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푸터로 건너뛰기
  • 2025. 6. 26.


[앵커]
시작하겠습니다.

경제산업부 신선미 차장 나와 있습니다.

1. 우리나라도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스페이스X의 스타링크를 도입한다고요. 언제부터 사용할 수 있게 되는건가요?

이르면 이달 안에 스페이스X의 저궤도 위성 통신 서비스 ‘스타링크’를 쓸 수 있게 됩니다.

스타링크는 지난달 30일 우리나라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거쳐야 할 정부의 관련 심사 대부분을 통과했는데요.

국내 진출을 추진한 지 2년 여 만입니다.

현재는 국립전파연구원의 안테나 적합성평가만 남겨 둔 상태인데요.

이 평가가 끝나면 스타링크 측이 서비스 개시 시점을 결정할 수 있습니다.

2. 스타링크의 저궤도 위성, 기존 고궤도 위성과 어떻게 다른 거죠?

저궤도 위성은 1500km 이하의 비교적 낮은 고도에서 지상국과 신호를 주고 받는 걸 말하는데요. 

궤도를 낮췄기 때문에 거리가 줄어들어 통신 속도가 빨라집니다.

온라인 게임이나 화상 회의 등 실시간 통신에 적합한 수준이 되는 건데요.

단점은 전파 도달 영역이 기존 위성인 고궤도보다 좁다는 점입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전 지구를 커버할 정도로 위성을 많이 올려야 하는데요.

이 분야에서 가장 앞선 곳이 스타링크입니다.

올 1분기 기준 7100대가 넘는 저궤도 위성을 쏘아 올린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3. 스타링크를 사용하게 되면 우리 일상도 달라지나요?

당장 저궤도 위성과 휴대전화를 연결해주는 서비스가 나오진 않을 거 같습니다.

다만, 선박이나 항공기 등에서 영상통화나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 같은 고속 인터넷이 가능해질 전망인데요.

예컨데, 장기 항해 선박의 선원들에게 넷플릭스와 같은 OTT나 인터넷 검색 등을 제공하는 방식입니다.

또 스타링크는 기존에 기지국이 없던 인터넷 취약지역에서도 활용될 수 있는데요. 

산불 등 재난 상황에서 보조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관측입니다.

4. 스타링크가 도입되면 국내 이동통신 3사에도 변화가 생기나요?

스타링크가 국내에 들어와도 기존 통신사의 지위는 공고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미 우리나라는 인터넷 보급률이 95%에 달하기 때문인데요.

도서 지역을 제외하고는 당장 큰 수요처가 없을 것이란 전망이 나옵니다.

일각에선 스타링크가 가격경쟁력을 확보하면 중장기적으로 국내 통신시장의 패권 구도가 뒤바뀔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옵니다.

5. 그런데 스타링크 도입을 앞두고 이통 3사, 온도차가 있다고요?

KT와 SK텔레콤은 자회사를 통해 서비스 시작을 앞두고 있는데요.

반면, LG유플러스는 사업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스타링크가 안테나 대량 구매를 조건으로 내세운 점이 부담이라는 얘기가 나오는데요.

우리나라의 경우 위성 인터넷 시장은 개인이 아닌 해운사 등 기업고객이 주 타깃이라 규모가 작기 때문입니다.

6. 스타링크가 요구한 안테나 최소주문수량이 어떻게 되죠?

최소 1천 개 안팎을 요구한 것으로 알려집니다. 

이에 한국해운협회는 국가필수선박 약 300척에 스타링크 서비스 도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는데요.

하지만 각사별로 1천개 물량을 감당하기는 역부족 아니겠냐는 우려가 나옵니다.

스타링크 단말의 대당 가격은 2500달러로, 우리돈 약 340만 원입니다.

스타링크 측이 요구한 수량을 전부 확보하기 위해서는 단순 계산만으로도 34억 원이 필요한 셈인데요.

필요 이상의 안테나를 발주할 경우 악성재고로 재무 부담을 키울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옵니다.

현재 국내 기업이 확보한 스타링크 안테나 초도 물량은 약 100대 수준인데요.

계약 기간 내에 나머지 900대가량도 판매해야 하는 상황으로 전해집니다.

경제산업부 신선미 차장이었습니다.





