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 6. 6.
♨00%이상 막혀야 증상이 나타나는 혈관?!♨
혈관 건강을 악화시키는 원인들
알아야산다
매주(토) 오전 7시 방송
카테고리
📺
TV트랜스크립트
00:00김영애 어머님도 이상지질혈증을 가지고 계셨습니다.
00:05여성은 60대가 지나면 이상지질혈증 유병률이 급증하게 되는데요.
00:1160대 이후에 여성분들은 10명 중에 몇 명이 이상지질혈증이 될까요?
00:19퀴즈만 보니까 그냥 무서운데요, 여자로서?
00:2310명 중이에요.
00:25저하고 둘 사시는데도 5명. 혼자 굉장히 외롭네요.
00:30그리고 두 분은 나란히 7명 접으셨어요.
00:34숫자 7을 좋아해서.
00:377명이 정답입니다.
00:39진짜요?
00:40네.
00:41만약에 기뻐할 수가 없으니까 너무 많아요.
00:43너무 많아.
00:44먼저 남성의 이상지질혈증 유병률 그래프를 먼저 보여드리겠습니다.
00:4940대 이후로 수치가 50%, 55% 이런 식으로 10명 중 5명에서 6명 왔다 갔다 한다고 보시면 되겠는데요.
00:59그래프가 변화가 없네요.
01:01게다가 거의 변화가 없네요.
01:01고만고만하네요.
01:03다음은 이제 여성의 이상지질혈증 유병률입니다.
01:0640대의 40%였던 게 50대의 56%, 7%, 60대에는 무려 71%가 되는 것이죠.
01:1750대 이후로는 여성이 남성을 훌쩍 앞서게 되는 것이죠.
01:22확 늘어나네, 진짜.
01:24무섭다.
01:25완병이 되게 되면 여성은 이상지질혈증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 이렇게 생각하고 혈관 건강 관리를 아주 잘 하셔야 됩니다.
01:34LDL 콜레스테롤이 죽상동맥 경화증을 일으킨다고 제가 말씀을 드렸는데요.
01:40오래된 수도관이 녹이 쓸고 막히는 것처럼 혈관 내막에 콜레스테롤이 점점 쌓이게 되면서 혈관이 좁아지거나 막히게 됩니다.
01:50그런데 혈관이 어느 정도 막혀서는 증상이 잘 안 나타나는데요.
01:54증상이 없으니까 조기 진단이 어렵고 또 치료 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아주 많습니다.
01:59그러면 우리 혈관이 어느 정도까지 막혀야 증상이 나타날까요?
02:04아이고 1번인 것은.
02:05증상이면 막 여기 막히는 막.
02:08좁힘 정도에 따라서 증상이 나타날 수도 있고 잘 그걸 못 느낄 수도 있는데요.
02:12어느 정도 막혀야 증상이 딱 나타나서 혈관에 문제가 생겼나 보다 이렇게 느낄 수 있을까.
02:19저게 이제 혈관의 단면을 보여주는 거잖아요.
02:21그런데 저거 아이고 2번 정도만 돼도 저게 반 이상 막혔는데 3번이면 들어놓고 계셔야지.
02:29예 자 보겠습니다.
02:31오호 2번이 많고 아이고 영재동생 3번 같네.
02:36극단적으로 막혀야 사실 티가 난다.
02:39저는 그렇게 알고 있어서.
02:40둘 셋이는 또.
02:41조금만 막혀줘 저는.
02:43아 진짜로요.
02:44자 정답은 뭡니까?
02:46네 정답은 3번입니다.
02:47아 진짜요?
02:49이 정도 돼야 티가 난다고요?
02:51네 3번은 보시기에 거의 다 막히신 것 같은데.
02:55한 70% 이상 막히면 그때부터 의미 있는 혈관에 협착.
03:00좁아진 상태다라고 보통 말씀을 드립니다.
03:03아 지금 반대로 그러면 저렇게 될 때까지 우리가 모른다고요?
03:05모르게 됩니다.
