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초점] 태풍 '하이선'으로 부산 산사태·강풍 피해 속출

  • 4년 전
[뉴스초점] 태풍 '하이선'으로 부산 산사태·강풍 피해 속출


제10호 태풍 하이선이 오늘 새벽 제주를 시작으로 부산을 거쳐 현재 동해안으로 빠르게 북상하고 있습니다.

초강력 태풍 하이선의 영향으로 전국은 하루종일 강풍과 함께 많은 비가 내릴 전망인데요.

벌써부터 피해소식들도 들어오고 있습니다.

관련 내용, 장석환 대진대 건설시스템공학과 교수와 함께 짚어보겠습니다.

어서 오십시오.

'초강력' 등급을 예고했던 태풍 하이선이 오늘 새벽 제주를 시작으로 부산과 포항, 울산을 거쳐 동해안을 따라 북상하고 있습니다. 지난번 태풍 마이삭과 비교했을 때 하이선의 위력은 어느 정도인가요?

경북 경주 월성원전 터빈발전기 2기가 태풍영향으로 정지됐습니다. 다행이 전력공급은 안정적이라고 밝혔는데요. 하지만
사흘전 태풍 '마이삭'이 강타했을때도 부산 고리원전이 중단되기도 했었는데, 태풍 등 자연재해 발생 시 원전에 대한 피해 대비는 어떻게 이루어지나요?

경남과 울산에서는 강풍에 고압선이 흔들리면서 또 정전 사고가 발생했다고 하는데요. 집에 있다가 갑자기 정전이 되면 어떻게 해야 합니까?

부산의 경우는 강풍에 대한 피해가 매우 큰데요. 아까도 잠시 강풍에 대한 이야기 나눴지만, 부산은 특히 해안가에 고층 건물이 많아서 강풍 피해가 심한데, 연달아 온 태풍 때문에 대비를 할 틈도 없었을 것 같습니다. 특히 '빌딩풍' 피해가 우려되는 상황인데요?

강풍에 간판이나 시설물 피해도 계속되고 있는데요. 낙해물 피해는 매년 발생하고 있는데, 태풍의 위력이 너무 큰 건가요? 안전 조치가 잘 이루어지고 있는 건가요?

올해는 아시다시피 최장기간 장마를 기록했고요. 장마가 끝난 뒤 열흘 새 벌써 태풍이 3개째 발생했습니다. 지금 지반이 많이 약해져 산사태 걱정을 하지 않을 수가 없습니다. 현재 경남지역 곳곳에선 토사 유출과 산사태가 발생했는데요?
현재 산사태 위험, 어느 정도라고 보면 될까요?

산사태 위험도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 산사태 징후가 없더라도 이번 태풍의 경우 산사태 취약지역에 거주하고 계신다면 미리 대피 하시는 게 좋지 않을까요?

2016년 9월 하순에 찾아온 태풍 '차바'의 경우 울산 태화강의 경우 폭풍해일로 강물이 바다로 빠져나가지 못하고 역류하면서 범람해 주변 지역의 피해가 컸는데요. 지금도 태풍의 영향으로 굉장히 많은 양의 비가 내리고 있습니다. 하천 범람 등에 대한 걱정은 하지 않아도 될까요?

이번에도 지난번 마이삭 때와 마찬가지로 만조시간이 겹쳐 해일과 폭풍해일을 조심해야 한다고 하던데, 해안가에 계신 분들은 어떤 점을 대비해야 할까요?

방파제가 있긴 하지만 지난번 마이삭 때도 보니까 파도가 방파제를 넘어 해안가 마을까지 침범해 많은 피해가 있었는데요. 월파에 대한 대비책은 어떻게 준비를 해야 하는 겁니까?

열흘 새 태풍이 벌써 3개째 발생했고요. 태풍의 세기도 점점 커지고 있습니다. 지구 온난화로 인한 이상 기후 변화 때문이라고 하는데, 그렇다며 앞으로 태풍에 대한 대비책도 달라져야 하지 않을까요? 앞으로 어떤 대비를 해야 할까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