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S, 'AI 챗봇 장착' 검색엔진 모바일앱 미리보기 출시

  • 작년
MS, 'AI 챗봇 장착' 검색엔진 모바일앱 미리보기 출시

[앵커]

마이크로소프트(MS)와 구글이 인공지능(AI) 챗봇을 장착한 검색 엔진을 두고 경쟁을 예고하고 있는데요.

MS가 스마트폰으로 일반인들이 새 검색 엔진 '빙'(Bing)을 이용할 수 있는 미리보기 앱을 먼저 선보였습니다.

김태종 특파원입니다.

[기자]

스마트폰으로 채식주의자 6명을 위해 초콜릿 디저트가 포함된 3가지 코스 요리를 추천해 달라고 하자, 애피타이저와 메인 메뉴, 디저트 등 추천 메뉴 옵션이 열거됩니다.

이모티콘과 함께 '이 메뉴로 즐거운 파티가 됐으면 좋겠다'는 문구도 나옵니다.

스마트폰에서 이용할 수 있는 AI 챗봇이 탑재된 마이크로소프트의 새로운 검색 엔진 '빙'입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현지시간 22일, 빙의 미리보기 앱을 출시했습니다.

지난 7일 전 세계적으로 큰 인기를 끌고 있는 챗GPT와 같은 생성형 AI를 장착한 '빙' 출시를 발표한 지 보름 만입니다.

이용자들은 모바일에서 빙 아이콘을 눌러 채팅을 시작할 수 있고, 텍스트와 함께 음성으로도 다양한 질문을 할 수 있습니다.

질문에 대한 답은 기존 텍스트 형식으로는 물론, 글머리 기호를 이용한 요점이나 요약본 형태로 표시됩니다.

MS의 웹브라우저인 엣지 모바일앱을 통해서도 빙에 접속할 수 있습니다.

또 MS가 제공하는 화상회의 프로그램인 스카이프용 빙도 나왔습니다.

그룹 채팅에 MS의 AI를 추가하고 질문을 하면 그룹을 위한 답이 제공됩니다.

미리보기 앱은 빙 챗봇이 이용자와 오래 대화할 경우 부적절하고 위험한 발언을 할 수 있다는 윤리적 문제가 제기되는 가운데 나왔습니다.

MS는 빙에 대해 이용자 한 세션당 질문 수를 5회, 하루 문답 횟수를 50회로 제한했다가 이용자 불만이 커지자 각각 6회와 60회로 늘리기로 한 바 있습니다.

AP 통신은 MS가 빙의 답변 논란에도 스마트폰 이용자들을 위한 AI 기반의 검색엔진 빙을 출시한 것은 검색 시장을 장악하고 있지만 아직 대중에 공개하지 않은 구글에 비해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것이라고 분석했습니다.

MS가 새 검색 엔진 빙을 선보인 가운데 구글은 지난 8일 새 검색 엔진 '바드'(Bard) 기능을 공개한 이후 현재 테스트를 진행 중입니다.

샌프란시스코에서 연합뉴스 김태종입니다.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인공지능(AI) #챗봇 #검색엔진 #빙 #바드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