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푸터로 건너뛰기
  • 2025. 5. 29.
29일 경북 포항 야산에 추락한 해군 초계기가 사고 1분 전까지 관제탑과 정상 교신을 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해군은 정상 비행하던 초계기가 급강하 한 원인을 찾기 위해 현장에서 수거한 음성기록장치(CVR)를 분석 중이라고 밝혔다. ‘마지막 1분’에 조종사가 언급한 내용에 따라 이번 사고의 원인을 규명하는 실마리가 풀릴지 주목된다.
 
해군 관계자는 30일 언론 브리핑을 열고 전날 추락한 초계기가 사고 직전인 1시 48분까지 해군 포항기지의 관제탑과 정상적으로 교신을 했다고 밝혔다. 해군에 따르면 사고기 P-3CK의 조종사 고(故) 박진우 중령(순직 당시 소령)은 “장주 비행에 접어들겠다”는 취지로 관제탑과 교신을 주고 받았다.
 
P-3CK는 이날 조종사 이·착륙 교육 훈련을 위해 제주기지에서 포항기지로 왔으며, 이날 훈련은 ‘터치 앤 고’ 방식으로 이뤄졌다. 이는 타원형으로 선회 비행을 한 뒤 활주로에 착륙했다 뜨기를 반복하는 방식이었다. 사고기는 1시 43분쯤 이륙해 1차 이·착륙을 성공적으로 마친 뒤 2차 비행을 위해 이륙한 상태였다. 이후 우선회 비행을 하던 중 인근의 승마장 인근에서 급강하, 야산에 추락했다. 추락한 시점은 약 1시 49분이었다.
 
해군 관계자는 “관제탑에 기록된 조종사의 마지막 교신은 훈련을 위한 정상 교신이었고, (비행)위험성과 관련된 내용은 없었다”고 설명했다. 결국 1시 48분에서 49분까지 약 1분 간의 짧은 시간 동안 기체 이상 등 급박한 비상 상황이 벌어졌다는 얘기다.
 
해군은 이날 오전 현장에서 사고기의 음성기록이 담긴 CVR을 수거했다고 밝혔는데, 조종사와 부조종사 간의 대화 내용 등이 사건의 ...

기사 원문 :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40211?cloc=dailymotion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29일 오후 1시 50분쯤 경북 포항시 동해면 신정리 인근 야산에 해군이 운용하는 해상초계기가 추락했다. 사고 비행기는 p3c 해상초계기로 당시 기내에 탑승했던 4명 전원이 숨진 채 발견됐다.
00:20해군은 숨진 군인들의 시신을 해군 포항병원으로 옮겨 신원 확인 등을 할 예정이다. 해군 측은 이날 1시 43분쯤 훈련을 위해 포항기지를 이륙한 초계기가 알 수 없는 원인으로 기지 인근에 추락했다고 설명했다.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