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 증원 확정했지만…'의정갈등' 장기화 전망

  • 16일 전
의대 증원 확정했지만…'의정갈등' 장기화 전망

[앵커]

내년도 의대 정원이 기존보다 1,509명 늘어난 4,567명으로 확정됐죠.

정부는 의대 증원이 일단락됐다는 입장이지만, 남은 과제들도 적지 않습니다.

취재기자 연결해 자세한 내용 알아보겠습니다.

문형민 기자.

[기자]

네,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대교협이 어제(24일) 의과대학 증원 관련 2025학년도 대입전형 시행계획 변경 사항을 확정했죠.

이에 따라 내년도 전국 40개 의대 모집인원은 올해보다 1,509명 늘어난 4,567명으로 결정됐습니다.

각 대학들이 오는 31일까지 대교협 지침에 따라 홈페이지에 수시 모집요강을 공개하면, 모든 절차가 끝이 납니다.

하지만, 증원 이후에도 남은 과제가 적지 않습니다.

당장 증원 규모에 맞는 시설을 각 대학들이 제때 갖출 수 있느냐가 걱정입니다.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 설문조사 결과, '학교 내 도서관, 의학 기자재 등 관련 시설이 적절하게 준비될 수 있을지'를 묻는 질문에 의대 교수 776명 중 629명, 즉 81.1%가 '매우 그렇지 않다'고 답했습니다.

이외에도 교수들 대부분은 교원과 임상실습 교육을 위한 의대 교육병원을 확보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응답했습니다.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 관계자는 "일부 학교의 경우 시설과 인력 등 교육 인프라를 적기에 마련하기 불가능한 상태고, 해부용 시신 확보는 물론 교수조차 부족한 상황에서 제대로 된 의학교육이 이뤄질 수 없다"고 말했습니다.

의료계와 정부 사이의 대화 여지가 더 줄었든 것도 해결해야 할 문제입니다.

대한의사협회는 "의대 증원 확정으로 대한민국 의료시스템 붕괴는 돌이킬 수 없는 현실이 됐다" 정부의 폭정은 심판받을 것이라고 비판했습니다.

의대교수들은 정부의 정책 자문에 응하지 않는 한편, 진료 축소와 정기 휴진도 이어간다는 방침입니다.

집단행동이 더 길어지면 내년도 신규 전공의와 전문의 등 의료 인력 배출 차질도 불가피합니다.

정부는 전공의 복귀를 촉구하기 위해 전국 수련병원장에게 전공의와의 개별 상담을 요청하는 동시에, 장기적으로는 전공의 의존 구조 탈피를 위한 전문의 중심 병원 논의에도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보도국에서 전해드렸습니다. (moonbro@yna.co.kr)

#의대증원 #의정갈등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