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푸터로 건너뛰기
  • 2025. 6. 20.


백악관 "트럼프, 2주 안에 이란 공격 여부 결정"
"2주 내"… '이란 핵포기' 최종 시한 내건 트럼프
조선 머뭇대는 트럼프 보란 듯… '이란판 영변' 때렸다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1사진에서 보이실까요? 비포와 애프터 사진인데
00:06이란의 프로토늄을 농축하는 핵심 원자로 시설을 이스라엘이 공격했습니다.
00:17완전히 파괴시켰습니다.
00:18관건은 이란의 강제 비핵화가 이스라엘에 의해서 차근차근 진행되고 있다는 겁니다.
00:26가장 핵심 지하 핵시설을 트럼프 대통령이 벙커버스터로 타격할지 말지에 대한 여부만 남아있습니다.
00:37자, 캐롤라인 레비, 백악관 대변인 얘기 들어보시죠.
00:56우리가 생각해 볼 것은 강제 비핵화.
01:12이스라엘과 이란과의 관계는 우리나라와 북한과의 관계와 흡사합니다.
01:15이란은 이스라엘을 끊임없이 괴롭혀왔고 이스라엘도 이에 맞대응해서 이란에 계속해서 타격을 주고 있던 와중에
01:25아시다시피 이란이 이스라엘을 위협하는 핵 개발을 강행해 온 겁니다.
01:29국제사회와 압박과 제재에도 불구하고 이란은 눈 하나 깜짝하지 않고 핵 개발을 강행해 왔는데
01:35지금 이스라엘에 의해서 강제 비핵화가 되고 있습니다.
01:40우리는 북한 핵을 어떻게 할 것인가와 관련해서 많은 생각이 듭니다.
01:44신범철 차관님, 이스라엘이 전쟁 초기에 여러 지상 핵시설을 타격했고요.
01:50지금 잠시 후에 우리가 보겠지만 중수로 시설, 중수로 시설에 폭격을 가한 모습인데
01:56이곳은 프로토늄을 농축해서 핵무기를 만드는 곳이죠.
02:00그렇죠. 방금 전 화면에 영변 핵시설과 유사하다고 설명했는데
02:05영변 핵시설?
02:05북한의 영변이 이란에게 있어서는 아라크 핵시설인 거죠.
02:10지금 저희가 대형 화면에 띄운, 지금 화면에 보고 계시는 이곳이 이른바 이란판 영변이다.
02:16그렇습니다. 저기에서는 플루토늄을 추출할 수 있고 1년에 9kg, 그러니까 핵무기를 잘 만든다면
02:233kg으로 핵무기를 만들 수가 있어요. 최저임계 질량이 그러니까.
02:28그런데 1년에 3개 정도의 핵무기를 만들 수 있는 시설이고
02:31핵시설이네요.
02:32그렇죠. 물론 IAA가 관여를 해서 설계를 변경했다고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02:38아주 중요한 시설이다. 어제 제가 나와서 이야기했던 나탄즈나
02:42포르도 시설은 거기에는 농축우라늄 시설입니다.
02:47핵무기를 만들 수 있는 두 가지 방법이 있는데
02:49그 하나인 플루토늄 시설을 이번에 폭격을 했어요.
02:53그럼 방사능이 유출되지 않느냐. 나름대로 이스라엘에서 준비를 한 것 같습니다.
02:58일단 인명 피해를 막기 위해서 미리 경고를 했어요.
03:02그리고 아마 원자로가 있는 그 시설은 공격하지 않은 것 같아요.
03:08주변 시설만 다 파괴를 해서 아직 방사능이 유출되지는 않았다.
03:13그러니까 나름대로 이스라엘이 정밀 타격을 한 거죠.
03:16아무튼 이렇게 함으로써 이스라엘의 첫 번째 목표라고 할 수 있는
03:20이란의 핵능력 붕괴.
03:22그거는 거의 완결되는 단계로 가고 있고
03:24이제 이스라엘이 그 다음 단계로 레짐 체인지, 정권 교체는 아직도 좀
03:30용언하다 이렇게 평가할 수 있겠습니다.
03:33비핵화는 비핵화인데 강제비핵화인 셈입니다.
03:36사실 북한과 우리나라와 비슷합니다.
03:40미국은 이란과 계속 대화와 협상으로 핵 문제를 협상해 왔습니다.
03:44비핵화 협상을 진행해 온 거죠.
03:45그러나 결국 대화를 통한, 외교를 통한 비핵화 협상은 실패했다라는 게
03:51전문가의 중론인 가운데 보다 못한, 참다 못한 이스라엘이 강제비핵화에 나선 겁니다.
