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
본문으로 건너뛰기
푸터로 건너뛰기
검색
로그인
전체 화면으로 보기
좋아요
북마크
공유
재생 목록에 추가
신고
트럼프, ‘복수세’까지 추진…월가 긴장
채널A News
팔로우
2025. 6. 2.
美 하원 통과한 '세법 개정안 899조' 논란
디지털세 등 美 기업 과세 국가에 '보복성 세금'
한국 기업·연기금도 적용 대상에 포함될 가능성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동영상 트랜스크립트 전체 보기
00:00
한글자막 제공 및 자막 제공 및 광고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00:30
한글자막 제공 및 자막 제공 및 광고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00:59
이게 불공정하게 행동한다고 판단되는 국가, 기업, 심지어 개인에게 20%의 세금을 더 물릴 수 있게 한다는 건데요.
01:11
교수님, 교수님이랑 저랑 그런 얘기 했었습니다.
01:14
관세 폭탄 던질 때 트럼프 관세를 기본 관세, 즉흥 관세 이렇게 얘기했는데
01:20
이제는 하다하다 복수세까지 나왔네요.
01:24
이게 우리나라도 해당이 될 수 있는 얘기가 되는 건가요?
01:28
충분히 대상이 될 수 있다고 보고 있는 거죠.
01:31
1차적으로는 이게 소위 미국이 불공정하다고 판단하면 20%의 세율을 더 얹어서 부과할 수 있다는 건 아닙니까?
01:41
이게 귀에 걸면 귀걸이, 코에 걸면 코걸이에요.
01:45
그런데 지금 1차 대상은 어디가 될 거냐라고 본다면
01:48
일단 유럽연합, 영국 이쪽이 대상이 될 거라고 보는 거란 말이죠.
01:52
이유는 디지털세, 유럽 쪽은 특히 미국의 빅테크 기업들한테
01:58
디지털세를 명목으로 천문학적인 세금을 부과하고
02:03
그것 가지고 소송도 하고 아주 지리멸련한 싸움을 벌이고 있지 않습니까?
02:06
이게 타겟이 돼서 만약에 정말 복수세가 부과가 된다면
02:10
우리도 어느 정도 간접적인 영향권에 들어갈 수 있어요.
02:14
우리도 미국의 빅테크들을 대상으로 예를 들어서 디지털 규제를 강화해왔단 말이죠.
02:18
망 사용료라든지 엠마켓과 관련된 수수료 이런 부분들을 계속해서 강화해왔거든요.
02:25
그래서 작년 같은 경우는 미국 무역대표부나
02:28
혹은 미국 상공회의소를 통해서 미국 정부의 압박이 가해져 왔죠.
02:32
이런 식으로 한 건 미국 기업에 대한 차별이다.
02:35
이런 식으로 압박이 가해져 왔기 때문에
02:36
이걸 잣대로 해서 트럼프 대통령, 트럼프 행정부가 불공정하다라고 판단하면
02:42
20%의 과세가 될 수 있는 겁니다.
02:44
추가로 말이죠.
02:45
그리고 이번 관세협상에서도 비관세 분야에 있어서
02:49
주요 내용은 아니지만 이런 디지털 분야에 대한 역차별 문제를
02:53
미국 정부도 계속해서 거론해 오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죠.
02:58
만약에 이런 것들이 이제 정말 우리한테 도입이 된다고 본다면
03:02
미국에서 소위 말해서 진출해 있는 기업 단위가 될 수도 있고요.
03:07
개인 단위가 될 수도 있고요.
03:08
정말 복수세 대상이 될 수 있는 겁니다.
03:11
자, 이제 뭐 하다하다 복수세까지 매기겠다고 하는 트럼프 대통령.
03:16
최근에 미국 법원이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 관세에 대해서 잠시 브레이크를 걸어서
03:23
좀 조용해지는가 싶었는데 관세 가지고 또 폭주하기 시작했습니다.
03:28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3월 외국산 철강에 이미 25%의 관세를 부과하고 있죠.
03:35
그런데 여기다가 25%를 더 매기겠다는 겁니다.
03:39
그래서 철강 관세를 두 배로 인상해서 50%까지 매기겠다고 발표했습니다.
03:45
우리한테는 지금 직접적인 피해가 올 것 같습니다.
03:50
우리가 지금 해당하기 위해 50%의 관세를 부과하고 싶습니다.
04:04
우리가 지금 가장 크게 한 번데도 able해야 합니다.
04:08
미국에서 세계에서 12%의 관습을 받는 게요.
04:12
우리나라에서 투리세트의 유형을 받는 게요.
04:14
50%의 관세가 안정됩니다.
04:15
우리나라 철강이 가장 많이 수출하는 대상 국가가 미국이라면서요.
04:26
그런데 이제 앞으로 철강 관세가 50%? 이게 말이 됩니까?
04:32
우리가 진짜 직격탄을 막겠네요.
04:34
지금 25% 관세 부과하고 나서 일단은 수출 실적을 보면 딱 영양권 안에 들어갔지 않습니까?
04:41
5월 수출 실적 주말 사이에 나왔습니다.
04:43
대미 철강 수출액만 보면요. 전년 동월 대비 20% 급감했습니다.
04:50
이게 지금 3월 중순경부터 시작이 됐기 때문에 그때로 확대를 해보면
04:56
전체 대미 철강 수출액의 10에서 최대 19% 감소를 했고요.
05:03
이게 트럼프 1기 때부터 확장을 해보면 이미 30% 이상 대미 철강 수출은 감소한 상태입니다.
05:10
철강 업계가 지금 이중고의 충격을 받게 됐습니다.
05:15
사실 25% 관세도 간신히 지금 대응을 하고 있는데
05:19
만약 이게 또 2배로 올라간다고 하면 사실상 대미 수출을 포기해야 된다.
