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무역수지 또 적자…원자재·에너지 가격 급등 영향

  • 2년 전
4월 무역수지 또 적자…원자재·에너지 가격 급등 영향

[앵커]

지난달 수출이 역대 4월 기준 최고치를 기록했지만 무역수지는 두 달째 적자를 면치 못했습니다.

에너지와 원자재 가격 급등과 같은 대외적인 요인으로 수입액이 가파른 증가세를 보이며 수출 증가가 빛이 바랬습니다.

김장현 기자입니다.

[기자]

4월 무역수지는 26억 6,000만 달러 적자입니다.

3월 1억 4,000만 달러 무역적자에 이어 두 달 연속 적자로, 그 폭도 확대됐습니다.

수출액이 576억 9,000만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2.6% 증가했지만, 수입액이 18.6%가 늘어난 603억 5,000만 달러를 기록하며 수출액을 넘어섰습니다.

특히, 원유와 가스, 석탄 등 에너지 수입액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배 가까이 늘어난 148억 1,000만 달러로 수입 증가세를 주도했습니다.

밀과 옥수수 등 농산물 가격도 급등해 농산물 수입액은 월간 기준 역대 두 번째인 24억 1,000만 달러였습니다.

수출 증가에 따라 반도체 등 중간재 수입도 크게 늘어 수입 증가 폭을 키웠습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과 중국 내 코로나 확산 등 대외 불확실성이 커지며 에너지와 원자재 가격 급등에 영향을 줬습니다.

반면, 역대 4월 기준 최고치를 기록한 수출은 15개 주요 품목 중 13개가 증가했고, 이 중 7개는 두 자릿수 상승률을 보였습니다.

반도체, 석유화학 등이 역대 4월 최고기록을 경신하며 수출 증가세를 주도했지만 두 달 연속 무역적자를 면치 못했습니다.

"여러가지 글로벌 리스크 요인이 많고 기대하지 않은 요인이 발생하고 있어서 수출 증가세가 유지될 수 있도록 총력 지원해 적자가 흑자로 전환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다만, 수출액이 14개월 연속 두 자릿수대 견고한 상승률을 보인 만큼, 향후 무역수지 흐름은 대외 불확실성 해소 여부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도 있다는 분석입니다.

연합뉴스TV 김장현입니다.

#무역수지 #적자 #원자재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