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주 남강에 띄운 수상객석은 사람들 발걸음이 거칠기라도 하면 출렁였다. 공병부대가 수상 작전 때 주로 사용하는 고무 폰툰(pontoon) 4700여개를 엮어 만든 600석 임시 객석이다. 강물을 사이에 두고 진주성 아래 의암(義巖)을 낀 야외무대가 펼쳐졌다. 너비 52m짜리 너럭바위 위에서 왜병과 시민들 간 전투가 전개된 뒤 하얀 소복을 입은 논개의 절규. “이제야 저 푸른 강물이 피눈물로 보이느냐.” 그가 왜장을 안고 뛰어내리자 ‘풍덩’ 소리와 함께 물보라가 일었다.
지난달 31일 경남 진주성 외곽 야외무대에서 막을 내린 실경역사뮤지컬 ‘의기 논개’의 마지막 장면이다. 기생 논개가 진주성을 침략한 왜장을 껴안고 뛰어내렸다는 그곳에서 역사를 재현했다. 지난 5월 한달간 총 10회 공연에 5400여 관객이 몰렸다. 안전을 위해 구명조끼를 입고 관람했다. 논개 투신 뿐 아니라 진주검무 전투 장면 등 야외 특성을 살린 연출이 돋보인다. 게다가 무대에 서는 110여명 중 절반 이상이 전문 배우가 아니다. 이런 ‘연합부대’를 지휘하는 이가 고능석(57·극단현장 대표·사진) 연출이다. 지난달 23일 그를 만났다.
투신 장면 등, 바위 무대 난도가 높아보인다. “사실 야외무대는 실내보다 10배는 더 어렵다. 공연 연습보다 바위 물때 청소가 더 오래 걸릴 정도다. 투신 장면엔 전문 잠수사가 대기하고 있고 배우들이 안전하게 헤엄쳐 나오도록 유도한다. 실제 역사 현장에서 공연한다는 게 국내에선 전례가 드물고 관객 역시 역사적 체험에 대한 각별함이 있어서 앞으로도 실내 극장에 가져갈 생각은 없다. 꼭 이곳에 와야 볼 수 있는 작품이란 점에서 진주 관광상품 패키지로 인지도를 쌓고 있다.” 애초엔 뮤지컬...
기사 원문 :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40894?cloc=dailymo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