03:57신범주 차관님께서 잘 설명하셨듯이 북한도 이란과 똑같습니다.
04:01마찬가지로 우라늄을 농축해서 핵무기의 원료를 만드는 방식과
04:06플루토늄을 추출해서 핵무기의 원료를 만드는 방식 두 가지를
04:11북한은 동시에 다 개발하고 있습니다.
04:13이스라엘은 우라늄을 농축하는, 원심물리기를 통해서 우라늄을 농축하는 시설도
04:18타격을 했고 핵물질에서 플루토늄을 추출하는 시설도 이번에 타격을 한 겁니다.
04:26이 플루토늄 추출하는 원자로를 공격하는 영상이 입수됐습니다.
04:30함께 보시죠.
04:36자, 이렇게 뻥! 하고 이란의 플루토늄 추출 시설을 타격합니다.
04:42보시죠.
04:42자, 그러니까 이란의 무인기, 이스라엘의 무인기 등에서 해당 타깃을 촬영하고 있는 겁니다.
04:49열감지 영상 등으로 촬영을 했고요.
04:52이스라엘의 아주 정밀한 폭탄으로 플루토늄 추출 시설, 중수로 시설을 완전히 무격화시키고 폭파시키는 모습이 공개가 됐습니다.
05:03이렇게 꽝! 하면서 화염과 연기가 치솟으면서 이란의 핵심 핵 시설인 플루토늄 추출 시설이 무기력됐습니다.
05:12자, 이게 정말로 이스라엘의 이 폭격 시설이 가공할 만한 위력인데
05:21신범철 차관님, 이게 중수로잖아요.
05:25많은 시청인분들이 좀 헷갈릴 수 있는데
05:27이 경수로 같은 경우는 발전용 원자로라 전기 등을 생산하는 거지만
05:32이 중수로급 이상부터는 핵물질을 만드는 것 아니겠습니까?
05:36네, 그렇죠. 중수로, 경수로 모두 발전용으로 사용할 수가 있어요.
05:40그런데 초기 설기에서 플루토늄이 많이 나오니까 새로운 설계로 업그레이드된 게 경수로다 이렇게 보시면 될 것 같고
05:48그렇기 때문에 경수로에서도 사실 나오긴 나옵니다, 플루토늄이.
05:52그렇지만 그 양이 적어서 핵 개발로 전용하기에는 부족하다.
05:55그렇기 때문에 중수로가 핵 개발에 타겟이 된 거죠.
05:59네, 북한도 초기에는 발전을 한다라면서 우리나 미국을 통해서 경수로를 지원해달라고 했지만
06:05사실은 그 뒤로 핵무기를 개발해온 겁니다.
06:08영변이 플루토늄을 추출하고 있는 그런 시설입니다.
06:13이러면 이란에게 남은 건 지하 핵시설입니다.
06:18트럼프의 고민과 고민의 시간이 길어지고 있습니다.
06:23함께 보시죠.
06:23때릴 거냐?
06:28말 거냐?
06:29벙커버스터 초대형 관통폭탄을 B2 스텔스 폭격기에 싣고서 이란의 마지막 남은 핵심 핵시설을 파괴할 거냐?
06:37말 거냐?
06:39그 고민.
06:40월스트리트 저널 이렇게 보도했어요.
06:42트럼프, 이란 공격 계획 비공개 승인했다.
06:45이란의 결정을 보려 최종 명령만 보류해놓은 상태다.
06:48트럼프 대통령은요.
06:49상황은 여전히 유동적이다.
06:511초 전에 최종 결정하고 싶다라는 답변을 하기도 했습니다.
06:571초 전.
06:59뭐랄까.
07:00김부식 교수님.
07:01외교안보 전문가이식도 하는데
07:02트럼프 대통령 특유의 밀당 발언으로 볼 수 있는데
07:06내가 언제 폭격을 할지는 밝히지 않겠다.
07:091초 전에 결정하겠다라는 말이잖아요.
07:12이거 이란으로서는 굉장히 좀 뭐랄까.
07:15두렵기도 하고 애가 타기도 하고
07:17폭 때린다는 건가 안 때린다는 건가 궁금한 것 같고요.
07:20그렇죠.
07:20트럼프 대통령 특유의 사실은 협상의 능력이죠.
07:25이미 언론 보도에 나왔습니다만
07:27일단 공격 계획 자체는 승인이 됐다는 것이고
07:30이미 승인이 됐다는 거예요.