03:07모르십니다.
03:09협심증으로 병원에 오셔서 혈관 검사를 하는 그런 분들을 보면
03:14대부분 70% 이상 넘어간 그런 혈관에서 증상을 나타낸다.
03:21이렇게 보면 되겠죠.
03:22김영애 어머님처럼 증상이 나타났을 때는 이렇게 이미 혈관이 많이 막힌 상태입니다.
03:28다리에 큰 정맥 혈관을 떼어서 이렇게 연결시켜주는 그런 관상 동맥 우회수를 받으셨다는 것은
03:34아주 직경이 아주 굵은 중요한 심장 혈관 3군데 정도가 한꺼번에 막혔다는 그런 의미거든요.
03:40그렇게 막힐 때까지 모르셨던 겁니다.
03:44계속 모르고 계시다가 큰 3개 혈관이 70% 이상 많이 막히니까
03:49그때 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해서
03:52그래서 병원에 가시게 됐고
03:54얼른 수술을 받게 되신 그런 상태죠.
03:57이야 그렇군요.
03:59이렇게 김영애 어머님의 혈관 건강을 나쁘게 한
04:03첫 번째 요인을 한번 말씀을 드리고자 하는데요.
04:07김영애 어머님은 언제 고혈압을 진단받으셨죠?
04:16네. 40대 중반쯤 돼서
04:18고혈압은 혈관 내부의 압력이 높아지게 되면서 혈관벽에 상처를 자꾸 내게 되고
04:25혈관의 긴장감을 높여서 혈관이 수축된 상태로 계속 오래 지속되게 합니다.
04:30이때 혈관벽에 콜레스테롤이 잘 달라붙게 상처가 자꾸 나고 달라붙게 되는데요.
04:37혈당이 높을 때도 마찬가지입니다.
04:39고혈당이 오래 지속되면 혈관의 콜레스테롤이나 단백질 물질과 결합하게 되면서
04:44혈관에 염증을 일으키는 바람에 피떡이라고 하는 혈전을 많이 만들어내게 되고
04:51혈관벽에 쌓여서 혈관이 결국 좁아지게 됩니다.
04:54고혈압이 왔다는 것은 혈관이 점점 막히고 있다.
04:59이런 이야기로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05:02그런데 여기서 따님도 마찬가지입니다.
05:05따님도요?
05:1035세?
05:1135세 뭔가요?
05:14제가 고혈압 약을 먹기 시작한 나이가 35세입니다.
05:19그런데 35세에 고혈압은 잘 안 오는데 너무 빨리 온 거 아니에요?
05:23굉장히 많이 빠르다고 말씀드릴 수가 있습니다.
05:27혈관은 높은 혈압에 노출되는 시간이 길어지면 길어질수록 아주 쉽게 망가지고요.
05:33합병증의 발생 위험도 높아지게 됩니다.
05:36실제로 한 우리나라의 연구에서 20대, 30대 남녁 약 한 249만 명을 10년간 쭉 관찰을 했죠.
05:4530대 남성 고혈압 환자는 정상인에 비해서 심혈관 질환 위험이 76%나 높아졌다고 보고를 하였습니다.
05:52그런데 여성은 남성보다도 훨씬 더 높습니다.
05:58무려 85%까지 높아지게 됩니다.
06:01뇌졸중 위험은 또 더 높아지는데요.
06:04남성은 99% 그러니까 2배 이상 높아지게 되고요.
06:08여성은 무려 118%까지 높아졌다고 합니다.
06:12따님은 저렇게 수치로 보시니까 기분이 어떠신가요?
06:16그래도 저는 빨리 발견한 편이어서 제가 약을 안 먹게 되면 어떻게 되냐고 물었더니 심장에 무리가 더 생긴다고 말씀을 하셨거든요.
06:27정말 다행이네요.
06:28따님께서도 고혈압을 모르고 지내셨다면 심장 혈관이나 뇌혈관에 문제가 생기실 수가 있었겠지만
06:34오히려 30대의 고혈압을 발견하고 혈압약을 드시고 계셨기 때문에
06:39이러한 질환들을 잘 피해가실 수 있을 거라고 생각이 됩니다.
