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지수의 글로벌브리핑] 바이든, 베이징 동계올림픽 '외교적 보이콧' 시사 外

  • 3년 전
[김지수의 글로벌브리핑] 바이든, 베이징 동계올림픽 '외교적 보이콧' 시사 外


[앵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내년 2월 베이징 동계올림픽에 선수단은 보내되 공식 사절단은 파견하지 않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중국의 인권 문제를 향한 경고로 보이는데, 이번 올림픽을 북한과의 관계 개선의 계기로 삼으려는 한국 정부의 구상에 차질이 예상됩니다.

밤사이 들어온 글로벌 뉴스, 김지수 기자와 함께 살펴봅니다.

안녕하세요.

[기자]

네, 안녕하세요.

[앵커]

며칠 전, 미국이 베이징 동계올림픽에 외교적으로 보이콧할 가능성이 크다는 외신 보도 내용을 전해드렸었는데요. 바이든 대통령이 이와 관련해 입장을 밝혔습니다.

[기자]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내년 2월 예정된 베이징 동계올림픽에 대한 '외교적 보이콧' 가능성을 시사했습니다. 외교적 보이콧이란 올림픽에 선수단은 보내되, 관행적으로 해왔던 정부나 정치권 인사들로 꾸려진 사절단을 파견하지 않는 걸 뜻합니다. 선수들의 올림픽 참여는 보장하지만, 주최국에 사실상 '경고의 메시지'를 담은 조치라고 볼 수 있습니다. 바이든 대통령은 트뤼도 캐나다 총리와의 회담에서 베이징 동계올림픽의 외교적 보이콧 검토 여부를 묻는 취재진 질문에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바이든 대통령이 보이콧 가능성을 언급한 건 처음입니다. 젠 사키 백악관 대변인도 외교적 보이콧 검토와 관련해,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서 행해지는 인권 유린을 우려하기 때문이라고 밝혔습니다. 다만, 보이콧 검토가 지난 15일 열린 미중 화상 정상회담과 아무런 관련이 없으며, 거기서 논의된 주제도 아니었다고 설명했습니다. 미 정치권에서는 그동안 중국이 홍콩과 신장 등지에서 자행하고 있는 인권 유린과 관련해 베이징 올림픽에 외교적 보이콧으로 대응하자는 주장이 지속적으로 제기돼 왔습니다. 바이든 대통령의 외교적 보이콧 발언은 시 주석과의 첫 회담 사흘 만에 나왔습니다. 회담에서 시 주석이 바이든 대통령에게 베이징 올림픽에 초청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왔었지만, 당시 회담에서는 올림픽 자체에 대한 언급이 없었습니다. 미국이 외교적 보이콧을 결정하면 베이징 올림픽을 종전선언 등 남북 관계, 북미 관계 개선의 모멘텀으로 삼으려는 한국 정부의 구상에도 차질이 불가피할 전망입니다. 한국 정부는 '한반도의 봄'을 가져왔던 평창 동계올림픽 때처럼 베이징 올림픽을 화해의 계기로 삼으려 하고 있습니다.

[앵커]

이번에는, 우리의 주변국들 소식입니다. 일본에서 지난달 기시다 내각 출범 후 처음으로 중국과 일본 외교장관이 통화했습니다. 어떤 이야기들이 오갔나요.

[기자]

하야시 요시마사 일본 외무상과 왕이 중국 외교부장이 어제 전화 통화를 했다고 교도통신이 보도했습니다. 보도에 따르면, 하야시 외무상은 중국 관공선이 센카쿠 열도 주변, 일본이 자국 영해로 인식하는 해역에 진입하는 문제를 지적했습니다. 또, 홍콩과 신장지역에서 중국이 자행하고 있는 인권 문제를 제기했습니다. 여기서 언급된 센카쿠 열도는 일본이 실효적으로 지배하고 있지만, 일본과 중국 사이의 영유권 분쟁 지역입니다. 중국 외교부는 홈페이지를 통해 왕 부장이 일본을 향해 '신냉전에 동참하지 말라'는 취지로 경고했다고 밝혔습니다. 왕 부장은 "중국과 일본은 같은 지역에 있는 중요한 나라로서 국제적 책임을 인식하고 다자주의를 함께 실천해야 한다"며 "신냉전을 시도하려는 어떤 시도도 배격해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왕이 부장의 이 같은 발언은 미중 간 신냉전이 격화하는 와중에 미국 주도의 안보 협의체인 '쿼드'에 일본이 가입한 것에 불만을 제기한 것으로 해석됩니다. 일본이 최근 미국에 힘을 실어주고 있으며 이런 일본을 에둘러 비판한 것으로 보입니다.

[앵커]

이번에는, 동유럽 난민 사태 소식 살펴보겠습니다. 난민들과 국경수비대의 물리적인 충돌이 이어졌었는데, 이 문제가 일단락되는 분위기라고 합니다. 어떻게 된 일이죠.

[기자]

외신들은 벨라루스-폴란드 국경에 있는 임시 난민촌에 모여있던 난민들이 수백미터 떨어진 수송센터로 이동했다고 보도했습니다. 이라크의 경우 귀국을 희망하는 자국민들이 본국으로 돌아갔습니다. 폴란드 당국은 사태가 진정됐다며 난민촌이 서서히 비워지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라크 측은 벨라루스의 수도 민스크에서 출발해 이라크 에르빌에 도착한 첫 난민 수송 여객기에 모두 431명이 탑승했다고 전했습니다. 이라크로 되돌아온 난민들 사이에서는 국경 지역에서 감당하기 힘든 큰 공포를 겪었다는 목소리가 나왔습니다. 여전히 동유럽 국경 지역에는 4천여 명의 난민들이 유럽으로 들어가기 위해 남아 있는 상태입니다. 이번 사태는 지난 9월쯤 아프간과 이라크 등 중동 출신 난민들이 유럽연합 EU 국가로 입국하기 위해 벨라루스로 들어와 인접한 폴란드 등의 국경을 넘으려 시도하면서 불거졌습니다. 그러다 이달 8일 벨라루스 내 체류하던 난민 수천 명이 한꺼번에 폴란드 쪽 국경으로 몰려들어 월경을 시도하면서 위기가 고조됐습니다. 유럽은 루카셴코 벨라루스 대통령이 자국에 제재가 가해지는 것에 복수하기 위한 차원에서 의도적으로 난민 사태를 일으켰다고 주장해왔습니다. 또, 벨라루스 동맹국인 러시아가 난민을 이용해 서방을 향한 공격을 기획하고 벨라루스와 서방 간의 갈등을 부추긴다는 의혹까지 제기했습니다. 벨라루스와 러시아는, 난민 사태의 원인을 제공하지 않았다며 이 같은 주장은 사실이 아니라고 반박했습니다.

[앵커]

코로나 소식 살펴보겠습니다. 미국에서는 백신 의무화 조치를 두고 논란이 큽니다. 지난 9월 연방정부는 백신 의무화 조치를 발표했는데요. 여기에 반기를 들어온 플로리다주가 백신 의무화 금지를 법제화했다는 소식이네요.

[기자]

플로리다주가 미국에서 처음으로 '백신 접종 의무화 금지'를 법제화했습니다. 현지 언론에 따르면, 공화당이 장악하고 있는 플로리다주 의회는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거부하는 노동자를 보호하는 내용의 법안을 통과시켰습니다. 론 드샌티스 주지사가 법률 제정에 앞장섰고 의회 통과 즉시 서명을 약속한 만큼 플로리다는 사실상 법으로 백신 의무화를 금지하는...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