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푸터로 건너뛰기
  • 그저께


물가수준이 지속적으로 오르고
돈의 가치가 떨어지는 이 현상
인플레이션 = 보이지 않는 도둑

#전현무 #하석진 #이상엽 #궤도 #황제성 #윤소희

지식 충전 퀴즈쇼 [브레인 아카데미]
매주 목요일 밤 10시 방송

카테고리

📺
TV
트랜스크립트
00:00그럼 뭔가 공부하실 때 가장 먼저 해야 되는 게 뭡니까?
00:04개념 정리.
00:05경제 분야를 시작할 때도요.
00:07가장 먼저 해야 될 일이 바로 기본적인 용어를 익히는 거죠.
00:12아, 개념.
00:14네, 경제가 특별히 그렇습니다.
00:15경제 뉴스를 제대로 이해 못 하면
00:18내 돈을 지키는 데 필요한 정보도 사실 놓치기 굉장히 쉽거든요.
00:23자, 여기서 문제를 내겠습니다.
00:26아, 모르는데.
00:27기본 개념에 관련된 문제인 것 같아요.
00:29주세요.
00:30개념 용어인가 봐.
00:33이들이 공통으로 말하는 경제 용어는 무엇일까요?
00:37레이거는 모든 미국인에게 모는 강도만큼 폭력적이고
00:42무장강도만큼 무섭고
00:43암살자만큼 치명적이다.
00:45대처는 모는 실업의 근원이다.
00:48그것은 저축한 사람들의 보이지 않는 도둑이다.
00:51와, 저거 저거.
00:54저거.
00:55싫어.
00:57실업의 근원.
01:00물가 아닐까요, 물가?
01:01저축한 사람들.
01:02아까 초반에 저희가 말씀드린 게
01:05물가 때문에 돈이 센다는 얘기를 했잖아요.
01:07물가 상승이지.
01:09근데 이게 인플레이션은 물가 상승, 인플레이션이죠.
01:14물가 상승, 인플레이션, 인플레이션.
01:16밤압?
01:17밤압은?
01:18너 벌써 한 번 더 하고 와.
01:19우리 집 것까지 하고 와.
01:21우리 집 것까지 하고 와.
01:23근데 인플레이션 넣으면 다 맞아, 뜻이.
01:26뭔가 인플레이션일 것 같아.
01:28용어니까.
01:29저 대처랑 레이건 때가 호황 아니었나?
01:32호황이면 물가 많이 오르잖아요.
01:34인플레이션밖에 없죠?
01:36그런 것 같아요.
01:37정답, 황제동 씨.
01:38아, 난 진짜 정답 PTSD가 있어가지고.
01:40무섭지.
01:42준비되셨어요?
01:44정답.
01:46인플레이션.
01:49자, 정답 화면으로 보시겠습니다.
01:51맞습니다.
01:53저건 인플레이션이지.
01:56아니, 너무 작지 않아?
01:57그래?
01:58아니, 갑자기 왜 그래?
01:59인플레이션.
02:00인플레이션?
02:01인플레이션.
02:04그렇지!
02:06정답입니다.
02:07정답은 인플레이션입니다.
02:09경제에서 꼭 알아야 하는 중요한 개념.
02:12바로 인플레이션인데요.
02:14지속적으로 물가가 오르면서 돈의 가치가 떨어지는 현상을 의미하는 겁니다.
02:20보이지 않는 도둑이라고도 합니다.
02:24인플레이션이 발생하면요.
02:25같은 만 원으로 예전에 설렁탕 두 그릇을 사 먹을 수 있었다면
02:30지금 설렁탕을 한 그릇밖에 못 사 먹게 되는 거거든요.
02:33똑같은 돈으로 살 수 있는 것이 줄어드는 것.
02:36그걸 인플레이션이라고 우리가 얘기할 수 있는데.
02:39그럼 지금 우리나라는 인플레이션입니까?
02:42인플레이션 기관이죠.
02:44그죠?
02:44인플레이션이 계속될 때 현금보다는 부동산 혹은 금 같은 실물 자산에 투자하라는 말을 많이 하거든요.
03:06왜 그럴까요?
03:06한정된 재원입니다.
03:07그렇죠.
03:08전 세계에 있는 금액량이 돈이 늘어나는 만큼 늘어날 수가 없듯이 인플레이션이 계속됨에도 불구하고 그 가치가 보존될 수 있는 것들을 찾아야 되고.
03:20찾아야 되고 그러한 자산에 적극적으로 투자를 하셔야 되죠.
03:25그리고 또 하나 중요한 것은 분산해서 투자하셔야 한다는 겁니다.
03:30이 인플레이션 기관은 워낙 큰 변동성 구간이라고 할 수 있기 때문에 어떠한 자산이나 어떠한 종목에 이른바 몰빵 투자를 하게 되면 굉장히 큰 피해를 보실 수가 있으니까.
03:43그래서 은행 잔고에 있는 금액에만 집착하지 마시고 이 돈의 실질 가치에 대해서 여러분들이 민감하게 반응하셔야 됩니다.
03:55그래야 여러분들의 돈을 도둑맞지 않게 되실 겁니다.
04:01그래서 여쭤봤던 건데 대답을 안 해주셔가지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