신선미 기자 new@ichannela.com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경제를 부탁해 오늘도 경제산업부의 신선미 차장 나와 있습니다.
00:11신차장, 우리나라도 일론 머스크의 스페이스X가 지금 서비스하고 있는 위성통신을 도입한다고요?
00:20맞습니다. 이르면 이달 안에 스페이스X의 저궤도 위성통신 서비스 스타링크를 쓸 수 있게 됩니다.
00:27스타링크는 지난달 30일이죠. 우리나라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거쳐야 할 정부의 관련 심사 대부분을 통과했는데요.
00:36국내 진출을 추진한 지 2년여 만입니다. 현재는 국립전파연구원의 안테나 적합성 평가만 남겨둔 상태인데요.
00:45이 평가가 끝나면 스타링크 측이 서비스 개시 시점을 결정할 수 있습니다.
00:49네. 주막관 신차장이 저궤도 위성 서비스다라고 했는데 스타링크 서비스가 다른 위성 서비스하고 다른 게 있나요?
00:59맞습니다. 이 저궤도 위성은 1500km 이하의 비교적 낮은 고도에서 지상국가 신호를 주고받는 걸 말하는데요.
01:07궤도를 좀 낮췄기 때문에 거리가 줄어들어서 통신 속도가 빨라집니다.
01:12온라인 게임이나 화상회의 등 실시간 통신에 적합한 수준이 되는 건데요.
01:17단점은 전파 도달 영역이 기존 위성인 고궤도보다 좁다는 점입니다.
01:23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전 지구를 커버할 정도로 위성을 많이 올려야 하는데요.
01:29이 분야에서 가장 앞선 곳이 스타링크입니다.
01:32올 1분기 기준 7100대가 넘는 저궤도 위성을 쏘아 올린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01:37그렇군요. 위성통신을 사용한다. 그런데 일부 사람들만 사용하는 건가요?
01:43아니면 우리 일상이 달라지는 게 있습니까?
01:47당장 저궤도 위성과 휴대전화를 연결하는 서비스는 나오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01:53다만 선박이나 항공기 등에서 영상통화나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 같은 고속 인터넷이 가능해질 전망인데요.
02:00예컨대 장기 항해 선박의 선원들에게 넷플릭스와 같은 OTT나 인터넷 검색 등을 제공하는 방식입니다.
02:09또 스타링크는 기존의 기지국이 없던 인터넷 취약 지역에서도 활용될 수 있는데요.
02:14산불 등 재난 상황에서 보조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관측입니다.
02:21통신사들도 지금 굉장히 예의주시하고 있을 것 같은데
02:24이 스타링크 서비스가 도입이 되면 우리나라 통신사들도 변화가 생기나요?
02:29기존 통신사의 주인은 공고할 것으로 예상이 됩니다.
02:34이미 우리나라는 인터넷 보급률이 95%에 달하기 때문인데요.
02:39도서 지역을 제외하고는 당장 큰 수요처가 없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옵니다.
02:44일각에선 스타링크가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면
02:47중장기적으로 국내 통신시장의 패권 구도가 뒤바뀔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옵니다.
02:54네, 패권 구도가 바뀐다.
02:56그럼 지금 통신사들 중에 어디가 제일 적극적으로 나오고 있습니까?
02:59지금 현재 KT, SK텔레콤의 자회사를 통해서 서비스 시작을 앞두고 있는데요.
03:05반면 LJU플러스는 사업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03:10스타링크가 안테나 대량 구매를 조건으로 내세운 점이 부담이라 이런 얘기가 나오는데요.
03:16우리나라의 경우 위성 인터넷 시장은 개인이 아닌 해운사 등 기업 고객이 주 타깃이라서 규모가 좀 작기 때문입니다.
03:24방금 얘기하실 때 안테나를 주문해야 되는 양이 많아서 부담스럽다.
03:30그럼 저쪽에서 지금 요구하고 있는 최소 주문 양이 어느 정도 되는 겁니까?
03:34네, 최소 1,000개 안팎을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집니다.
03:38안테나 1,000개요?
03:39네.
03:40이에 한국해운협회는 국가 필수 선박 약 300척에 스타링크 서비스 도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는데요.
03:47하지만 각 사별로 1,000개 물량을 감당하기에는 역부족 아니겠냐 이런 우려가 나옵니다.
03:53스타링크 단말의 대당 가격이 2,500달러, 우리 돈 약 340만 원입니다.
03:59스타링크 측이 요구한 수량을 전부 확보하려면 단순 계산만으로도 약 34억 원이 필요한 셈인데요.
04:07필요 이상의 안테나를 발주할 경우 악성 재고로 재무 부담을 키울 수 있다 이런 우려가 나옵니다.
04:13그래서 현재 지금 보면 국내 기업이 확보한 스타링크 안테나 초도 물량이 100대 수준인데 계약 기간 내에 나머지 900대가량도 판매해야 하는 상황으로 전해집니다.
04:25그리고 또 원래 통신 사용은 안테나만 끝나는 게 아니라 그 다음에 계속 내야 하는 이용요금이 굉장히 높은 거죠.
04:32알겠습니다.
04:35지금까지 경제산업부의 신선미 차장과 경제를 부탁해 살펴봤습니다.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