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푸터로 건너뛰기
  • 2025. 6. 22.


추미애 "미국이 루비콘 강을 건너버렸다"
추미애 "이스라엘 공격과 미국 폭격, 국제법 위반"
이란 핵시설 타격한 미국…北 영변 핵시설은?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지금까지 뉴스 스토리였습니다.
00:30포스터가 떨어진 이란, 지금 난리가 났죠.
00:33북한도 긴장하지 않을 수 없을 겁니다.
00:37트럼프 대통령, 얼마 전까지만 해도 이렇게 얘기했었습니다.
00:43들어보시죠.
00:43네, 성치윤 부의장.
01:01과거의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정상회담도 했을 정도로 가까웠다가
01:06또 하노이 노릴 이후에 또 멀어졌다가 다시 이번에 또 집권하면서 가까워지려고 또 노력하고 있고
01:14하여튼 참 애증의 관계인 것 같아요.
01:17오늘 추미애 의원이 민주당에서는 유일하게 이 폭격과 관련해서 SNS 글을 올렸더군요.
01:25미국이 루비콘강을 건너버렸다.
01:27이스라엘의 공격도, 미국의 폭격도 모두 국제법 위반이다.
01:32미국에서도 이런 주장이 나오고 있다.
01:34이렇게 얘기했어요.
01:34그런데 사실 이재명 대통령은 어떤 해외에서 있었던 전쟁이나 이런 것에 대해 개입하지 않는다라는 원칙을 그때 밝혔었잖아요.
01:44그것과 이것은 어떤 관계가 있어요?
01:46저는 추미애 의원은 원론적인 이야기를 하신 거라고 보고요.
01:48사실 미국 국내에서도 미국 공화당 내에서도 강경파 이외에는 이렇게 미국의 직접적인 개입은 계속적으로 지속적으로 반대를 해왔습니다.
01:56미국 국내에서도 미국 국민들이 지금 사실 트럼프가 당선될 때도 미국 국내 경제를 챙기겠다는 목적, 그 공약으로 당선이 됐는데
02:03이렇게 외국에 있는 전쟁에 대해서 개입을 하면서 이런 문제를 신경 쓰다 보면 결국 미국의 국력과 경제가 소모되기 때문에
02:10그런 것에 대한 국내 반발도 매우 심하거든요.
02:13사실 그래서 지금 이번에 미국이 이렇게 즉각적으로 그리고 또 빠르게 개입한 이유가
02:17트럼프가 대통령이 당선되면서 내세웠던 것들, 관세 정책이라든지 아니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은 본인이 당선되면 24시간 안에 종전할 수 있다고
02:25험덩거리면서 큰 소리를 쳤었지만 다 아무것도 이루어지지 못하지 않았습니까?
02:29그런 본인의 입지가 좁아지다 보니까 중동 전쟁에 좀 무리해서 개입한 것 아니냐라는 목소리도 분명히 있거든요.
02:34그런 차원에서 국내적으로, 그러니까 미국 국내적으로도 비판이 나오고 있는 상황 속에서
02:39민주당, 그러니까 대한민국의 국회의원이 이것 역시 국제법을 위반한 것이다.
02:45뭔가 국제사회, 미국뿐만 아니라 대한민국뿐만 아니라 중국 등을 비롯한 여러 국제사회, 여러 나라들이
02:51미국의 이런 공동 전쟁 개입에 대해서 부정적 메시지를 내고 있기 때문에
02:55트럼프도 사실 이거에 대해서는 상당히 부담감을 느끼고 있을 겁니다.
02:58이재명 대통령과 추미애 의원의 결이 다른 것 아니냐, 이렇게까지 해석할 필요는 없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03:04알겠습니다.
03:05지금 화면으로 나오고 있는 장면들은 북한이 공개했던 여러 가지, ICBM이라든지 방사포라든지
03:11다양한 무기를 실험하고 공개했던 그 영상들을 보고 계십니다.
03:16이것이 이란의 무기와 어떤 차이가 있는지도 한번 짚어볼 텐데
03:19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여러 차례 핵 개발, 핵의 중요성을 이야기해왔습니다.
03:26들어보시죠.
03:28핵 무력을 진량적으로 강화하여 이미 전쟁 상황에서 각이한 작전의 목적과 임무에 따라
03:37각이한 수단으로 핵 전투 능력을 발휘할 수 있게 만들어야 합니다.
03:42대한민국이라는 최대의 적국이 우리의 가장 가까운 이웃에 병전하고 있는 특수한 환경과
03:49물리적 충돌에 의한 확전으로 전쟁이 발발할 위험은 현저히 높아졌고 위험 단계에 이르렀습니다.
03:56지금 나가고 있는 장면이 북한의 벙커로 추정되는 곳입니다.
