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푸터로 건너뛰기
  • 2025. 6. 24.

카테고리

📺
TV
트랜스크립트
00:001, 2, 3
00:09하나, 둘, 셋
00:11나는 임소연이고 과학기술학 연구자이고
00:16연구를 위해서 했던 일 중에 하나가
00:19성형외과에서 코디네이터라고 불리는 일을 한 적이 있지
00:24아 그냥 내가 하는 게 제일 잘 알겠구나
00:27양학수술이라고 하는 큰 성형수술을 했으니까
00:31나는 가볼 때까지 가봤다
00:33방금 처음으로 과학자의 광기가 느껴졌어
00:41과학기술학이라는 게 어떤 거야?
00:45과학기술학은 과학기술에 대해서 연구하는 거지
00:49과학기술과 관련한 문화를 연구할 수도 있고
00:52역사를 연구할 수도 있고 철학을 연구할 수도 있고
00:55근데 나는 과학기술을 좀 바꾸는 연구자가 되고 싶어
01:03연구가 되어야 하는데 되지 않은 게 있다
01:07예를 들면 여성의 몸에 대해서는
01:10우리가 더 연구를 할 수 있는데 되지 못한 것들이 많다
01:14월경 전 증군이라든지
01:17수많은 여자들이 임신과 출산 과정을 겪으면서
01:20경험하는 증상들을 과연 과학이 다 알고 있을까
01:25그런 걸 알려서 연구가 더 되게 만든다든지
01:29성형수술을 연구해야겠다고 생각을 한 것조차도
01:32그 몸에 대한 관심이 뭔가 항상 과학기술과 연결이 돼 있는 거야
01:38피부과 가면 다 레이저 장비들 있고
01:42화장품도 다 어떤 화학적인 이런 거의 결과물이고
01:46여자들이 관심이 있는 과학기술이 많은데
01:50이걸 연구하는 사람들이 있어야 되지 않을까
01:54왜 이거는 과학기술이 아니지
01:56그러다 보니까 성형외과에 들어가게 된 거고
02:003년 가까이 코디네이터의 역할을 일부 하면서
02:05현장에 같이 있는 걸로
02:07그 이전에 성형에 대한 연구들이 있었거든
02:11왜 여성들이 성형을 많이 할까
02:14외모차별 경험이 있는 경우가 있더라
02:17아니면 우리 사회가 외모지상주의 사회더라
02:20이거에 초점을 맞추는데
02:22과학기술이 중심이 되면
02:24이후에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를 보는 거지
02:27성형수술이라는 게
02:28병원에서 어떻게 실제로 무슨 일이 벌어지고
02:32이후에 어떤 그 사람에게 이게 어떤 경험인지를
02:36그걸 나는 너무 보고 싶었단 말이야
02:38그런데 막상 성형외과에 들어갔는데
02:41수술이 딱 끝나면 환자들을 볼 수가 없어
02:44왜냐하면 성형수술의 특성상
02:46며칠을 입원을 한다든지
02:49장기루 이런 경우는 거의 없고
02:51그 이후 성형수술이 끝난 이후의 삶에 대해서는
02:55이 뒤를 보고 싶은데 어떻게 하지?
02:58내가 하는 수밖에 없겠다
03:00양학수술이라고 하는
03:02성형수술 중에서는 좀 약간 큰 수술에 속하고
03:05입원도 그래도 며칠을 해야 했으니까
03:08나라는 실험체를 가지고 해보니 어땠어?
03:12의료기술이라는 게 굉장히 발전해서
03:14몸을 되게 우리 마음대로 통제할 수도 있고
03:17바꿀 수도 있고 생각을 하지만
03:19얘가 그렇게 허락허락하지 않다
03:21절대로 내가 예측한 대로 되지 않는다
03:24수술 후에 부운 붓기라든지
03:26멍이라든지 이런 것
03:27의사들조차도 정확하게 일주일 후에 다 사라진다
03:31이게 예측이 맞지도 않아
03:33성형도 이 정도면
03:36다른 의료기술은 정말 다 그렇다고 봐야 되는 거고
03:41의료기술 뿐만이 아니라 과학도
03:44사실 그게 통제된 실험실 안에서 나왔던 결과와
03:49개별 각 몸에 적용했을 때는 너무 다르니까
03:54더 다양한 사람들이 과학기술을 해야 되는 거야
03:57어떤 분야에 되게 비슷한 사람들만 거기 있어
04:00그러면 문제가 생길 수밖에 없거든
04:03그 사람들 위주의 과학기술이 만들어질 수밖에 없거든
04:06그렇게 본다면 더 많은 여성들이 들어가고
04:09장애를 가진 분들도 더 많이 과학자가 돼야 되고
04:13이렇게 된다면 과학기술도 바뀔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04:17과학에 대해서 우리가 가지고 있는 생각이
04:20뭔가 과학은 되게 지식이다
04:23어려운 지식, 무슨 법칙, 어떤 원리
04:27우리의 어떤 이미지 속의 과학기술은 굉장히 수학 중심이고
04:32내가 만나본 사람들 중에 보면
04:35자연을 너무 좋아하고 관찰하는 것도 좋아하고
04:38동물도 좋아하고 심지어 무슨 돌도 좋아하고
04:42막 너무 자연에 대한 애정과 관심은 많은데
04:45추억을 못해서 이 공개를 못 가는 거야
04:49그러니까 이런 게 나는 너무 큰 걸림돌이라고 생각해
04:53나의 어떤 연구가 작게나마 기여를 해서
04:58어떤 과학기술이 바뀌는 모습을 보고 싶고
05:00더 많은 여자들이 과학자가 되는 모습을 보고 싶고
05:04내 뒤에 오는 여자들한테 힘이 돼줄 수 있고
05:08버텨나가는 데 힘을 줄 수 있는 그런 사람이 되고 싶다
05:15무늬말게 내게 힘이 돼주고 싶다
05:19라는 생각을 최근에 하면서
05:22어? 나 좀 어려움이 된 것 같아
05:24라고 느꼈습니다
05:26아!
05:28아!
05:29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