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열어보기] 어린이도서관 변신한 관사 광역단체 3곳 아직 방 안뺐다

  • 작년
◀ 앵커 ▶

'뉴스 열어보기' 시작합니다.

◀ 앵커 ▶

오늘은 권위주의 시대 산물이라는 지적을 받아온 광역자치단체장과 교육감 관사 현황을 점검한 기사 먼저 살펴보겠습니다.

◀ 앵커 ▶

중앙일보입니다.

◀ 앵커 ▶

'지방 청와대'로 불리던 제주도 관사는 도서관으로 개방됐고요.

옛 부산시장 관사는 최근 종영한 드라마 속 재벌 집으로 등장하면서 관광명소가 됐습니다.

울산시장 관사도 허물고 그자리에 행복주택을 지었습니다.

하지만 관사를 유지하는 곳도 많은데요.

광역단체 중 대구와 경북, 강원도의 지자체장 관사는 여전히 운영 중입니다.

전국 17개 시·도 교육청에서 사용 중인 관사를 살펴보니 교육감 관사는 6곳이 남아있었는데요.

경남교육감은 2014년부터 내리 사용한 2층 단독주택을 리모델링하고 있고요.

경북교육청과 충남교육청도 여전히 관사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앵커 ▶

다음은 세계일보입니다.

시민들의 '새벽 만원버스' 민원을 해결하기 위해 서울 상계동에서 강남역 구간에 신설된 새벽 전용 버스, 8146번이 어제 첫 운행을 시작했는데요.

새벽 3시 50분, 8146번 버스에 몸을 실은 노동자들의 이야기를 들은 기사입니다.

버스를 탄 시민은 평소에는 문을 닫기 어려울 정도로 꽉 차 있었는데, 버스가 새로 생기면서 인원 분산에 도움이 될 것 같다고 말했고요.

버스 출발 시간도 앞당겨져 이제는 뛰지 않아서 좋다고 반색한 승객도 있었습니다.

반면 "지금까지 민원을 수없이 제기했다"며 뒤늦은 행정처리에 불만섞인 목소리를 낸 시민도 있었다네요.

◀ 앵커 ▶

이어서 경향신문입니다.

40대 딸이 어머니의 백골 시신을 2년 넘게 집에 방치한 사건과 관련해 "단순 연금부정수급 사건이 아닌 복지사각이 부른 비극"일 수 있다는 기사입니다.

신문은 사건이 알려진 이후 모녀를 기억하는 동네 주민들의 이야기를 전했는데요.

한 이웃은 "엄마와 세상에 단둘만 남은 사람 같았다"고 말했지만, 대부분 두 모녀를 기억하지 못했다고 합니다.

행정당국은 딸이 경제적 능력이나 사회생활 경험이 적었던 것으로 파악하고 있는데요.

한 전문가는 "2년 동안 어머니 시신을 방치했다는 게 정신적으로 취약한 분일 가능성이 있다"며 "이런 분들을 발굴해 지역사회에 참여하게 해야 하는데 부족한 인력상 쉽지 않다"고 지적했습니다.

◀ 앵커 ▶

다음은 한겨레입니다.

## 광고 ##정부가 대기업집단의 의무 공시 기준을 대폭 완화한다는 소식입니다.

공정거래위원회가 발표한 공시제도 개선방안을 살펴보면 대기업집단의 의무 공시 대상인 대규모 내부거래 기준금액을 현행 '50억원 이상'에서 '100억원 이상'으로 높였고요.

과태료의 부과 기준도 완화해 3일 안에 공시 의무 위반을 정정하면 75%까지 과태료가 감경됩니다.

공정위는 "지난 10여년간 경제와 기업 규모가 커진 점을 고려했다"고 설명했지만, 신문은 쪼개기 거래를 통한 내부거래와 일감 몰아주기를 통한 사익편취가 늘어날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 앵커 ▶

끝으로, 한국일보입니다.

문재인 전 대통령이 이르면 다음 달 자택이 있는 경남 양산의 평산마을에 책방을 열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문 전 대통령의 책방 구상은 이웃인 평산마을 주민들에게 도움이 되고 싶다는 바람에서 시작됐다는데요.

친문재인계에서는 정치적 해석에는 선을 그었지만 당 안팎에서는 온도차가 감지되고 있다고 합니다.

한 친이재명계 의원은 "문 전 대통령이 서평 등으로 메시지를 내왔는데 책방도 그 연장선상에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지금까지 '뉴스 열어보기'였습니다.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