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호의 경제읽기] 3배 넘게 풀었지만 사라진 5만 원권…어디에?

  • 4년 전
[김대호의 경제읽기] 3배 넘게 풀었지만 사라진 5만 원권…어디에?


추석 명절을 앞두고 은행들이 5만 원권 비축에 힘을 쏟고 있습니다.

한은이 올 들어 코로나19에 따른 유동성 확충의 일환으로 5만 원권 발행 규모를 예년에 비해 크게 확대 했지만 환수율은 역대 두 번째로 낮아졌기 때문인데요.

3배 넘게 풀었지만 5만 원 권이 사라진 이유, 살펴보겠습니다.

이런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이 "국가안보에 대한 우려가 100% 해소됐다" 미국과 중국간 갈등의 새로운 변수였던 틱톡 매각 협상을 승인했습니다.

예상되는 파장 에서 짚어보겠습니다.

한국은행이 지난해보다 3배 이상 발주량을 늘렸는데도 불구하고 5만 원권 환수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실제로 올해 들어 5만 원권 환수율이 꾸준히 낮아지면서 지난달엔 10장 중 7장 이상은 소재 파악이 안되고 있는 상황인데 왜 이런 현상이 나타난걸까요?

5만 원권 품귀현상이 계속될 경우 우려되는 부작용도 있을까요? 일각에선 세금부담 우려가 커지면서 5만 원권 일부가 탈세 목적으로 쓰이고 있는 것 아니냐는 의견도 나오고 있습니다. 국세청도 5만 원권 증발 현상에 탈세와 같은 음성화 가능성까지 염두에 두고 엄정 대처하기로 했는데 5만 원권 품귀 현상이 풀릴 수 있을까요?

추석 명절이 다가오며 올해 상여금은 어떨지 궁금해하는 목소리가 많습니다. 코로나19 여파가 큰 만큼 상여금에도 영향이 있었을텐데 기업들의 분위기는 어떠한가요?

급여와 상여금으로 고민이 깊은 기업들의 추석 자금난 해소를 위해 정책금융기관이 특별대출과 보증에 나서기로 했습니다. 위기를 겪는 기업들의 숨통이 좀 트일 수 있을까요?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중 갈등의 새로운 변수가 됐던 중국의 동영상 앱 틱톡과 오라클의 합의를 승인했습니다. 오라클과 월마트 등 미국인 투자자와 기업이 갖게 될 지분율이 관건이었던 것 같은데 어떻게 정해졌나요? 아울러 이번 분쟁에서 미중 양국의 득실은 어떻다 생각하시나요?

이번 협상에서 키를 쥐고 있었던 것은 양국 정부였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합의안을 승인했지만 중국 정부가 이를 승인하지 않는다면 사태는 처음으로 돌아가게 되지 않나요? 중국의 반응은 어떠한가요?

틱톡에 대한 이슈가 일단락된 상황에서 관심은 중국의 메신저앱인 '위챗'으로 옮겨가고 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가 미국에서 중국 모바일 메신저 '위챗'의 사용을 금지하는 행정명령을 내렸지만 미 캘리포니아주 법원이 이러한 조치에 급제동을 걸었어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