05:59
아까 가능성이 좀 언급이 됐는데요.
06:00
네. 그러니까 기존에 말씀드렸지만
06:03
유일하게 트럼프가 변덕을 부리지 않는 게 한국 조선업과의 협력 의사지 않습니까?
06:08
계속해서 한국 조선업에 대한 긍정적인 부분을 이야기를 하고
06:13
협력을 희망한다라는 이야기를 하고 있고
06:15
그러면 지금 이렇게 중국 조선 선박에 대해서 입항 수술을 부과하게 되면
06:20
해운사들은 중국 선박 비중을 늘릴 수가 없단 말이죠.
06:24
결국에는 줄여야 되는데
06:25
그 줄여드는 자리에 당장 미국 배들이 들어갈 수는 없는 거고
06:30
그리고 그 빈자리를 일단은 한국 조선사들이
06:33
선박 발주의 혜택을 받게 될 가능성이 커 보이죠.
06:36
단기적으로 보면 미국, 한국 조선사들에 대한 수혜가 예상이 되는 부분입니다.
06:41
네. 최근 미국 정부는 중국용 저사양 AI 침배까지
06:46
대중 수출 통제를 강화하기도 했습니다.
06:49
엔비디아의 젠슨 황 CEO가 직격탄을 맞은 건데요.
06:53
보란듯이 중국을 방문했습니다.
06:55
경제 사령탑을 만나서 중국과의 협력을 계속하겠다.
06:59
이렇게 밝힌 건데요.
06:59
이에 대한 트럼프 대통령의 반응까지 들어보시죠.
07:02
미국, 미국, 미국, 트럼프 대통령의 반응을 맞은 건데요.
07:08
그러니까 엔비디아 젠슨 황 CEO가 트럼프의
07:38
중국 견제 방침에도 중국과 함께 하겠다 이렇게 뜻을 밝혔고
07:42
그런데 이제 트럼프 대통령은 또 애국자니가 걱정하지 않겠다 이런 얘기를 한 거예요.
07:48
그런데 이제 젠슨 황이 이렇게 방문했다는 건 그만큼 엔비디아에 있어서 중국이 정말 중요한 시장이라는 거겠죠.
07:54
그렇습니다. 중국이 엔비디아에 있어서는 네 번째로 큰 거래 대상입니다.
08:00
작년에 수출한 규모만 22조 원, 무려 13%를 매출해서 차지를 했다라고 하는데요.
08:06
지금 문제가 된 것은 저사양 인공지능 칩인데 이게 슈퍼컴퓨터와 연결해서 어떤 무기 개발에 쓸 수 있다는 어떤 우려 때문에 기존에는 규제를 하지 않다가 이번에 규제를 받게 된 겁니다.
08:20
그런데 이걸로 인해서 지금 중국 빅테크, 텐센트라든가 알리바바에서 무려 130만 개의 칩을 주문을 했었는데 이게 다 막혔단 말이에요.
08:28
그러면 그것만 해도 손실이 엄청나고 작년에 지금 올렸던 어떤 매출액을 비교해서도 굉장히 지금 손실이 큰 게 이번 분기에만 지금 7조 원이 넘는 손해가 예상이 된다라고 얘기가 나오고 있는 상황이거든요.
08:44
그런데 중국 쪽에서는 AI 관련한 어떤 개발을 정부 차원에서도 굉장히 독려하고 있고 각종 규제도 많이 철폐를 하고 있습니다.
08:52
그렇기 때문에 엔비디아로서는 중국 시장을 포기를 할 수가 없는 너무나 중요한 시장이기 때문에 계속해서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를 하고 이런 규제에도 불구하고 규제를 어느 정도 지키는 선에서 우회에서라도 계속 뭔가 사업 거래를 이어나가고 싶다.
09:09
이런 것들을 표현한 그런 상황으로 보입니다.
09:12
그러니까 엔비디아에 어떻게 보면 불똥이 튄 상황인 건데요.
09:16
미국 내에서는 중국을 압박하는 행보가 또 이어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09:21
평론가님, 미국 하원의회가 우리 중국에 또 AI 하면 딥시크가 있지 않습니까?
09:26
그와 관련해서 또 조사를 지금 하라고 얘기한 상황이라면서요?
09:30
네, 일단은 미국 하원 중국특별위원회가 딥시크의 개발 과정을 조사한 16쪽짜리 보고서를 발간을 했어요.
09:37
이 내용을 보면 미국이 얼마나 중국 AI 굵기에 대해서 두려움을 갖고 있고 아예 전방의 압박수단을 통해서 공급망 자체를 끊어버리려고 하는 의도들이 다분하게 보입니다.
09:51
일단 여기 보고서 내용을 보면 크게 두 가지입니다.
09:53
딥시크 모델이 미국으로부터 불법적으로 유출된 기술을 통해서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가 하나가 있고요.
09:59
그다음에 이 개발 과정에서 중국으로 수출되면 안 되는 칩을 사용됐다라는 점을 적시를 하고 있습니다.
