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
본문으로 건너뛰기
푸터로 건너뛰기
검색
로그인
전체 화면으로 보기
좋아요
북마크
공유
재생 목록에 추가
신고
임종석 “북한 실체 인정해야”…또 ‘두 국가론’ 언급
채널A 뉴스TOP10
팔로우
어제
임종석 "통일 하지 말자…두 개의 국가 수용" (지난해)
"헌법에 위배"…민주당도 선 그었던 '두 국가론'
임종석, 국가보안법도 언급…"이제는 매듭지어야"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동영상 트랜스크립트 전체 보기
00:00
본격적인 정치권 주제로 가보겠습니다. 임종석 전 의원이 또 한 차례 두 국가론을 언급했습니다.
00:09
지난해 이미 통일하지 말자, 우리끼리 잘 살자 라는 두 국가론 발언으로 한바탕 통역을 치른 바 있는데 이번에 또 그 발언을 꺼내들었습니다.
00:20
지난해 당시 발언 먼저 들어보시죠.
00:22
통일하지 맙시다. 그냥 따로 함께 살면서 서로 존중하고 서로 돕고 같이 행복하면 좋지 않을까요.
00:36
객관적 현실을 받아들이고 두 개의 국가를 수용합시다.
00:41
우리 헌법에도 써져 있잖아요. 평화적 통일을 지향한다. 흡수가 아니고 누가 흡수당하고 싶겠어요. 엄청난 희생과 갈등 그걸 수반하겠죠.
00:52
예, 임종석 전 대통령 비서실장이요. 북한 실체 존중하고 인정해야 한다.
01:00
정경분리 선언하고 헌법 해석도 다시 하고 북한에 대한 호칭도 재검토를 해야 된다라고 얘기를 했습니다.
01:08
자, 장성호 국민의힘 중앙선대위공보부단장, 전 건대 행정대학원장이셨는데.
01:14
자, 북한 호칭을 재검토하자. 그럼 우리는 북한을 뭘로 불러야 하는 겁니까?
01:18
글쎄요. 그것은 임종석 전 비서실장이 이거에 대해서 대안을 마련해야 되겠는데.
01:26
지금은 조선인민민주주의공화국이지 않습니까?
01:29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 해방 이후 분단이 돼 있고 그리고 우리 헌법에는 한반도와 부속도서로 한다고 되어 있습니다.
01:37
그리고 우리의 지상과제는 북한은 우리 땅이기 때문에 우리 한민족으로서 통일을 지향하는 그런 것이 헌법적 가치인데.
01:46
과거에 김대중 대통령이 연방제통일안을 제안했을 때도 우리 국민들은 상당히 이거에 대해서 친북이다.
01:54
이런 식으로 상당히 공격을 많이 했던 시절이 있었는데.
01:56
지금은 시대가 상당히 바뀌어서 격세지검이 있는데.
02:01
이런 것을 전 문재인 대통령 시절의 비서실장인 임종석 실장이.
02:06
지난번에도 이걸 얘기했다가 민주당에서도 이거에 대해서 비판적 의견이 있지 않았습니까?
02:12
그럼에도 불구하고 또다시 이것을 꺼낸 것은.
02:15
지금 새로운 정부가 출범을 했고 이재명 정부 하에서 북한에 대한.
02:21
북한도 마찬가지로 김정은 위원장이 우리 남한과 우리는 서로 다른 나라다.
02:28
그렇게 해서 이 국가로는 지금 주장을 하지 않았습니까?
02:31
과거 같으면 북한이 이 국권을 주장했는데 우리 임종석 비서실장 이런 걸 주장했으면.
02:37
이것은 국가보안법 혐의로 아마 조사를 받을 가능성도 상당히 큰데.
02:41
지금은 정권도 바뀌고 그리고 북한에 대해서 호혜, 평화.
02:47
이런 식으로 해서 이재명 정부의 통일 기조가 상당히 바뀐다는.
02:52
그런 인식 하에서 저런 주장을 지금 꺼내놓기 시작했다고 봅니다.
02:57
조기현 부회장.
02:58
지금 임종석 실장 여기에는 나와 있지 않습니다만.
03:01
국가보안법도 폐지하는 게 좋겠다라고 얘기하고 있습니다.
03:04
국가보안법 폐지 논란은 과거 역대 정부에서 계속 있었던 것인데.
03:09
이재명 정부에서는 그러면 추진하는 겁니까?
03:12
아니요.
03:12
검토되고 있는 바는 아니고요.
03:13
임종석 전 실장의 개인 의견.
03:15
개인 의견이죠.
03:16
그리고 그런 의견을 갖고 있는 의원들이 꽤 있습니다만.
03:20
공식적으로 국가보안법 폐지를 추진한다거나 검토한다거나 이런 것은 당의 입장이 아닙니다.
03:27
임종석 전 실장이 왜 굳이 꺼냈는지 모르겠습니다.
