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격차 해소' 비수도권에 82%…서울은 증원 '0'

  • 2개월 전
'의료격차 해소' 비수도권에 82%…서울은 증원 '0'

[앵커]

정부가 의과대학별 학생 증원 내용을 공개했습니다.

지방 의료 강화를 위해 비수도권 의과대학에 82%를 배정했다고 밝혔는데요.

교육 여건이 악화하지 않도록 적극 지원하겠다는 계획도 밝혔습니다.

김종성 기자입니다.

[기자]

정부가 밝힌 2025학년도 의과대학별 학생 증원 계획에서 눈에 띄는 부분은 신규 인원 2,000명 중 82%인 1,639명을 비수도권 지역에 배정했다는 점입니다.

가장 증원이 많이 된 학교는 현재 정원이 49명인 충북대로 151명이 늘어 2025학년도부터 정원이 200명으로 늘게 됐습니다.

나머지 18%인 361명은 경인지역에 할당됐는데, 빅5 병원이 있는 서울에는 추가 정원이 단 한 명도 없습니다.

교육부는 지역 필수의료를 강화하기 위해 지역거점 국립의과대학의 총 정원을 200명 수준으로 맞췄다고 밝혔습니다.

50명 미만 소규모 의과대학은 효율적으로 운영되도록 최소 100명 수준으로 증원하고, 비수도권 의과대학도 지역 교육여건과 특성을 반영해 규모를 120~150명 수준으로 늘렸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학생이 늘어나는 만큼 국립대 의대의 경우 2027년까지 전임교원을 확충하고, 사립대학에 대해서도 수요조사를 통해 필요시 교육환경 개선을 위해 사학진흥기금 융자를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에 앞서 한덕수 국무총리는 대국민 담화문을 발표했습니다.

한 총리는 이번에 증원한 2천명은 2000년 의약분업 당시 감축한 정원을 고려한 결정이었다면서, 정부는 의료계의 오랜 요구사항을 충실히 반영해 올해 1조원을 들여 필수의료 수가를 인상하고, 향후 5년간 10조원 이상을 더 투자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아울러 비수도권 의대 신입생은 지역인재전형을 적극 활용할 방침이라고 전했습니다.

이와 함께 속도감 있는 의료개혁을 위해 4월부터 가동되는 대통령직속 '의료개혁특별위원회'에서 논의를 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한 총리는 또 병원 현장을 떠난 전공의와 교실을 비운 의대생들에게 각각 병원과 학교로 돌아와달라면서 "대화의 창구는 언제나 열려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연합뉴스TV 김종성입니다. (goldbell@yna.co.kr)

[영상취재 기자 김동화]

#의대 #증원 #비수도권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