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프라임] 한미일, 대잠수함전훈련 실시…北 수중위협 대응

  • 작년
[뉴스프라임] 한미일, 대잠수함전훈련 실시…北 수중위협 대응


한미일 3국이 제주 남방해상에서 대잠수함전훈련에 들어갔습니다.

핵어뢰 공개 등 북한의 수중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차원인데, 앞서 전술핵탄두를 공개하는 등 군사적 위기를 고조시키고 있는 북한이 4월 주요행사에 맞춰 연쇄 도발 가능성도 나오고 있는데요.

문성묵 한국국가전략연구원 통일전략센터장과 이야기 나눠봅니다.

한미일 3국 해상전력이 오늘부터 이틀간 대잠훈련을 진행하는데요. 구체적으로 무엇을 위한 훈련인가요?

북한이 최근 무인수중공격정 '해일'을 시험 발사하는 데 성공했다고 발표하는 등 수중 위협을 수위를 높이고 있는데요. 북한의 실전 능력을 평가해주신다면요?

2016년 이후 7년 만에 한미일 수색구조훈련도 이뤄집니다. 군사적 의미가 옅은 훈련이지만 북한을 포함해 국제사회에 한미일 안보협력 정상화 메시지를 줄 수 있다는 것에 의미가 있을 듯한데요?

한미일 훈련은 지난해 9월 이후 6개월 만인데요. 이처럼 한미일이 밀착하는 모습을 보이면 북한이 추가 도발에 나서지 않겠습니까? 이번엔 어떤 방식으로 도발할까요?

북한 핵개발의 심장 역할을 하는 영변 핵 시설에서 활발한 활동이 벌어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최근 '화산-31'로 불리는 전술핵 탄두까지 전격 공개했는데, 7차 핵실험이 임박한 것일까요?

우리 군은 북한이 언제든 7차 핵실험을 감행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습니다. 북한이 기다리는 적기는 언제일까요?

또 이달 중에 김일성 주석의 생일, 태양절 111주년(15일), 조선인민혁명군 창건 91주년(25일) 등 정치적 기념일들이 예정돼 있는데요. 7차 핵실험에 나서지 않는다면 앞선 도발 때보다 수위를 더 높을 수도 있을까요?

앞서 북한이 이번 달 첫 군사정찰위성 발사도 예고했죠. 이를 내세워 ICBM의 정상 각도 발사에 나설 가능성도 있지 않을까요?

이달 말엔 한미 정상회담도 열립니다. 앞서 한일 정상회담 때 북한은 윤 대통령이 일본으로 출국하기 전 ICBM을 발사했는데, 이번엔 어떨까요?

일각에서는 김정은 위원장이 한미의 대북 군사 압박이나 한반도 상황을 지켜보면서 7차 핵실험 버튼을 만지작거릴 수 있다고 보고 있는데요. 이런 가운데 북한이 무력 도발에 나선다면 어떻게 대응할 수 있을까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