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참시] 단식 끝났지만, 황교안 다시 천막으로… / '칼춤' 손학규, 유-안 사진까지 뗐다

  • 5년 전
◀ 앵커 ▶

정치적 참견시점, 정치팀 박영회 기자 나와 있습니다.

오늘 첫 소식 보죠.



황교안 대표 오늘 병원을 나와서 다시 천막으로 갔나 봅니다.

◀ 기자 ▶

네, 닷새만에 수염이 거뭇한 모습으로 복귀를 했는데, 국회로 간 게 아니었습니다.

다시 청와대 앞 단식 천막으로 갔습니다.

영상으로 보시죠.

[황교안/자유한국당 대표]
(대표님 오실 때까지 천막 지켰어요. 우리 하나예요.)
"두 사람의 진심을 알았으니까 단식은 여기서 멈추고…"
(모든 걸 이겨내고 같이 함께 싸울게요.)

"자유한국당은 확연히 달라질 것입니다."
(여의도 안 가세요?)
"당무를 여기서(청와대 앞) 보겠습니다. 필요한 일 여기서 하겠습니다."

단식은 끝났지만, 청와대에 맞선 투쟁은 계속된다는 걸 보여주려는 의도로 보이고요.

복귀 일성으로 "달라진 한국당" 쇄신을 강조했는데, 실제 오늘 임명직 당직자 전원이 일괄사퇴했고, 주요 보직자들이 교체됐습니다.

◀ 앵커 ▶

천막으로 다시 갔다는 건 투쟁 모드를 이어간다는 건데 다른 당 반응은 어떻습니까?

◀ 기자 ▶

강경 투쟁 일변도인 상황, 여당과 진보진영 반응 싸늘했습니다.

들어보시죠.

[이인영/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자유한국당이 빠지니 국회가 더 잘 돌아간다는 평가를 받는 그런 기회를 우리가 만들 수도 있습니다."

[심상정/정의당 대표]
"복귀 첫날 이 국회가 아니고 청와대 앞으로 간다고 합니다. 다시는 이 국회에 돌아오지 말기를 바랍니다."

당내에서도 우려의 목소리가 나왔습니다.

직전 원내대표였던 김성태 의원은 "올 오어 나씽, 전부 아니면 아무 것도 없다, 이런 전략은 손자병법에도 없다, 지금이라도 협상에 모든 걸 걸어야 한다"고 썼습니다.

◀ 앵커 ▶

다음 소식 보죠.



여기서 유와 안은 유승민 의원과 안철수 전 대표 같은데 사진을 떼어버렸다구요?

◀ 기자 ▶

네, 바른미래당 대표실에서 기자들이 취재하는 모습인데, 뒤에 손학규, 유승민, 안철수 셋이 손을 맞잡은 사진이 보이죠.

이런 사진들이 슬쩍 교체가 됐습니다.

유승민, 안철수 사진은 떼고, 또, 유승민계, 안철수계 의원들에게 징계도 내려졌습니다.

신당을 추진하는 '변혁' 모임은 해당행위다.

현직 오신환 원내대표까지 당원권 1년 정지가 내려졌는데, 양측 입장 들어보시죠.

[손학규/바른미래당 대표]
"원내대표가 당원권 정지를 받아서 원내대표직을 수행할 수 없게 된 것은 커다란 유감입니다"

[오신환/바른미래당 원내대표]
"손학규 대표 분파적 해당행위에 맞서서 끝까지 원내대표직을 수행하겠다는 점을 분명히 말씀드립니다."

이미 징계를 받은 하태경 의원은 "누구 잘랐다는 소식 아니면 뉴스에 나올 일 없는 칼춤정치인이 되셨다"고 손 대표를 비꼬았습니다.

◀ 앵커 ▶

바른미래당 갈등, 이쯤되면 정말 마지막으로 가는 거 같습니다.

◀ 기자 ▶

네, 이번 징계는 손학규 대표 편을 드는 이른바 당권파에서도 너무 했다는 반응이 많았습니다.

직접 들어보시죠.

[김관영/바른미래당 의원]
"그렇지 않아도 당이 분열돼 있는데 더 큰 분열을 가져오지 않을까, 당 재건에 걸림돌이 되지 않을까 걱정이 됩니다."

[채이배/바른미래당 의원]
"더 이상 서로 상처 내지 말고 각자의 갈 길을 가야 한다고 말씀드렸습니다."

감정의 골은 이미 깊을대로 깊고요, 이번 주말 변혁이 창당 발기인대회까지 열면, 법적 이혼, 분당도 속도를 낼 것 같습니다.

◀ 앵커 ▶

국회 기능은 멈춰있지만 정치인, 나의 생존을 위한 새판짜기 갈등은 하루도 쉬지 않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박영회 기자였습니다.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