07:30그러나 이제 그 공격 계획이 승인된 이후에
07:33명령이 지금 아직은 주저하고 있는 것이기 때문에
07:36명령을 언제든지 내리기만 하면
07:38그 계획도로 승인된 계획도로 실행에 옮기는 거니까요.
07:41저는 이란으로서는 상당히 지금 초조할 거라고 생각이 듭니다.
07:45이스라엘의 저런 공격에 속수부치로 당하고 있고
07:48그리고 이란이 계속해서 가져왔던 핵시설들이
07:51저렇게 차례차례 초토화되는 상황인데
07:53미국까지 벙커버스터를 이용해서
07:56모든 핵시설들을 선제타격을 하겠다고 하면
07:59사실은 이란이 거기에 대해서 저항할 능력이 없는 상황이라면
08:02지금 고민이 많을 거예요.
08:04그런데 트럼프 대통령의 저 발언이 저는
08:06더욱더 이란에게 초조할 수밖에 없는 게
08:08하면 한다, 안 하면 안 한다로 말해주는 게 아니라
08:11김의원 기구 아니면 아니다가 아니라
08:12NCMG잖아요.
08:14언제든지 할 수 있는데 지금은 아니야.
08:16그러니까 준비는 다 해놨다는 거죠.
08:17그렇죠. 그런데 언제든지 또 할 수 있어라는 것이기 때문에
08:20저는 트럼프 대통령의 특유의 협상의 우위를 점화하는
08:23선제적인 협상 기술이 일어난으로 하여금
08:26협상을 응할 수도 없고 안 할 수도 없는
08:29그렇다고 또 자기 군사적 물력으로 대응할 수도 없는
08:32지금 애매한 상황이어서
08:34저는 이란이 지금 이 상황에서는
08:36이스라엘과 미국의 이런 전면적인 협력 작전에 대해서
08:40핵 시설을 포기할지 말지를 이번에 이참에
08:43저는 중대한 결정을 해야 된다고 봅니다.
08:45저는 우리가 북한의 경우 계속 보지 않았습니까?
08:47우리 앵커께서 설명하셨습니다만
08:48영변의 플루토늄 추출 시설, 그다음에 농축 우라인
08:52추출 시설, 2차 북핵이기의 원인이었고요.
08:54둘 다 우리가 여러 가지 회담을 통해 협상을 통해서
08:56주고받고 했습니다만 결국 지금 2025년 한반도
08:59북핵 상황은 뭡니까?
09:00플루토늄 그대로 가고 있고 농축 우라인 그대로 해서
09:03지금 핵무기는 수십 개 이상을 갖고 있는 것으로
09:05공식 확인되고 있잖아요.
09:06그러니까 사실은 협상을 통한 해결이 제일 좋지만
09:09우리 북핵 문제만 보더라도 협상을 통한 해결이
09:12굉장히 요원하고 힘들다고 한다면
09:15저런 공격을 우리가 서지클 스트라이크라고 하지 않습니까?
09:17물리적 타격이죠.
09:18외과 수술체로 딱 도려내는 공격이거든요.
09:21그런 공격이 가능한 이스라엘도 참 어떻게 보면
09:24대단하다는 생각이 듭니다만
09:26이란이 이때는 지금은 미국과 이스라엘의 협공 앞에서
09:29중대한 고민을 해야 될 때라고 생각합니다.
09:32강제 비핵화.
09:33이 말을 제가 오늘 방송에서 몇 번이나 쓰고 있습니다.
09:35포인트는 강제 비핵화에 나섰다라는 겁니다.
09:38사실 제가 앵커가 외교안보 취재를 굉장히 오래 해왔습니다.
09:45북한 문제도 취재해왔고
09:46외교안보를 취재해 오는 동안 앵커에게 있어서 가장 최고의 취재한 두 분이
09:51우리 신범철 차관 김근식 교수님이었는데
09:53이렇게 스튜디오에 모셔서 진지한 이야기 나누고 있습니다.
09:57트럼프 대통령이 모든 준비를 다 해놨다는 겁니다.
10:02이란의 코앞에
10:04이란의 코앞에
10:06미국의 전략 자산들이
10:08속속 집결하고 있다는 게 그 증거입니다.
10:11유럽에서 공중급유기 31대 이동 배치 명령이 내려졌고요.
10:19지중해에 해군 구축함 3척도 이동하고 있습니다.
10:22그리고 중동지역에서 F-22, F-16, F-35가 이란을 향하고 있고요.
10:28페르시아만에는 항공모함 2척이 배치되고 있다는 겁니다.
10:30이란으로서는 임박혀왔다는 위기감을 느낄 법합니다.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