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뉴딜에 13조…'비대면 경제' 박차

  • 3년 전
디지털 뉴딜에 13조…'비대면 경제' 박차

[앵커]

정부가 코로나19 극복과 경기 반등을 위해 '한국판 뉴딜' 사업을 시작했죠.

특히 데이터와 네트워크 등을 중심으로 한 디지털 뉴딜이 핵심인데요.

사업이 본격화하는 내년엔 어떤 사업이 진행되는지 소재형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기자]

정부가 내년 코로나 극복 동력으로 내세우는 것은 이른바 '한국판 뉴딜'입니다.

이중 데이터와 네트워크, 인공지능 같은 '디지털 뉴딜'에만 12조7,000억 원이 투입됩니다.

"디지털 뉴딜을 본격 추진하며 체감할 수 있는 성과를 창출하는 한편, 5G 및 첨단 반도체 투자 등에 대한 세제 혜택을 통해 우리 강점을 더욱 강화하면서 디지털 혁신경제를 선도해 나가겠습니다."

우선 학교 등 공공시설에 5G 기지국을 대폭 확충합니다.

제대로 터지지도 않는데 요금만 비싸다는 비판을 받아온 5G의 체감도를 높이기 위해서입니다.

비대면 기술 확산을 위한 선도사업도 시작됩니다.

의료분야에선 인공지능 기반 중환자 모니터링 시스템과 스마트병원, 돌봄 분야에서는 돌봄로봇 개발과 디지털 돌봄 시범사업이 이뤄집니다.

교육 분야에선 온라인 교과서 선도학교 400곳을 선정해 태블릿PC 8만 대를 지원합니다.

뉴딜을 뒷받침할 금융사업도 확충합니다.

4조 원 규모로 조성될 뉴딜펀드엔 정책자금을 차등 출자해 민간 참여를 유도하고 재간접 공모펀드도 내놔 일반인의 소액 투자도 가능하게 합니다.

뉴딜인프라펀드의 배당소득은 9%의 낮은 세율로 분리 과세합니다.

펀드 외에 수출입은행, 산업은행 등 공공금융기관은 뉴딜사업에 17조 원대 정책금융을 공급할 방침입니다.

또, 지역균형뉴딜을 위해 전국 각지에 규제자유특구를 신규 지정하고 귀농인을 위한 청년 마을 운영도 확대할 방침입니다.

연합뉴스TV 소재형입니다. (sojay@yna.co.k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