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비대위 전환키로…민주, '신당·선거제' 시끌

  • 5개월 전
국민의힘, 비대위 전환키로…민주, '신당·선거제' 시끌

[앵커]

국민의힘 김기현 전 대표가 어제(13일) 전격 사퇴했습니다.

집권여당이 당대표 부재 속에 혼돈에 빠진 모습인데요.

일단 비상대책위원회를 꾸려 내부 전열 정비와 총선 준비에 나서기로 했습니다.

자세한 소식, 국회에 나가 있는 취재기자 연결해 들어보겠습니다.

이다현 기자.

[기자]

네, 당대표가 공석이 된 국민의힘은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 전환하기로 했습니다.

총선을 불과 4개월 앞둔 시점이라 새로운 당대표 선출을 위한 전당대회를 열 여건이 아니라고 판단한 건데요.

국민의힘 윤재옥 원내대표 겸 당대표 권한대행은 하루빨리 비대위원장을 선임하겠다며, '국민 눈높이와 총선 승리를 달성할 실력을 기준으로 내세웠습니다.

당 안팎에선 차기 비대위원장으로 원희룡 국토부 장관과 김한길 국민통합위원장, 한동훈 법무부 장관, 인요한 전 혁신위원장, 김병준 사회복지공동모금회 회장, 나경원 전 의원 등이 거론되고 있습니다.

비대위원장 인선은 향후 선거대책위원장 인선까지 염두에 두면서 결정될 전망입니다.

"저런 분이 우리 당의 간판으로 선거를 치르면 좋겠다, 이런 상징적인 분이 좋겠죠. 지금 거명되는 분 외에도 더 좋은 분이 있을 수도 있지 않습니까. 다양한 경로로 제가 의견 수렴을 하겠습니다."

한편 국민의힘은 비대위뿐만 아니라 공천관리위원회와 선거대책위원회를 구성해야 하는 과제도 안고 있습니다.

당초 내주초까지 공천관리위원회를 출범 시키려던 목표는 김기현 전 대표의 사퇴로 어려워졌지만, 윤재옥 권한대행은 당헌당규 규정대로 내년 1월 10일까지는 공관위를 꾸리겠다고 밝혔습니다.

총선이 4개월 앞으로 다가온 만큼, 당대표 사퇴의 후폭풍을 하루 빨리 수습하기 위한 국민의힘의 고민이 깊어질 전망입니다.

[앵커]

여당 지도부가 공백 상태가 된 상황에 상대 당인 더불어민주당도 주시하고 있을 텐데요.

민주당도 내부 문제로 시끌시끌하다고요?

[기자]

네, 민주당 상황도 복잡합니다.

비명계 의원들의 모임인 '원칙과상식'은 이재명 대표가 2선 후퇴해야 한다며 당 지도부를 '통합 비대위'로 전환할 것을 요구했습니다.

또 당대표와 지도부, 586 중진들이 기득권을 내려놓는 선당후사를 해야 한다면서, 당대표가 이 물길을 열어야 한다고도 강조했습니다.

"총선 승리와 윤석열 정권에 대한 압도적 심판을 위해서 한발만 물러서 주시기 바랍니다. 그래야 민주당이 방탄 정당, 팬덤 정당, 패권 정당의 굴레에서 벗어날 수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이낙연 전 민주당 대표가 내년초 신당 창당을 기정사실화한 것을 두고 당내 논란이 뜨거워지고 있습니다.

이 전 대표는 오늘 오전 KBS 라디오에 출연해 내년 초에 신당에 대해 국민들에게 구체적으로 알릴 기회가 있음을 거듭 시사했고, "전문직, 젊은 분들이 많이 함께해 주셨으면 좋겠다"며 신당론을 거듭 구체화했습니다.

이를 두고 주류 측에서는 이낙연 신당이 야권 분열을 촉발해 총선에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날을 세우고 있습니다.

이재명 대표는 이 전 대표의 신당 추진 등과 관련해 "변화하되 최대한 단합과 단결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게 중요하다"고 단합을 강조했습니다.

한편 민주당은 오늘 오전 의원총회를 열고 비례대표 선거제 개편안을 논의했지만, 오늘도 답을 내리지 못했습니다.

지금까지 국회에서 전해드렸습니다. (ok@yna.co.k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