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비핵화 vs 美 상응 조치…줄다리기 '팽팽'

  • 5년 전

◀ 앵커 ▶

2박3일간의 평양 담판을 마친 비건은 어떤 성과물을 갖고 돌아왔을까요?

영변 핵시설뿐 아니라 중단거리 미사일의 폐기까지 강력히 요구한 미국, 대북 경제 제재의 완화를 핵심으로 주장한 북한이 접점을 찾았을지, 이정은 기자가 분석했습니다.

◀ 리포트 ▶

북한이 약속했던 비핵화 조치의 핵심은 영변 핵 시설의 폐기와 검증입니다.

비건 대북특별대표는 이번 평양 담판에서 영변 핵 시설과 풍계리, 동창리 실험장을 폐기하는 시기와 방법, 검증 계획 등을 집중 요구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여기에 미국은 이른바 '플러스 알파', 추가적인 조치를 요구했습니다.

특히 미국 본토를 위협할 대륙간탄도미사일, ICBM뿐 아니라 중단거리 미사일 폐기까지 목표로 삼은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스티븐 비건/현지시간 지난달 31일]
"미국은 궁극적으로 핵분열 물질, 무기, 미사일, 발사체와 기타 대량살상무기의 폐기를 보장받고 싶습니다."

정상회담이 3주일도 남지 않은 상황에서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조치를 먼저 논의하자는 게 미국의 전략이었습니다.

대신 북한의 반감이 컸던 핵 시설 리스트 제출은 미뤘습니다.

미국은 이에 따른 상응 조치로 연락사무소를 평양에 여는 방안 등을 제시한 것으로 보입니다.

연락사무소는 북한이 요구해온 관계 개선의 상징이자 북핵 시설을 검증하는 전초 기지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반면 북한은 경제적 제재 완화에 초점을 맞췄습니다.

인도적 지원의 확대나 김정은 위원장이 신년사에서 직접 언급한 개성공단과 금강산 관광 재개 등이 거론되지만, 그보다 더 폭넓은 제재 완화를 주장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평양 실무협상에서 카드를 맞춰본 북미는 득실을 분석한 뒤 이르면 다음 주 곧바로 2차 협상에 돌입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MBC뉴스 이정은입니다.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