10:07
그게 두 가지의 결론을 내고 그래서 결국에는 미국 안보에 딥시크가 우려가 된다라는 결론을 내고 있고요.
10:15
매우 강력한 통제 방안들을 권고를 하고 있는데 이게 상당히 수위가 높습니다.
10:20
일단은 제3국으로의 칩 수출을 더 강력하게 통제를 할 것을 권고를 하고 있고요.
10:26
또 칩 제조사들이 최종 이용자를 추적을 해서 정부에 보고를 할 것을 의무화하고 있습니다.
10:33
또 하나는 저는 이걸 가장 눈여겨봤는데 고위험 국가에 수출하는 칩, 중국이 되겠죠.
10:40
이 칩들에 대해서 아예 추적 기능을 칩에 내장시켜라.
10:43
이런 것까지 의회가 보고서에 권고를 하고 있단 말이죠.
10:47
그리고 또 하나 마지막으로 딥시크를 비롯해 이런 중국형 AI 모델들을 미국 내에서 공공기관을 비롯해서 아예 원천 금지할 것까지도 요구를 하고 있습니다.
10:57
앞서 이게 칩의 추적 장치까지 부착하라고 미국 의회가 보고서에서 얘기를 했잖아요.
11:01
이건 거의 분사 작전 수준에 통제를 가하겠다라는 거니까 지금 미국 행정부뿐만 아니라 의회까지 나서서 사실상 모든 수단을 동원할 수 있다는 것을 내포를 하고 있는 것이죠.
11:12
이 칩의 추적 장치까지 부착하고 있습니다.
추천
7:47
|
다음 순서
추미애, 트럼프 이란 공격 비판…“‘엄지 척’ 바라나”
채널A 뉴스TOP10
어제
1:51
[자막뉴스] 바다서 중국 몰아낸다?... 미국 조치에 커지는 우려 / YTN
YTN news
2025. 4. 14.
2:17
美 “중국 배 돈 내라”…1척에 최대 41억 원
채널A News
2025. 4. 18.
5:16
미국 vs 중국, 결국 시작된 ‘관세 전쟁’?
채널A News
2025. 2. 5.
4:32
中, 반년 만에 ‘대만 포위’ 훈련 돌입
채널A News
2025. 4. 2.
1:20
[자막뉴스] 시진핑 '전쟁 대비' 지시하자...하루만에 발생한 일 / YTN
YTN news
2020. 10. 16.
2:12
[자막뉴스] 中 군함 '인해전술'에 놀란 美...한국, 천문학적 시장 열렸다 / YTN
YTN news
2025. 2. 17.
6:25
“중국 덕분에 90일 유예”…한국, 중국에 감사해라?
채널A News
2025. 4. 13.
2:08
중국, 서태평양에서 '쌍항모' 훈련...제2 도련 첫 돌파 / YTN
YTN news
2025. 6. 11.
2:17
미, '해운 전쟁'으로 또 중국 압박...중 "즉시 중단" 반발 / YTN
YTN news
2025. 4. 18.
1:56
[자막뉴스] 中 선박에 ‘입항세’까지...美, 중국 조선업에 직격탄 / YTN
YTN news
2025. 4. 19.
20:52
대만, 중국 침공 대비 돌입…남일이 아닌 이유
채널A News
2025. 3. 24.
2:01
중국서 200톤 선박 떠내려와도 해군·해경 몰랐다
채널A News
2023. 11. 29.
3:27
서해에 만리장성?…중국 ‘알박기’ 나섰다
채널A News
2025. 3. 28.
1:45
꽃게 씨말리는 中 어선 잡아라…불법 조업과의 전쟁 돌입
채널A News
2023. 5. 13.
2:14
'중국 vs 필리핀' 해경선 충돌..."전쟁 배제 못 해" / YTN
YTN news
2024. 8. 19.
1:19
그동안 중국이 장악했는데...한국 '뜻밖의 이득' [지금이뉴스] / YTN
YTN news
2025. 4. 18.
0:40
미국 입항료 부과에 중국 "즉시 중단하라" 보복 시사 / YTN
YTN news
2025. 4. 18.
2:09
중국 “희토류 수출 중단”…미국 “더 안 봐줘”
채널A News
2025. 4. 14.
1:52
중국인도 놀란 모래폭풍…하늘 가리는 ‘모래벽’
채널A News
2025. 3. 12.
2:00
중국, 남중국해서 필리핀 선박에 물대포
채널A News
2024. 4. 30.
2:11
中 '쌍항모' 첫 훈련...美 대선 틈타 국지전 우위 과시 / YTN
YTN news
2024. 11. 3.
2:25
타이완 해저케이블 또 끊겨...이번엔 '중국 선박' 나포 / YTN
YTN news
2025. 2. 26.
15:36
[핫3]군사시설 촬영한 中 10대들…“아버지는 공안”
채널A News
2025. 4. 9.
4:21
서해에 등장한 ‘수상한 구조물’…남중국해 점유 수법 판박이?
채널A News
2025. 4.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