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열어보기] 가습기살균제 피해 '67만 명' 추산…"사망자도 약 10배" 外

  • 4년 전
◀ 앵커 ▶

간밤에 새로 들어온 소식, 또 사람들의 관심을 끈 뉴스를 전해드리는 '뉴스 열어보기' 시간입니다.

◀ 앵커 ▶

먼저, 노컷뉴스입니다.

◀ 앵커 ▶

사회적참사특별조사위원회가 약 627만 명이 가습기 살균제를 사용한 것으로 추산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5천 가구를 대상으로 방문 조사한 이번 연구는 역대 가습기 살균제 피해 실태조사 중에 가장 큰 규모인데요.

가습기살균제로 건강에 피해를 입은 67만 명 중에서도, 천식이나 간질환 같은 가습기 살균제 관련 특정 질병 피해자는 약 9만 명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하지만 지금까지 정부에 피해자로 접수된 인원은 약 6천 명에 불과하고, 1만 명이 넘는 것으로 추산되는 사망자 역시 정부에 접수된 건 약 1,500명뿐입니다.

사회적참사특별조사위원회는 정부가 피해 규모 파악에 보다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 앵커 ▶

다음은 세계일보입니다.

최근에 불법촬영 범죄가 잇따르면서 교육부가 전국적인 전수조사에 나섰습니다.

하지만 학교 현장에서는 조사방식을 두고 실태 파악에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는데요.

교육부가 제출한 '초중고별 불법촬영 적발 내역'에 따르면 최근 3년간 파악된 불법촬영 건수는 170여 건에 불과합니다.

문제는, 교육청이 적발 내역을 관리하지 않기 때문에 집계가 정확하지 않다는 건데요.

경기도와 강원도 같은 아홉 개 지역은 2017년부터 지금까지 적발 건수가 없거나 관련 자료를 아예 보유하지 않고 있었습니다.

경찰청 자료에 따르면 교내 불법촬영 적발 건수는 2018년에만 173건이나 됐는데요.

교육부 관계자는 "진행 중인 전수조사가 끝나면 항상 점검이 가능한 점검체계를 마련하겠다"고 밝혔습니다.

◀ 앵커 ▶

다음은 동아일보입니다.

코로나19 전파 우려로 병원들이 응급환자 수용을 거부하는 사례가 잇따르면서 응급환자 이송 시간이 크게 늘었습니다.

환자를 받아 줄 병원을 찾느라 길에서 허비하는 시간이 많아진 탓인데요.

지난달 구급 출동에서 고열과 기침 증상이 있는 응급환자를 병원까지 이송하는 데 걸린 시간은 평균 36분이었고, 구급차가 다시 소방서로 복귀하는 데 걸린 시간은 54분이었습니다.

지난해 같은 기간엔 각각 25분과 36분이 걸렸다는데요.

## 광고 ##병원들이 코로나19 증상이 있는 응급환자를 받지 않는 이유는 응급실 안에 격리 병상이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방역 지침에 따르면 호흡기 증상이 있는 응급환자는 '응급격리 진료구역'에 먼저 수용해야 하는데, 서울만 봐도 격리 병상은 45개에 불과합니다.

한 전문가는 "응급실 수용 기준을 보완하거나 음압병실을 늘리는 보완책이 필요하다"고 조언했습니다.

◀ 앵커 ▶

경향신문 살펴봅니다.

26일부터 프로야구 관중 입장이 시작됐습니다.

하지만 응원 금지 수칙이 제대로 지켜지지 않으면서 한국야구위원회가 준비한 코로나19 대응 매뉴얼의 문제점이 드러나고 있는데요.

대응 메뉴얼에는 '구호나 응원가 같은 비말 분출과 접촉 응원을 금지'한다고 돼 있지만, 경기를 보는 팬들은 일어나서 노래를 부르고 구호를 외치기도 했습니다.

응원단 역시 늘 하던 대로 팬들의 구호를 유도하는 방식으로 응원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때문에 좌석을 띄워 앉고 마스크를 썼다면 응원은 허용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점점 커지고 있습니다.

한국야구위원회는 "보완해야 할 부분을 고민하기로 했다"면서 "안전한 관람이 이루어지도록 철저히 관리하겠다"고 밝혔습니다.

◀ 앵커 ▶

끝으로, 한국경제입니다.

중국 바이트댄스가 출시한 '틱톡'이 돌풍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틱톡은 짧은 영상을 편집해서 공유하는 동영상 플랫폼인데요.

스마트폰을 돌리지 않고도 영상을 찍을 수 있고, 영상이 짧다 보니 언어 장벽도 낮아서 짧고 감각적인 영상을 선호하는 어린 세대에 인기가 많습니다.

틱톡 인기에 위기감을 느낀 미국 행정부는 틱톡을 '스파이 앱'이라고 주장하면서 '틱톡 금지를 검토 중'이라고 밝혔는데요.

제동이 걸린 틱톡은 디즈니 고위 인사 출신을 최고경영자로 영입하고, 콘텐츠 정책 의사 결정은 중국인이 아닌 사람에게 맡기면서 중국 이미지를 지우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습니다.

퇴출 압박이 계속되는 가운데 틱톡이 중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