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허위보도' 의혹 경향신문 기자 등 압수수색…수사 확대

  • 7개월 전
'대선 허위보도' 의혹 경향신문 기자 등 압수수색…수사 확대

[앵커]

지난 대선 국면의 '허위 보도' 의혹을 수사 중인 검찰이 전·현직 경향신문 기자 등에 대한 압수수색을 진행했습니다.

검찰은 의도된 왜곡 정황을 수사하고 있다고 밝혔는데요.

수사 대상이 확대되는 양상입니다.

김지수 기자입니다.

[기자]

서울중앙지검은 정보통신망법상 명예훼손 혐의로 경향신문 전·현직 기자 2명, 인터넷 매체 뉴스버스의 전직 기자 1명의 주거지에 검사와 수사관을 보내 압수수색을 진행했습니다.

검찰이 지난 대선 당시 '허위보도' 의혹으로 압수수색을 한 관련 매체는 5곳으로 늘어났습니다.

지난 2021년 10월에도 국민의힘 유력 후보였던 윤석열 대통령이 부산저축은행 수사에서 '대출 브로커' 조우형씨 사건을 무마해줬다는 취지의 허위 보도가 있었다는 게 검찰 시각입니다.

검찰 관계자는 "단순 오보가 아닌 보도 과정에서 의도된 왜곡 정황이 있어 강제수사가 필요하다고 판단했다"고 밝혔습니다.

경향신문은 2021년 10월 "대검찰청 중앙수사부가 부산저축은행의 대장동 대출을 제대로 수사 하지 않은 정황"을 보도했습니다.

비슷한 시기 뉴스버스는 경찰 수사 기록에 나오는 조씨의 진술 등을 근거로 대검 중수부가 조씨의 불법 대출 알선 혐의를 파악하고도 입건하지 않았을 가능성을 제기했습니다.

관련 보도엔 모두 대장동 개발 초기 사업자인 이강길씨 발언이 담겼는데, 검찰은 이 인터뷰가 허위란 사실을 알고도 보도한 정황이 있다고 의심하고 있습니다.

경향신문과 뉴스버스는 해당 보도는 충분한 취재를 거친 것이라며 검찰의 압수수색은 언론 탄압이라고 반발했습니다.

지난 대선 사흘 전 보도된 뉴스타파의 '김만배·신학림 허위 인터뷰' 의혹에서 시작된 수사가 2021년 10월 보도로까지 이어지는 모양새입니다.

앞서 검찰은 JTBC의 이른바 '윤석열 커피' 보도, 인터넷 매체 리포액트의 '최재경 허위 녹취록 보도' 의혹 등에 대한 수사를 진행해왔습니다.

검찰은 또 이들 보도 과정에 현 야권 인사가 개입했을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있습니다.

연합뉴스TV 김지수입니다. (goodman@yna.co.kr)

#대선 #여론조작 #검찰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