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바이든 시대' 환영…대북 해법엔 시각차

  • 4년 전
여야 '바이든 시대' 환영…대북 해법엔 시각차

[앵커]

정치권도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당선인에게 일제히 축하와 환영의 뜻을 밝혔는데요.

여야는 한미 동맹 강화를 한 목소리로 강조하면서도 북한 등 한반도 문제에 대해선 온도 차를 드러냈습니다.

국회 연결해 자세히 들어보겠습니다. 방현덕 기자.

[기자]

여야는 모두 바이든 당선인에게 축하 메시지를 보내면서도 새 행정부의 한반도 정책에 대해 조금 다른 시각을 드러냈습니다.

민주당 이낙연 대표는 페이스북을 통해 국내 정치인 중 가장 먼저 축하 메시지를 냈는데요.

"미국민이 풍부한 경륜과 민주적 리더십, 통합과 포용의 신념에 신뢰와 지지를 보냈다"며 "바이든 대통령 시대에 한미동맹이 더 굳건해질 것으로 믿는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이 대표는 "'한반도 평화프로세스'가 재가동되고, 항구적 평화의 전기가 조속히 마련되길 바란다"고 말했습니다.

미국 정부가 공화당에서 민주당으로 바뀌며 미국의 대북 기조에 변화를 예상하는 시각이 많지만, 문재인 정부의 한반도 평화프로세스 진전을 위한 한미 공조는 흔들려선 안 된다고 강조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민주당 허영 대변인은 바이든 행정부 하에서 남북 경제협력이 조속해 재개되도록 노력할 예정이라고 밝히기도 했습니다.

국민의힘 김종인 비상대책위원장도 오후 당을 통해 입장을 냈습니다.

김 위원장은 잠시 분열상을 보인 미국이 곧 통합과 안정을 되찾을 거라며, "국제사회에서의 리더 역할이 강화되길 바란다"고 밝혔습니다.

또 한미 양국이 지난 70년간 '강력한 동맹관계'였다며 앞으로도 긴밀한 협력을 이어가자고 했습니다.

주호영 원내대표도 한미는 '혈맹' 사이라며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에 분명한 성과를 내달라"고 말했는데,

북한에 대한 유화적 조치에 앞서 비핵화가 우선돼야 한다는 보수 야당의 주장을 바이든 행정부에 강조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앵커]

미국 새 행정부 출범에 앞서 우리 국회 차원의 방미도 추진되고 있다고 하는데요.

이 소식도 함께 전해주시죠.

[기자]

네, 당선인이 확정되면서 국회 차원의 의회 외교 준비에도 속도가 나고 있습니다.

민주당은 송영길 외통위원장이 이끄는 당 '한반도 TF'가 이달 16일부터 20일까지 미국을 찾습니다.

TF는 바이든 측과 만나 국정 우선순위에서 한반도 이슈가 뒤로 밀리지 않도록 외교전을 펼 전망입니다.

바이든 당선인이 고 김대중 전 대통령을 가장 존경하는 인물로 꼽는 만큼, 한국과의 연결고리가 적지 않다는 게 민주당의 판단입니다.

다음 달에는 송영길 외통위원장과 여야 간사, 국민의힘 박진 의원 등 외통위 차원의 초당적 방미단이 꾸려지는데요.

현재 방미 일정과 면담 대상 등을 미국 측과 조율 중입니다.

지금까지 국회에서 전해드렸습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