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태권, 미 대선서도 변수 될까…바이든, 쟁점화 시동

  • 4개월 전
낙태권, 미 대선서도 변수 될까…바이든, 쟁점화 시동

[앵커]

올해 11월 대선을 앞두고 민주당이 낙태권 이슈를 또 한 번 선거 쟁점으로 들고 나섰습니다.

앞서 2022년 중간선거에서 낙태 문제가 민주당의 지지층을 결집하는 데 큰 도움이 됐다는 평가가 지배적인 가운데, 이번에도 파괴력을 발휘할지 주목됩니다.

황정현 기자입니다.

[기자]

여성의 낙태 권리를 인정한 연방대법원의 '로 대 웨이드'(Roe v. Wade) 판결이 나온 지 51주년을 맞은 날 백악관이 관련 행사를 잇따라 개최했습니다.

백악관은 연방정부 차원에서 긴급 낙태에 대한 접근을 보장하는 추가 대책을 발표했습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여성 보호조치는 강화되어야 한다고 낙태권을 옹호하면서, 로 대 웨이드 판결을 뒤집었던 2년 전 대법원 결정을 비판하고 나섰습니다.

앞서 지난 2022년 6월 보수 우위의 대법원은 낙태권 폐기 판결을 내린 바 있습니다.

"터무니없고, 정말 터무니없습니다. 솔직히 이것은 시작에 불과합니다. (중략) 더욱 극단적인 것은 여성의 권리를 훼손하고 여성의 생명을 위협하는 것입니다."

바이든 대통령이 낙태 이슈를 강조하고 나선 건, 또 한 번 선거에서 정치적 우위를 점하기 위한 시도라는 평가가 나옵니다.

실제로 낙태권 폐기 판결이 나온 이후 치러진 중간선거에서 민주당의 지지층은 결집한 데 반해, 압승을 예상한 공화당의 성적표는 기대치에 훨씬 미치지 못했습니다.

여성과 중도층을 중심으로 '반 공화' 정서가 확산했던 겁니다.

반면, 보수 진영인 공화당은 낙태 금지 확대를 주장하면서 세 결집에 시동을 걸고 있는 모습입니다.

현재 낙태 문제는 연방대법원의 폐기 판결 이후 각 주가 결정하고 있는데, 50개 주 가운데 21개 주가 임신 초기부터 금지하거나 완전히 금지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연합뉴스TV 황정현입니다. (sweet@yna.co.k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