04:05김정은 국무위원장이 뒤쪽으로 벽으로 되어 있는데 꽉 막혀 있는 어디 참호 같은 데 들어가 있는 듯한 느낌이에요.
04:13그런데 과거에 김정은 위원장이 회의했던 거 보면 창문도 있고 그랬거든요.
04:17집무실에.
04:18그렇다면 저기는 어디일 것인가 궁금해집니다.
04:21어디로 추정이 됩니까?
04:23뭐 아마 지하에 깊이 지휘 시설을 아마 만들어놨을 겁니다.
04:27지금 우리 대한민국이 현무5라고 하는 지금 이번에 GB57보다 훨씬 강력한 위력을 가지고 있는.
04:36더 강해요?
04:37벙커버스터를 우리는 가지고 있지 않습니까?
04:40그렇기 때문에.
04:40이게 국군의 날에.
04:42맞습니다.
04:42이게 작년 10월 1일 국군의 날에서 날에 공개한 현무5라고 하는 탄도미사일입니다.
04:50이거는 전략폭격기에 탑재해서 가는 게 아니고 탄도미사일로 발사합니다.
04:55너무 크네요.
04:56그러니까 이 탄두 무게만 8톤입니다.
04:59그래서 우리 현무5 탄도미사일에 탑재를 해서 300km를 날아갈 수 있으니까
05:05평양 지하에 김정은이 앉아있는 조지하시설을 완전히 한 발이 안 되면 두 발, 세 발, 다섯 발.
05:11그래서 완전히 초토화시킬 수 있는 그런 역량을 가지고 있는 무기입니다.
05:16이스라엘은 없습니다.
05:17미국도 없고 한국만 가지고 있는 무기입니다.
05:19그렇기 때문에 김정은으로서는 대단히 신경이 쓰이지 않을 수 없고
05:24오히려 저 무기를 조롱하면서 상당히 깎아내리는 그런 말을 했지만
05:28실제로는 저게 핵무기가 아니기 때문에 쓸 수 있거든요.
05:32핵무기는 사용하기가 어렵습니다만
05:34저건 재래식 무기이기 때문에 김정은으로서는 상당히 부담을 가질 수밖에 없을 겁니다.
05:40김정은 위원장 입장에서도 이번에 이스라엘의 이란 공격, 그다음에 미군의 이란 직접 개입
05:47이런 등등을 봤을 때 굉장히 불안해할 겁니다.
05:50다만 우리는 그런 일이 당연히 발생해서는 절대 안 되는 것이지만
05:55혹시 진짜 스텔스기가 쓱 왔다가 돌아보고만 갈 수도 있고요.
06:00진짜 무슨 북한도 지금 핵 개발을 완성했다고 이렇게 떠드는데
06:05거기다 하지 말라고 했는데 했어? 라고 해서
06:08진짜 비트폭격기가 와서 벙커버스트를 떨어뜨리고 갈지 굉장히 부담이 될 텐데
06:13사실 그런데 이란과 북한은 좀 다르지 않습니까?
06:16우리는 지금 북한과 너무 가깝잖아요.
06:18그렇죠. 그래서 사실은 그동안 북한이 1990년대부터 1차 핵위기, 2000년대 초에 2차 핵위기
06:25그동안 북한의 핵 개발 과정에서 협상을 통해서 해결하려고 애를 썼지만
06:30모든 협상이 실패했고요.
06:32그렇기 때문에 94년도에 미국이 핀포인트 폭격을 검토한 적이 있었습니다.
06:37세월이 벌써 30년이 흘렀거든요.
06:40지금 그동안 북한이 핵실험을 6번을 했고
06:42지금 국제사회에서는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북한이 플루토늄 방식의 플루토늄탄
06:49그다음에 우라늄 농축 방식의 우라늄탄 합쳐서 대략 최소 50기에서
06:54많으면 90기 정도를 핵탄두를 가지고 있을 것입니다.
06:59그리고 지금 김정은이 지금 미국과의 관계가 협상이 틀어지면서
07:04지금 부틴과 혈맹을 맺었지 않습니까?
07:07그렇죠.
07:07그렇기 때문에 지금 이란이 처한 입장과 북한이 처한 입장은 전혀 다릅니다.
07:14그래서 트럼프 대통령이 김정은과 대화를 통해서 외교적 방법으로 적어도 긴장을 낮추고
07:21북한 핵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그런 시도를 하고 있는 이유도 바로 거기 있다고 봅니다.
07:27이란은 고립무원 상태고 북한 뒤에는 러시아 또는 중국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07:32북한과의 어떤 군사적 충돌은 이게 3차 세계대전으로 갈 수 있기 때문에 미군도 그리고
07:38우리도 섣불리 어떤 그런 무력 충돌로 가지는 않을 것이다.
07:42이런 게 대부분의 전문가들의 생각인 것 같습니다.
07:46한국국토정보공사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