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푸터로 건너뛰기
  • 그저께


[앵커]
들끓는 폭염에 밥상 물가에도 비상이 걸렸습니다.

국민 횟감으로 불리는 광어와 우럭 가격이 치솟고 있는데요. 

소(小)자 회 한판 시키기도 부담스러워졌습니다. 

김설혜 기자입니다.

[기자]
서울의 한 대형마트 수산물 코너입니다.

'국민 횟감'이라 불리는 광어가 먹기 좋게 포장돼 있습니다. 

장을 보러 온 시민들은 가격표를 유심히 살펴보는가 싶더니 포장된 횟감을 집었다가 놓기를 반복합니다.

[박채영 / 서울 종로구]
"회 좋아하는 편인데 오늘도 살려고 했는데 막상 손이 가다가 말았어요."

광어회는 횟집에서 술안주로 제격이지만 가격 부담에 선뜻 주문하기가 망설여집니다. 

2인 분량의 광어 소자 사이즈입니다.  

소매가로 6만 원에 판매되고 있는데요. 

지난달 광어 도매가격은 1kg 당 1만9300원으로 지난해와 비교해 14%나 올랐습니다.

광어와 함께 사람들이 즐겨 찾는 우럭 도매가격은 1년 전보다 41.8% 올랐습니다. 

그러다보니 횟집 메뉴판에서 우럭을 찾아보기 어려울 지경입니다. 

광어와 우럭 가격이 연일 상승하고 있는 것은 기후변화로 바다가 뜨거워져 양식 출하량이 급감했기 때문입니다. 

지난해 역대급 고수온으로 양식장에서 어린 물고기들이 집단 폐사했고 올해도 폭염이 일찍부터 덮쳐 수급 불안이 우려되고 있습니다.

[김현철 / 국립수산과학원 서해수산연구소 양식산업과장 ]
"우럭 같은 경우는 수온이 18~21도 정도가, 광어는 20~25도가 적정 수온이라고 보시면 되고요."

양식장에서는 작년 가을 어린 물고기를 새로 들였지만 상품 크기로 자라기까지 족히 1년 이상은 걸립니다. 

수급 불안으로 인해 수산물 가격이 오르는 '피시플레이션'은 당분간 이어질 전망입니다. 

채널A 뉴스 김설혜입니다.

영상취재: 권재우
영상편집: 조아라





김설혜 기자 sulhye87@ichannela.com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들끓는 폭염에 밥상 불가에도 비상이 걸렸습니다.
00:04국민 횟감으로 불리는 광어와 우럭 가격이 치솟고 있는데요.
00:09소자 회 한 판 시키기도 부담스러워졌습니다.
00:12김서래 기자입니다.
00:15서울의 한 대형마트 수산물 코너입니다.
00:19국민 횟감이라고 불리는 광어가 먹기 좋게 포장돼 있습니다.
00:24장을 보러 온 시민들은 가격표를 유심히 살펴보는가 싶더니
00:28포장된 횟감을 집어 타놓기를 반복합니다.
00:37광어회는 횟집에서 술안주로 제격이지만
00:40가격 부담에 선뜻 주문하기가 망설여집니다.
00:442인 분량의 광어 소자 사이즈입니다.
00:47소매가로 6만 원에 판매되고 있는데요.
00:50지난해 광어의 도매가격은 1kg당 19,300원으로
00:54지난해 대비 14% 증가했습니다.
00:59광어와 함께 사람들이 즐겨 찾는 우럭의 도매가격은
01:021년 전보다 41.8% 올랐습니다.
01:07그러다 보니 횟집 메뉴판에서 우럭을 찾아보기 어려울 지경입니다.
01:11광어와 우럭 가격이 연일 상승하고 있는 것은
01:14기후변화로 바다가 뜨거워져 양식 출하량이 급감했기 때문입니다.
01:19지난해 역대급 고수온으로 양식장에서 어린 물고기들이 집단 폐사했고
01:25올해도 폭염이 일찍부터 넘쳐 수급 불안이 우려되고 있습니다.
01:30우럭 같은 경우는 수온이 18도에서 21도 정도가
01:34광어는 20도에서 25도가 적정 수온이라고 보시면 되고요.
01:39양식장에서는 작년 가을 어린 물고기를 새로 들였지만
01:43상품 크기로 자라기까지 좋기 1년 이상은 걸립니다.
01:48수급 불안으로 인해 수산물 가격이 오르는 피시플레이션은
01:52당분간 이어질 전망입니다.
01:53채널A 뉴스 김선혜입니다.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