05:23
이런 얘기 나오고 있고요.
05:24
그런데요. 미국이 철강을 대부분 수입해서 쓴다면서요.
05:29
그런데 저렇게 관세를 높여려면 미국 내 산업도 위험해지는 거 아닌가요?
05:34
대표적으로 이제 건설업계에서 그런 이야기가 나오고 있죠.
05:38
건물 지을 때 철강 골조 들어가지 않습니까?
05:42
가격이 올라가니까 결국에는 집값의 상승을 불러일으키고 결국 물가 인플레이션 문제까지 확대될 거다라고 하는데
05:50
지금 사실 트럼프의 예상하지 못했던 철강 알루미늄 제품에 대한 관세 인상은
05:56
여러 저희가 그 밑에 깔려 있다고 보고 있어요.
05:59
아까 미국 연방법원의 관세 정책에 대한 판결도 나왔고
06:05
거기에 대한 반발 조치 성격이라는 것도 있고
06:08
지금 중국과 협상이 진행되고 있지 않습니까?
06:11
중국과의 협상이 지지분인한 거에 대한 일종의 경고형 조치다.
06:15
이런 분석도 있습니다.
06:17
그래서 이 조치가 정말로 6월 4일 발효가 되는 걸로 예정이 돼 있지만
06:21
이것도 끝까지 지켜봐야 된다는 거는
06:24
상황이 바뀌면 또 이거는 상황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06:28
그래서 철강 업계도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게
06:32
이게 아까 지금 가서 또 말씀을 드려야 될 것 같은데
06:35
그때그때 상황에 따라서 이게 잣대가 달라지다 보니까
06:38
즉시에 대응하기에도 문제가 있다는 겁니다.
06:42
제가 알고 있는 바이오 업계에 있는 분도 이 얘기를 하더라고요.
06:46
제일 힘든 게 정해진 게 지금 아무것도 없어서
06:49
대책을 얘기할 수가 없다고 합니다.
06:52
그런데 지금 말씀하신 대로 철강 업계도 마찬가지고
06:55
트럼프 대통령은 지금 전 세계를 상대로 또 불확실성을 던져놓고
07:00
혼란스럽게 만드는 것 같습니다.
추천
6:07
|
다음 순서
한국, ‘트럼프 관세 서한’에 포함될 가능성?
채널A News
2025. 7. 7.
1:35
법인세 1%p 올린다…“7조 5천억 원 세수 확보”
채널A News
2025. 7. 29.
3:02
'상법 개정·코인 과세' 여야 충돌..."결국, 개미 민심 잡기" / YTN
YTN news
2024. 11. 22.
1:55
"미실현 이익도 세금 내라"...해리스가 던진 '증세' 폭탄 [지금이뉴스] / YTN
YTN news
2024. 8. 30.
2:11
노태우·전두환 비자금 몰수법 발의
채널A News
2024. 9. 1.
2:09
[자막뉴스] 애플·구글이 낸 세금으로 한 나라가 돌아간다? / YTN
YTN news
2025. 7. 20.
4:29
[현장영상+] 국민의힘 "이재명 정권, 기업 때려잡기에만 골몰" / YTN
YTN news
2025. 7. 28.
23:57
트럼프의 지독한 복수가 시작됐다
채널A News
2025. 2. 3.
2:21
'독불장군' 트럼프는 파월 연준 의장을 자를 수 있을까 / YTN
YTN news
2025. 4. 21.
2:30
"미국 기업만 제외"...'글로벌 법인세 규제' 사실상 좌초 / YTN
YTN news
2025. 7. 19.
5:56
트럼프, 파월 해임설에 선 그어...국채 금리는 급등 / YTN
YTN news
2025. 7. 16.
1:26
조진웅마저 '세금 11억' 추징? 이하늬·유연석·이준기 이어 계속되는 논란 [지금이뉴스] / YTN
YTN news
2025. 3. 22.
14:09
與, ‘양도세 대주주’ 기준 놓고 공방 확산
채널A News
6일 전
1:47
트럼프, ‘파월 해임’ 언급…압박 수위 높여
채널A News
2025. 4. 19.
2:16
여야, '감세' 전쟁..."배우자 상속세 폐지" "소득세 완화" / YTN
YTN news
2025. 3. 6.
2:16
채권 때문에 관세 유예?…“트럼프 자산 60%가 채권”
채널A News
2025. 4. 19.
1:34
연준 기습한 트럼프 '공개 면박'...파월 현타 오게 한 말, 뭐길래 [지금이뉴스] / YTN
YTN news
2025. 7. 25.
1:56
[자막뉴스] 인내심 한계 임박...금융 대혼란 벌어지나 / YTN
YTN news
2025. 4. 21.
2:06
트럼프와 해리스의 대동단결...'팁 면세'는 가능할까 / YTN
YTN news
2024. 8. 14.
1:48
파월 망신 주려 연준 급습했는데…트럼프, 되레 TV앞 망신살
중앙일보
2025. 7. 25.
2:43
'코인 과세' 금투세 2라운드...민주, 이번에도 우클릭? / YTN
YTN news
2024. 11. 24.
0:39
트럼프, 연준에서 파월과 치열한 신경전...파월, 고개 가로저어 / YTN
YTN news
2025. 7. 25.
3:53
‘尹관저 이전 업체 탈세’ vs ‘문다혜 탈세’…국세청 국감서 공방
중앙일보
2024. 10. 16.
2:04
파월과 불편한 동거…트럼프 살생부에 누구?
채널A News
2024. 11. 8.
3:32
이시바 “1조 달러 투자”…트럼프 압박 선제대응
채널A News
2025. 2.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