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푸터로 건너뛰기
  • 2025. 6. 14.


[앵커]
날이 점점 더워지고 해수 온도가 상승하면서 해파리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물 반 해파리 반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인데, 어업 활동을 방해하는데다 물놀이를 즐기는 피서객들의 안전까지 위협하고 있습니다.

보도에 홍진우 기자입니다.

[기자]
바다에 던진 그물을 끌어올리자 물컹물컹한 보름달물해파리가 가득합니다.

바닷속을 들여다보니 말그대로 물 반 해파리 반입니다.

[정동일 / 해파리 피해 어민]
"와~ 지금 해파리가 너무 심각한 걸 느끼거든요. 해파리가 너무 많다 보니까 지금 뭐 다른 어종도 안 들어 오고 굉장히 어렵습니다."

배 위로 올려진 그물에는 멸치는 없고 해파리만 건져냅니다.

60kg 상자, 수십 개에 해파리만 쌓였습니다.

바구니에 이렇게 해파리가 가득한데요.

물고기 하나 찾아볼 수 없습니다.

경남 고성군은 해파리를 없애기 위해 수매사업을 하고 있지만 일주일만에 임시 중단됐습니다.

예산 3천만 원이 모두 소진됐기 때문입니다.

올해는 저수온 현상에 해파리 발생 시기가 작년에 비해 2주 정도 늦었지만 개체 수는 더 빠르게 늘고 있습니다.

최근 수온이 급상승한데다 먹이량도 풍부해 졌습니다.

[김경연 / 국립수산과학원 연구사]
"전남의 경우 1헥타르당 1200개체 정도, 경남은 최대 28만 5437개체 정도 관찰이 되고 많은 양의 (해파리) 유체가 일부 해역에 밀집되어서 출현 중에 있습니다"

해파리 특보는 이달 초 예비 주의보가 발령된데 이어 조만간 상향될 것으로 보입니다. 

다음주부터 개장하는 전국 해수욕장도 비상입니다.

부산지역 해수욕장 해파리 쏘임 사고는 지난해 850건이 넘어 2년만에 3배로 늘었습니다.

올여름 바다수온이 작년보다 1도 가량 더 상승할 것으로 예보된 가운데 차단망 설치 등 해파리와의 전쟁은 또 시작됐습니다.

채널A뉴스 홍진우입니다.

영상취재 김덕룡
영상편집 형새봄


홍진우 기자 jinu0322@ichannela.com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날이 점점 더워지고 해수 온도가 상승하면서 해파리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00:06물반, 해파리 반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인데,
00:09어업 활동을 방해하는 데다 물놀이를 즐기는 피서객들의 안전까지 위협하고 있습니다.
00:15보도에 홍진우 기자입니다.
00:20바다에 던진 그물을 끌어올리자 물컹물컹한 보름달물 해파리가 가득합니다.
00:25바닷속을 들여다보니 말 그대로 물반, 해파리 반입니다.
00:41베이로 올려진 그물에는 멸치는 없고 해파리만 건져냅니다.
00:4760kg 상자 수십 개에 해파리만 쌓였습니다.
00:51바구니에 이렇게 해파리가 가득한데요.
00:54물고기 하나 찾아볼 수 없습니다.
00:57경남 고성구는 해파리를 없애기 위해 수매 사업을 하고 있지만
01:01일주일 만에 임시 중단됐습니다.
01:04예산 3천만 원이 모두 소진됐기 때문입니다.
01:08올해는 저수온 현상에 해파리 발생 시기가 작년에 비해 2주 정도 늦었지만
01:12개체 수는 더 빠르게 늘고 있습니다.
01:15최근 수온이 급상승한 데다 먹이량도 풍부해졌습니다.
01:20전남의 경우는 헥타르당 1,200개체 정도, 경남은 최대 28만 5,437개체 정도 관찰이 되고
01:29많은 양의 유체가 일부 해역에 밀집되어서 출현 중에 있습니다.
01:34해파리 특보는 이달 초 예비주의보가 발령된 데 이어 조만간 상향될 것으로 보입니다.
01:40다음 주부터 개장하는 전국 해수욕장도 비상입니다.
01:45부산 지역 해수욕장 해파리 쏘임 사고는 지난해 850건이 넘어 2년 만에 3배로 늘었습니다.
01:53올여름 바다 수온이 작년보다 1도가량 더 상승할 것으로 예보된 가운데
01:57차단망 설치 등 해파리와의 전쟁도 또 시작됐습니다.
02:02채널A 뉴스 홍신우입니다.
02:04채널A 뉴스 홍신우입니다.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