06:44저 딴은 관리를 잘하고 있는데 왜 그래 아플까요?
06:48병도 많이 생기고.
06:50네. 보통 혈압 관리를 한다고 하시지만 생각만큼 관리가 잘 안 되는 경우도 많고요.
06:57어머님께는 또 이런 문제가 좀 있었습니다.
07:01오.
07:03이남삼녀?
07:04이남삼녀예요?
07:06아니 이남삼녀 뭐죠?
07:08자식들이 많으시다는 건가요?
07:10어머니 자식이 아니라 어머니 형제 자매가 이남삼녀라는 거예요.
07:14이남삼녀 모두 혈관 건강이 별로 좋지가 않으세요.
07:18어머 아 그러시구나.
07:21또 한 분이 우리 오빠가 저 받고 나서 한 달 후에 또
07:25짐 관상동맥 우회서를 또 받았습니다.
07:29그러면 사실 가족력이 있는 거네요.
07:32그러네요.
07:33네 그렇습니다.
07:34가족력이 있는 경우 고혈압이 올 확률이 굉장히 높아집니다.
07:40실제로 김영애 이선아님처럼 어머니께서 고혈압일 경우
07:45자식이 고혈압일 확률이 27.2% 정도 된다고 합니다.
07:50그리고 형제 자매가 고혈압이면 자신이 고혈압일 확률이 57%까지 많이 높아진다고 돼 있습니다.
07:56형제 자매는 확률이 확 올라가네요.
07:59또한 가족은 식습관이 굉장히 비슷하기 때문에 가족력이 그런 영향을 환경적인 영향까지도 준다.
08:06이렇게 이해를 하시면 되겠습니다.
08:07저도 저희 아빠가 먹는 음식 저도 좋아하거든요.
08:11그렇죠 그렇죠.
08:11같이 짠 거 먹고 이렇게 되는 거니까요.
08:14같이 먹는 거니까.
08:15네 또 이번에는 인절미.
08:18인절미.
08:22어 저 두 개를 조심해야 된다 이런 말씀인 겁니까 선생님.
08:26네 어머님은 인절미 따님은 국.
08:31인절미 좋아하세요?
08:32아 그러시구나.
08:34전에는 인절미를 어디가 이렇게 먹으면 인절미만 이렇게 먹었는데
08:39요즘 살떡국수 뭐 흰가루 먹지 마라 그래가 조금 절제하는 편입니다.
08:47떡을 또 많이 먹는 것도 혈관하고 연관성이 있다는 게 좀 신기한데
08:53정말로 연관성이 있으니까 붙이셨겠죠?
08:56네 그렇습니다.
08:57떡이나 빵 국수 좋아하시는 분들 참 많죠.
09:00저도 좋아하는데요.
09:01네.
09:02이런 것들이 바로 정제 탄수화물이라고 묶을 수가 있는 것 같아요.
09:06아 정제 탄수화물.
09:07정제 탄수화물을 많이 섭취하면 혈당과 함께 중성지방이 자꾸 올라가게 되는데요.
09:13당과 중성지방은 에너지원으로 사용이 되고
09:16그 남는 경우 남게 되면 전부 다 복부 지방으로 내장 지방으로 저장을 다 하게 되는데요.
09:23내장 지방이 과다하게 되면 인슐린 저항성이 높아지게 되면서
09:27콜레스테롤, 혈당, 혈압 이것이 모두 높아지게 됩니다.
09:33한국지질동맥경화학회 보고에 따르면
09:35이상지질혈증 유병자의 약 25%만이 탄수화물 권장량을 따르고 있고
09:41대부분 탄수화물을 기준양보다는 더 많이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09:47한국지질동맥경화학회
추천
1:08:34
|
다음 순서
37:32
53:25
1:09:00
1:46:51
1:09:44
47:25
3:47
48:30
21:07
0:30
0:30
4: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