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협'으로 바뀐 간판…정경유착 우려는 여전

  • 9개월 전
'한경협'으로 바뀐 간판…정경유착 우려는 여전

[앵커]

전국경제인연합회, 전경련은 한때 '재계의 맏형'으로 불리던 대표 경제 단체였죠.

이번에 한국경제인협회로 이름을 바꾸면서 윤리헌장을 내놓고, 윤리위원회 신설 계획도 밝혔지만, 추락 원인이었던 정경유착 우려가 해소됐는지엔 유보적 견해가 많습니다.

김종력 기자입니다.

[기자]

전경련은 원래 이름이던 한국경제인협회로 출범한 1961년 이후 정부와 재계의 소통 창구 역할을 했습니다.

한때 '재계의 맏형'으로 불렸지만, 정경유착이란 어두운 그림자도 이어졌습니다.

전두환 전 대통령의 일해재단 비자금 모금 주도, '차떼기'로 유명한 한나라당 불법대선자금 지원 주도 등이 대표적입니다.

여기에 박근혜 정부 국정농단 사건 당시 미르·K스포츠 재단의 후원금 모금 주도 사실이 드러나며 삼성과 현대차, SK와 LG 등 4대 그룹이 탈퇴해 위상은 급격히 추락했습니다.

이 같은 과거를 의식한 듯, 전경련은 한경협으로 새 출발 하며 윤리헌장을 발표하고, 외압을 차단할 내부통제기구인 윤리위원회를 신설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아직도 우리를 지켜보는 따가운 시선들이 많습니다. 부끄러운 과거와 완전히 결별하고 과감하게 변화하지 못한다면 신뢰를 회복하기 어렵습니다."

하지만 정치인 출신 김병준 전경련 회장 직무대행이 한경협 고문을 맡는 등 인적 구성상 논란의 여지가 남아있다는 평가가 나옵니다.

앞서, 조건부 재가입 권고를 내놓은 삼성 준법감시위원회도 같은 우려를 나타냈습니다.

"'전경련의 인적 구성 및 운영에 정치권이 개입해서는 절대로 안 된다'라는 점이 가장 큰 우려 사항이었습니다."

결국, 한경협 새 출발의 관건은 정경유착 우려를 얼마나 철저히 씻어내느냐에 달린 셈입니다.

연합뉴스TV 김종력입니다.

#한경협 #정경유착 #전경련 #류진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