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초점] 열흘 새 태풍 3개…산사태 피해 상황·대비책은?

  • 4년 전
[뉴스초점] 열흘 새 태풍 3개…산사태 피해 상황·대비책은?


태풍이 덮쳤을 때 인명 피해의 주요 원인 중 하나가 바로 산사태입니다.

특히 올해는 역대 가장 긴 장마와 태풍 '바비','마이삭'에 이어 '하이선'까지 연이은 태풍으로 지반이 약해진 상태여서 산사태 위험이 어느 때보다 컸는데요.

이 시간, 이수곤 전 서울시립대학교 토목공학과 교수와 함께 산사태 피해 상황 짚어보고 대비 요령, 피해 최소화를 위한 대책 알아보겠습니다.

열흘 새 연이은 3개의 태풍으로 지반이 약해진 데다가, 태풍 '하이선'은 강한 바람과 집중호우를 동반했기 때문에 산사태 발생 확률이 급격히 높아졌는데…산사태 취약지역 주민 피해 상황은 어떻습니까? 경남 거제시 한 아파트 앞 절개지가 무너져 주민이 대패했단 소식과 함께, 고성 미시령 터널 산사태 소식도 들어왔는데 인명 피해는 없었습니까?

우면산 산사태 이후 정부가 안전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약속했지만, 태풍이나 집중호우 때마다 산사태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산사태가 반복되고 피해가 나올 수밖에 없는 구조적인 원인…어디에 있다고 보십니까?

산사태가 발생하기 전에 육안으로 볼 수 있는 징조가 있다고 하는데요. 거주 지역의 산사태 위험도를 확인하는 방법, 또 예측 프로그램들을 참고하면 피해를 줄일 수 있을까요? 산사태로 인한 인명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이 있다면 짚어주시죠.

지난달 5명이 사망한 전남 곡성군 산사태 사고도 인재일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수사 중인데, 사망사고가 불가피한 '자연재해'라고 보는 시각이 있는 반면, 예방 대책의 사각지대 때문에 일어난 '인재(人災)'라는 지적도 나옵니다. 전문가로서 어떻게 보십니까?

가평 펜션 산사태 현장이나 곡성 산사태 현장 등을 모두 둘러보셨다고 들었습니다. 두 곳 모두 산사태 취약지역 지정이 안 돼 있었다고요? 직접 현장을 둘러보시면서 가장 문제라고 느끼신 부분은 무엇입니까?

산사태는 인명과 재산 피해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더욱이 각종 시설물이 산에 많이 들어서면서 자칫 대형 피해마저 우려되는데,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예방책은 뭐라고 생각하십니까?

교수님께서는 우면산 산사태 반면교사로 한국의 산사태에서 인명피해를 줄이기 위해 가장 효과적인 방법에 대해 발표도 하셨는데, 2m 정도 높이의 철근 콘크리트 옹벽 필요성을 강조하셨죠? 부연 설명 부탁드립니다.

벌써부터 11호 태풍 얘기도 나오고 있고…산사태 피해는 언제든지 발생할 수 있는 상황입니다. 앞서 산사태를 관리하는 관할부서가 나눠져 있기 때문에 유기적이고 효과적인 운영이 힘들다고 말씀해 주셨는데, 컨트롤타워를 일원화할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 말씀해주신다면요?

지금까지 이수곤 전 서울시립대학교 교수와 함께했습니다.

감사합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