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선 일성은 ‘협치 불가’였고, 핵심 공약은 ‘야당 해산’이었다. 경선 기간 내내 투사 이미지를 전면에 내세웠던 정청래(4선)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이재명 정부의 첫 여당 사령탑에 올랐다. “당심과 민심은 다르지 않다”며 시종일관 강성 지지층 표심 사로잡기에 집중한 결과다. 정 대표는 8·2 전당대회 직후 현장 기자회견에서 “지금은 내란과의 전쟁 중이라 여야 개념이 아니라고 생각한다”며 “(국민의힘의) 사과와 반성 없이 그들과 악수하지 않을 것”이라고 예고했다.
경선 초반부터 “험한, 궂은, 싸우는 일은 앞장서 솔선수범하겠다”며 스스로를 ‘당대포’라 칭해 온 정 대표의 당선은 민주당이 또 한번 ‘당원 중심 정당’임을 입증한 결과다. 정 대표는 의원들의 지지가 고스란히 반영되는 대의원 투표에서 경쟁자였던 박찬대 의원에 뒤졌지만, 권리당원 득표(66.48%)에서 박 의원(33.52%)을 더블 스코어로 누르면서 합산 득표율 61.74%(박찬대 38.26%)로 압승했다.
민주당 중진 의원은 “당원 지지세가 의원 지지세를 꺾는 현상은 이재명 체제 민주당에서 본격적으로 나타났다”며 “정 대표가 이재명 대통령의 길이 뉴노멀임을 다시 입증했다”고 말했다.
노무현 전 대통령 탄핵소추의 역풍을 타고 17대 국회에 입성한 정 대표는 줄곧 당내 비주류의 길을 걸었다. 문재인 전 대통령이 민주당 대표였던 20대 총선 땐 컷오프(공천 탈락)됐지만 견...
기사 원문 :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56477?cloc=dailymo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