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갈등 와중에도 美거물급 CEO 줄줄이 중국 방문

  • 작년
미중 갈등 와중에도 美거물급 CEO 줄줄이 중국 방문

[앵커]

'기술패권'이 걸린 반도체 분야를 중심으로 미중 간 전략경쟁이 심화하고 있지만 미국의 거물급 최고경영자들은 최근 잇달아 중국행에 나서고 있습니다.

백악관은 이에 대해 불편한 기색을 감추지 않았는데요.

김지선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3년여만에 중국 땅을 밟은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

고위급 인사들과 연이어 회동하며 존재감을 과시했습니다.

새롭게 스타벅스를 이끌게 된 랙스먼 내리시먼도 취임 후 처음 중국을 찾은 자리에서, 중국 내 매장을 9천개까지 늘리겠다는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현재 중국에 머물고 있는 제이미 다이먼 JP모건 CEO 역시 "좋을 때나 나쁠 때나 중국에 있을 것"이라며 변함없는 애정을 드러냈습니다.

앞서 3월 말에는 팀 쿡 애플 CEO를 비롯해 퀄컴, 화이자 등 미국 주요 기업 수장들이 베이징에서 열린 중국발전고위급포럼에 대거 참석해 현지 관계자들과 교류하기도 했습니다.

미중 간 총성 없는 반도체 전쟁이 벌어지는 와중에도 아직 다른 영역에선 교역이 큰 변화 없이 이뤄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대목입니다.

대중 투자 확대에는 상당한 리스크가 존재하지만, 14억 거대 시장을 포기하기 어렵다는 것이 미 재계의 대체적인 기류.

이는 중국의 대미 '지렛대'이자 일정한 '자신감'으로 연결되는 양상입니다.

중국 역시 이들을 극진하게 대접하며, 디커플링, 특정 국가 공급망 배제 불가론을 부각하고 있습니다.

"일론 머스크를 비롯한 다양한 국가의 기업인들이 중국을 찾아와 우리를 더 잘 이해하고 호혜적 협력을 촉진하는 것을 환영합니다."

반면, 백악관은 자국 CEO들의 이 같은 행보에 못마땅한 표정이 역력합니다.

존 커비 백악관 국가안전보장회의 전략소통조정관은 "이번 방문이 경제적 경쟁을 관리하는 데 도움이 될지 지켜봐야 할 것"이라며 다소 회의적인 반응을 내놨습니다.

연합뉴스 김지선입니다. (sunny10@yna.co.kr)

#미중갈등 #일론_머스크 #CEO #백악관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