03:33
물론 개인의 소신이고 입장이고 특히 문재인 정부 때 비서실장하면서 화해 국면, 대화 국면을 주도했던 역할의 기에서 볼 때 현재의 남북관계에 대한 해석을 달리해야 된다는 개인적 소신이 있을 수 있습니다만.
03:47
이재명 정부는 어쨌든 지금 꽉 막힌 남북관계를 풀어보고자 대화 국면 조성을 위해서 여러 가지 조치를 검토하고 있지 않습니까?
03:56
주한미군사 훈련의 조정이라든가 북한을 대화의 장으로 끌어내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고요.
04:04
특히 트럼프 정부가 들어선 이후에 미국과 북한 간에도 접촉이 시도되고 있는 이 상황에서 두 국가론을 다시 꺼내는 것은 북한의 적대적 두 국가론과 같이 해석될 위험성이 있다는 점도에서도 민주당에서는 사실 우리의 목소리가 더 높습니다.
04:21
어쨌든 지금은 북한 한반도의 평화 안정을 위해서 북한과의 대화를 해야 되는 거고 헌법상 영토장이 굳이 나오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현 체제를 그대로 인정하는 두 국가론으로 가는 것은 한반도의 안정을 위해서도 저는 역시 바람직하지 않다고 봅니다.
04:39
임용석 전 실장의 말대로 된다면 우리의 소원은 동일이 아니고 우리의 소원은 두 국가 우리의 소원은 분단 이렇게 해석될 수 있다는 점 생각을 좀 해야 될 것 같습니다.
추천
16:34
|
다음 순서
북한도 대남 확성기 철거 시작…남북 대화 물꼬?
채널A News
오늘
7:02
전현희, ‘李 측근 석방’ 촉구…“정치공작 피해자”
채널A 뉴스TOP10
어제
22:01
‘두 국가론’ 비판에…임종석 “내가 말한 건 평화공존론”
채널A 뉴스TOP10
2024. 9. 26.
3:40
임종석이 띄운 ‘두 국가론’에 선 그은 민주당?
채널A News
2024. 9. 26.
10:54
[핫3]두 국가론 또 꺼낸 임종석…민주당, ‘선 긋기’?
채널A News
2024. 9. 24.
15:31
[핫2]‘DJ발탁’ 임종석-김민석 논쟁…남북 2국가론?
채널A News
2024. 9. 23.
11:54
‘2개 국가론’ 띄운 임종석 “통일하지 말자”
채널A News
2024. 9. 21.
7:55
文 정부 대북정책 주도한 임종석 “통일 말자”
채널A 뉴스TOP10
2024. 9. 21.
10:46
친명, 문재인 정부 ‘평화론’ 비판?…“헌법 정신에 위배”
채널A News
2024. 9. 26.
4:21
민주, ‘尹 탈당’에 잇따라 비난…“출당이 정상”
채널A News
2025. 5. 17.
17:27
출사표 던지자 ‘견제구’…최종 경선 2명만 남긴다
채널A News
2025. 4. 8.
4:24
나훈아 “왼팔, 니는 잘했나”…정치권 쓴소리에 ‘갑론을박’
채널A News
2025. 1. 12.
4:49
국민의힘 “문형배, 정치 편향”…민주당 “탄핵 불복 의도”
채널A News
2025. 1. 31.
4:15
장경태 "두 국가론, 굳이 이런 논쟁 해야 하나" 박정훈 "윤한, 호형호제 하는 사이" [앵커리포트] / YTN
YTN news
2024. 9. 26.
1:05
윤, '두 국가론' 정면 비판..."이해 못 할 반헌법적 발상" / YTN
YTN news
2024. 9. 24.
11:04
유시민 “내재적 접근”…국민의힘 “사과 빙자 2차 공격”
채널A News
2025. 6. 1.
12:46
민주, 이준석 기자회견에 “사실과 허위 교묘히 섞어”
채널A News
2025. 5. 30.
11:21
여야, 김민석 의혹 놓고 대치…‘발목 잡기’ vs ‘전과자 정부’
채널A 뉴스TOP10
2025. 6. 22.
2:22
윤, 임종석 '두 국가론' 정면 비판..."반헌법적 발상" / YTN
YTN news
2024. 9. 24.
2:30
스타벅스, 민폐 ‘카공족’ 이용 제한 결정
채널A News
오늘
2:25
"주한미군 숫자보다 역량이 중요...북중러, 당면한 위협" / YTN
YTN news
오늘
2:00
2차 소비쿠폰 못 받는 상위 10% 누구?...기준 마련 착수 / YTN
YTN news
오늘
1:47
입추 지난 막바지 여름, "물놀이 즐겨요" / YTN
YTN news
오늘
1:32
윤미향, 소녀상과 함께 광화문 집회 참석
채널A News
어제
12:18
남은 국민의힘 연설회 ‘전한길 논란’ 계속되나
채널A 뉴스TOP10
어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