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푸터로 건너뛰기
  • 어제
내년도 최저임금이 시간당 1만320원으로 확정되면서 육아휴직급여·실업급여 등 26개 법령에 속하는 각종 수당이 함께 오른다. 이에 따라 최저임금과 연동되는 실업급여 하한액이 상한액을 초과하는 역전 현상이 발생했다. 여기에 민주노총이 불참한 채 17년 만에 이뤄진 ‘반쪽짜리 합의’라는 비판까지 겹치면서, 최저임금 제도 전반에 대한 개편 논의가 불붙을 전망이다.
 
지난 10일 결정된 내년도 최저임금은 시간당 1만320원이다. 이를 주 40시간 기준으로 환산하면 월 215만6880원이 된다. 올해(209만6270원)보다 월 6만610원 인상됐다. 이에 맞춰 육아휴직급여·실업급여 등 각종 수당도 약 6만원가량 함께 오를 예정이다.
 
최저임금 인상의 영향을 가장 크게 받는 제도는 실업급여(구직급여)다. 이번에 최저임금이 2.9% 상승하면서 실업급여 하한액은 월 198만1440원으로 올라, 상한액인 198만원을 초과하게 됐다. 상한액과 하한액이 뒤바뀐 것은 10년 만의 일이다. 실업급여의 상한액은 고용노동부가 정한 기초일액(실업급여 산정 기준이 되는 하루 임금, 11만원)의 60%로 고정돼 있다. 하지만 하한액은 최저임금의 80%로 산정되기 때문에 최저임금 인상에 따라 역전 현상이 나타났다. 또 실업급여 하한액인 월 198만1440원이 최저임금을 받고 일하는 근로자의 월간 실수령액(약 189만1000원)보다 많아지게 됐다. 실업급여는 세금을 떼지 않다 보니(비과세) 나타난 현상이다.  
 
고용노동부는 당분간 실업급여를 하한액인 198만1440원 단일 기준으로 지급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향후에는 고용보험심사위원회 논의를 거쳐 상한액을 인상하거나 하한액 산정 기준을 조정하는 방안에 대한 검토가 필요한 상황이다. 실제로 2019년에도 하한액 산정 기준을 최저임금의 90%에서 80%로 낮추는 동시에, 상한액 기준 역시 일일 기초일액의 50%(당시 13만2000원)에서...

기사 원문 :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50864?cloc=dailymotion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내년도 최저임금이 시간당 1만320원으로 확정됐다.
00:07이재명 정부 출범 후 첫 최저임금 결정이다.
00:1110일 최저임금위원회는 내년도 최저임금을 올해보다 290원 오른 1만320원으로 확정했다.
00:19월급으로 환산하면 215만6천880원이다.
00:22최초 요구안에서 노동계는 전년 대비 14.7% 인상된 1만1500원을 경영계는 동결 수준인 1만30원을 각각 제시했다.
00:33양측의 입장 차가 끝내 좁혀지지 않자 공익위원들은 1만210원에서 1만440원 사이에 심해 촉진구간을 제한했다.
00:42심의 촉진구간에 반발한 민주노총 측 근로자위원 4명이 회의에서 이탈했지만 공익위원 9명,
00:48사용자위원 9명, 한국노총 측 근로자위원 5명은 회의를 이어가 합의안을 도출했다.
00:55노사 합의로 최저임금이 결정된 것은 이번이 역대 7번째로 2008년 이후 17년 만이다.
01:02이번 인상률은 IMF 외환위기 당시였던 김대중 정부의 첫해 인상률을 제외하면 역대 정부 첫해 가운데 가장 낮다.
01:10최저임금위원회가 10일 의결한 내년도 최저임금안을 고용노동부 장관에게 제출하고
01:16고용부는 이의제기 절차 등을 거쳐 8월 5일까지 최저임금을 고시하면 내년 1월 1일부터 효력이 발생한다.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