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도 기업도 '이자 비상'…더 커진 경기둔화 우려

  • 2년 전
가계도 기업도 '이자 비상'…더 커진 경기둔화 우려
[뉴스리뷰]

[앵커]

한국은행이 또 한 번의 빅스텝을 단행해 기준금리를 3%까지 올리자 당장 이자 비상이 걸렸습니다.

소비와 투자 위축으로 경기 둔화 우려도 커지고 부동산 시장은 더 얼어붙을 전망인데요.

추가 인상까지 기정사실화돼 이자를 감당 못하는 가계와 기업이 속출할 전망입니다.

김동욱 기자입니다.

[기자]

10년 만에 기준금리가 3%에 달하면서 이른바 '영끌족' '빚투족'을 포함한 가계의 빚 상환 부담은 늘 수밖에 없습니다.

기준금리를 0.5% 올리면 가계대출자 이자는 연 6조5,000억원. 1인당 부담은 약 32만8,000원 늘어난다는 게 한은 분석입니다.

연말엔 가계대출 금리 상단이 8%를 넘을 것이란 전망도 나오는데, 2년 전 초저금리 때 대출받은 영끌족들 중엔 내년 초 월 상환액이 당시보다 50% 이상 급증하는 경우도 속출할 전망입니다.

이자 감당이 어렵기는 기업과 소상공인들도 마찬가지입니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1,000대 기업 중 제조업 기업 100곳을 조사한 결과, 37%가 영업이익으로 이자 감당이 안되는데, 이번 빅스텝으로 이 비율이 59%로 높아진다는 분석을 내놨습니다.

중소기업중앙회도 "도산 위험에 직면한 소상공인이 124만곳으로 약 6만곳 늘 것"이라며 대책 마련을 촉구했습니다.

문제는 급등한 이자 부담이 소비, 투자 위축, 나아가 경기 둔화로 귀결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이미 거래 절벽 상태인 주택시장은 아예 빙하기에 접어들 것이란 관측이 나옵니다.

"복합위기 상황이고 전반적으로 경기 둔화도 우려되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그 과정 속에서 곳곳에 어려운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국민들 고통은 알지만, 물가를 잡기 위한 금리 인상은 불가피하다고 밝혔습니다.

경기 대책과 금융·부동산 대책을 마련해야 하는 정부의 고민은 더 깊어지게 됐습니다.

연합뉴스TV 김동욱입니다. (dk1@yna.co.kr)

#한국은행 #빅스텝 #가계 #기업 #소상공인 #대출 #부담 #경기둔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