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격 수사선상 오른 '고발사주' 의혹…남은 쟁점은?

  • 3년 전
본격 수사선상 오른 '고발사주' 의혹…남은 쟁점은?
[뉴스리뷰]

[앵커]

이른바 '고발 사주' 의혹과 관련해 공수처가 윤석열 전 검찰총장을 피의자 신분으로 입건했습니다.

'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 공무상 비밀누설, 개인정보보호법 위반, 공직선거법 위반 등 4개의 혐의를 적용하면서 신속한 사실 규명을 약속했는데요.

혐의 규명과는 별개로 여전히 궁금한 사안들이 남았습니다.

백길현 기자가 정리했습니다.

[기자]

△ 제보자는 누구인가

사건의 '키맨' 김웅 의원과, '고발 사주'했다는 의혹을 받는 윤석열 후보는 모두 제보자를 주목하고 있습니다.

"그분이 밝혀지면, 이 일이 벌어지게 된 경위도 아마 이해가 될 거라고 생각합니다."

"그 사람 신상에 대해서, 과거 그 사람이 어떤 일을 벌였는지 여의도 판에서 모르는 사람이 없고 저도 들었습니다."

이 제보자로 유력하게 지목된 A씨는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윤 후보와 김의원을 비난했지만, 자신이 제보자인지 여부에 대해서는 명확히 하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이번 사건 최초 보도 언론인 '뉴스버스'의 발행인은 제보자와 관련해 하루 만에 말을 바꿨습니다.

9일에는 윤석열 후보가 제보자를 직격한 언급을 두고 "그분이 공익신고자가 맞다"고 인정한 뒤 "전형적인 메신저 공격"이라고 비난했는데 하루 뒤에는 A씨가 제보자인지에 대한 물음에 "A씨의 페이스북 글을 보지 않았다"며 답을 피했습니다.

이번 사건은 손준성 검사가 '고발장들'을 김웅 의원에게 전달하고, 김 의원이 이를 당에 전달한 것이 아니냐는 것이 의혹의 핵심입니다.

그리고 이 고발장들이 실제로 활용이 되었느냐가 관건인데, 열린민주당 최강욱 대표 관련 사건에 관심이 집중 되고 있습니다.

실제 최 대표 고발에 쓰인 8월 고발장, 그리고 이번 '고발사주'의혹의 중심에 있는 '4월 고발장' 마지막으로 8월 실제 고발에 참고 자료로 쓰였다는 '고발장 초안'이 모두 유사하다는 겁니다.

특히 고발장 초안이 당의 법률자문위원장인 정점식 의원을 거쳐 갔다는 점이 밝혀지면서 국민의힘이 이번 사건을 당 차원에서 해결하고 넘어갈 수밖에 없는 상황이 됐습니다.

여전히 문제가 되는 '4월 고발장'의 작성자는 오리무중입니다.

손 검사도, 김웅 의원도 모두 작성도 전달도 부인하고 있는 가운데 얽힌 실타래는 이제 공수처와 대검이 풀어내야 할 몫이 됐습니다.

연합뉴스 TV 백길현입니다. (white@yna.co.k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